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VID-19사태로 인하여 현재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비대면 형식의 교양 수영 수업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교의 교양 수영 수업의 질은 지도자가 갖추고 있는 전문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학생들은 실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재 상황에서 운동몰입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확답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수영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교양 체육 및 생활 체육 종목에 있어서 앞으로 상당한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교양 수영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281명의 비체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교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이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과 참여지속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교양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실습능력, 기초지식)이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강의기술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는 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기초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행동몰입 요인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800원
        3.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talk between primary English teachers with different degree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wo primary English teachers who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were selected. They both taught sixth grade students and used the same English textbook.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while they both were teaching the same unit of the textbook. Their classes were video-recorded and their interaction was tran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constructive’ and ‘obstructive’ teacher talk (Walsh, 2002).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teachers differed in the amount of the use of ‘constructive’ and ‘obstructive’ teacher talk. The more professional teacher used more constructive talk while the less professional teacher used more obstructive talk, and the more professional teacher encouraged the students to engage in the interaction by using constructive talk, such as error correction, content feedback, scaffolding, and so forth.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made.
        6,400원
        4.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the collaborative reflection of the teacher, colleagues, and students in promoting teacher expertise. To this effect, the authors first created a principled set of checklists on six domains of teacher expertise by synthesizing relevant literature. Then they developed protocols for collaborative reflection. These tools were applied to a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volving the teacher participating in stimulated recall sessions of her own classes, writing reflection journals, and receiving feedback from her colleagues and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collaborative reflection has high potentials for mediating the teacher’s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s, leading to behavioral ones. This suggests that collaborative reflection, when relevant institutional prerequisites are met, can take an instrumental role in promoting teacher expertise.
        5,700원
        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수업컨설팅을 통하여 초임교사 지원 실태와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을 분석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 과학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실태와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 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교사들의 경우 초임시절에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실천이 없고, 수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도 없어서 대개는 배운 방식대로 학생을 가르치는 경향이 발견된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 측면에서도 잡무가 많아서 수업준비를 할 시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 사이에 수업에 대한 의사소통이 없었다. 이러한 실태 진단에 대한 대안으로 선배교사들은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시보교사 제도 도입과 교사 협의회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입문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논의하였다.
        4,300원
        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업비평 활동을 통한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신장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수 수업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비평 활동을 실시한 후 수업전문성 신장 여부에 대한 예비교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전문성을 총 4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그 하위 영역들의 수업전문성 변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수업전략 및 매체활용’,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커뮤니케이션’, ‘상황 대처 및 시간관리’, ‘자신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성찰’ 영역과 그 하위 11개 영역 모두에서 수업비평 전과 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비평 활동이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영상 수업비평 활동을 하고 난 후에 교원양성과정에서 수업비평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동영상 수업비평 방법 활용에 대해서 ‘좋은 점’을 유목화하여 정리한 결과, ‘좋은 점’에서는 ‘수업전략 및 매체활용의 실제적 방법의 습득’, ‘실제 현장의 수업을 간접 경험’, ‘나의 수업 방법의 문제를 반성하고 개선점을 확인’ 등의 유익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