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zero-waste design and to apply Sophia Vyzoviti’s folding techniques to develop a zero-waste fashion design method that contributes to sustainable fashion design.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zero-waste fashion design based on the concept of folding described in Sophia Vyzoviti’s book on folding techniques. Using the autonomy of Sophia Vyzoviti’s folding technique, four changeable folding fashion designs were developed and produced, demonstrating zero-waste fashion desig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s using Sophia Vyzoviti’s folding techniques enabled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free and creative zero-waste fashion designs that were three-dimensional, continuous, fluid, and full of potential. Second, the production of zero-waste patterns was further developed into a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that can be used with geometric patterns. These folding techniques produced a fashion design method that could transform one piece of clothing, demonstration the potential for maintenance of creativity using a zero-waste design based on these folding techniques. Third, the double-faced fabric, Neoprene, was chosen as an appropriate material as it emphasizes the depth of folding with application of two colors and its cotton/polyester blend that is suitable for folding.
        4,900원
        2.
        2012.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utomobile parts have been required to have high strength and toughness to allow for weight lightening or improved stability. But, traditional micro-alloyed steel cannot be applied in automobile parts.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influence of quenching temperature and cooling rate for specimens fabricated by vacuum induction furnace. Directly quenched micro-alloyed steel for hot forging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its micro structure and the heat-treatment process. Low carbon steel, as well as alloying elements for improvement of strength and toughness, was used to obtain optimized conditions. After hot forging at 1,200˚C, the ideal mechanical properties (tensile strength ≥ 1,000 MPa, Charpy impact value ≥ 100 J/cm2) can be achieved by using optimized conditions (quenching temperature : 925 to 1,050˚C, cooling rate : ≥ 5˚C/sec). The difference of impact value according to cooling rate can be influenced by the microstructure. A fine lath martensite micro structure is formed at a cooling rate of over 5˚C/sec.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hase of the M-A constituent microstructure is the cause of crack initiation under the cooling rate of 5˚C/sec.
        4,000원
        3.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y contrasting the two representative dictionary from ancient to modern of WuhouqingZihai(《五侯鯖字海》)with HanyuDazidian (《漢語大字典》),we come to conclusion:“ying(孾)”,girl, this is to retain the“ying(孾)” original meaning;“ying(孾)”,“baby”, this is the uprising of the“ying(孾)”.“Pā(􀁪)”, the voice of stone cracking;“bā(玐)”, the voice of Jade;the two are not variantions, but the voice of the two are similar , so can pass.“Miào(􀁫)”, meaning “the name of the drug”,“yào(藥)”had false from “lè(樂)”in the process of copying.“Suǒ( )”, meaning“zhī(只)”,“zhī(只)” had false from “bèi(貝)”in the process of copying;“suǒ(瑣)”is the new words from “suǒ( )”.“Yú(臾)”is original meaning of the justice for catch hair bundle while dragging, and pictographic characters, “kuì(㬰)”is original meaning of the lifting apparatus, and the pictographic character;“kuì(㬰)”and“kuì(蕢)” are variantions. “réng(礽)” is divide variant of“réng(仍)”. “Zhī(祗)”and“zhī(􀁭)”,the samesound and meaning, the radicalchoice ofthe sameconfigurationheterogeneouscharacter.
        4.
        201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수면 관측치에서 평균해면과 조위를 제거한 것을 비조석해면변위라 한다. 비조석해면변위는 기압, 바람, 해수밀도 변화 등에 의해 만들어 진다. 연안이 나 항구에서 선박이 접안할 때나 낚시, 바다갈라짐 등 레저활동과 관광할 때, 조위는 예측이 가능하지만 비조석해면변위는 예측하기 어려워 안전를 위협할 수 있다. 한국연안의 비조석해면변위의 시공간적인 변동과 그 주요 요인을 알아 보고자 한다.
        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질소비료절감 재배시 품종특성별 최적 재식밀도를 구명하고자 '06년부터 '08년에 수수형 품종과 수중형 품종을 공시하여 벼 생육, 수량 및 등숙특성 등을 검토한 결과 가. 당 경수는 밀식함에 따라 많아졌고, 품종간에는 호평벼가 많고 신동진벼가 적었다. 엽색값은 재식밀도간 차이가 없이 동진1호가 높았고, 엽면적 지수는 밀식함에 따라 높아졌으며, 품종간에는 호평벼가 가장 높았다. 줄기 건물중 증가 정도는 동진벼와 호평벼는 3.3 m2당 90주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신동진벼는 재식밀도 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나. 재식밀도 증가에 따른 이삭수의 증가정도는 동진1호와 호평벼가 높고, 신동진벼가 낮았다. 유효경비율은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종간에는 경수가 많았던 호평벼가 낮았다. 전체 건물중에서 잎이 차지하는 비율은 대체로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종간에는 동진1호가 가장 높았다. 다. 완전립 비율은 공시품종 모두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으로, 특히 3.3 m2당 90주 이상에서 현저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재식밀도간 큰 차이가 없고 품종간에는 신동진벼가 낮았다. 라. 쌀 수량은 수중형인 동진1호와 신동진벼는 3.3 m2당 90주를 심으면 80주 이하를 심는 것이 비해 쌀 수량은 약간 높아지지만 완전미 수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수수형인 호평벼는 재식밀도간 완전미 수량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질소감비 조건에서는 수중형 품종인 신동진벼와 동진1호는 3.3m2 80주를 심고, 수수형 품종인 호평벼는 70주를 심는 것이 완전미를 생산하는데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 벼 품종별 재식밀도에 따른 이삭당 분화 영화수는 공시품종 모두 밀식함에 적어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종간에는 동진1호> 신동진벼> 호평벼 순으로 많았다. 바. 이삭당 1차지경수와 1차지경착생 영화수는 신동진벼가 각각 10.06, 60.4개로 가장 많았고, 호평벼가 8.87, 53.1개로 가장 적었다. 사. 총 유관속수에 대한 대유관속수 비율은 신동진벼가 32.6%, 호평벼 34.0%, 동진1호가 34.8%였으며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유관속수 비율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000원
        7.
        1997.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0.14wt.%C-0.82wt.%Mn-0.20wt, %Si-0.10wt.%V-0.03wt.%Nb의 조성을 갖는 직접 소입강에 몰리브데늄을 각각 0.30wt.%, 0.58wt.% 첨가하여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고 투과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각각의 미세 조직을 관찰하여 석출물을 분석하였다. 직접 소입시의 석출물은 M2C, MC의 비평형 상태의 석출물이 생성되었고 석출물들은 마르텐사이트 래스내의 침상형탄화물, 구형의 M2C탄화물, 직사각형 형태의 MC탄화물이 관찰되었다. 유냉시에는 래스내의 침상형 탄화물만 관찰되었으며 수냉시에는 M2C 탄화물이 관찰되었다. 0.58wt.%의 몰리브데늄의 첨가된 강에서는 MoN이 관찰되었으며, 이 강의경우 강도의 손실 없이 인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8.
        1994.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냉에 의한 중탄소 비조질강은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미세구조를 갖는다. 기존의 조질강과 비교하여 이재료는 V, Nb, Ti을 첨가하여 강도는 거의 동등한 반면 인성에 있어서 조질강에 비해 취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 소입 저탄소 비조질강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몰리브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몰리브덴 첨가 직접 소입 비조질강은 고강도와 고인성을 나타내었다. 몰리브덴은 변태 온도를 저하시켜 미세한 구조와 균일한 석출 구조를 효과적으로 생성시킨ㄷ. 본 실험의 결과로 0.15C+0.11V+0.035Nb+1.81Mo의 재료를 유냉시켜 121MPo의 강도와 127.5J의 인성을 얻었다.
        4,300원
        9.
        199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냉에 의한 중탄소 비조질강과 직접 소입 방법에 의한 저탄소 비조질강의 강도와 인성에 대하여 미량 첨가 원소와 온도 및 냉각 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냉에 의한 중탄소 비조질강은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으로 V+Nb 복합첨가로 강도와 인성의 조합을 이룰 수 있었으며 연구 결과 최적 조합은 0.40C+0.12V+0.07Nb에 의한 인장 강도 831MPa, 충격 52.1J이었다. 직접 소입 방법에 의한 저탄소 비조질강은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Mo에 의한 강도와 인성의 조합을 이를 수 있었으며 가장 양호한 조합은 0.12C+0.10V+0.03Nb+1.13Mo에 의한 인장강도 855MPa, 충격인성 108J로써 중탄소 비조질강에 비해 충격 인성이 2배 정도 향상되었다. 가열온도 1100˚C가 1200˚C에 비해 더 양호한 강도 및 충격 인성을 나타내었고, 냉각속도는 1.2˚C/s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합금원소와 온도 및 냉각속도가 강도, 충격인성,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 그리고 펄라이트 층간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중회귀분석하여 계량화하였다.
        4,000원
        10.
        1992.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 압축 시험을 이용하여 열간 단조용 비조질강의 고온 변형 거동을 온도, 변형률속도, 합금원소에 따라 조사하였다. 고온 압축 시험에서 얻은 유동 응력 곡선의 형태와 조직관찰로부터 고온 변형 기구는 동적 재결정임을 알 수 있었다. 최대응력에 이르는 변형률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작아지고 변형률속도가 빠를수록 크게 나타났다. Nb-V-Mo강은 Nb-V강에 비하여 최대응력은 증가하였으나 동적 재결정은 빨라졌다. 1.2Mn-0.09Nb강은 1.0Mn-0.05Nb강에 비하여 최대응력은 증가하였으나 동적재결정은 지연되었다. C-Nb-V강은 C강에 비하여 최대응력이 증가하였으며 동적 재결정은 지연되었다. 열간변형에 대한 구성방정식은 멱수법칙의 형태를 가졌다. Zener-Hollomon 파라미터가 증가할수록 동적 재결정립은 미세해졌고, 동적 재결정립과 Zener-Hollomon 파라미터와의 관계는 멱수법칙으로 정량화할 수 있었다.
        4,000원
        11.
        1992.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0.4wt% C을 함유하는 기존의 기계구조용 탄소강에 V과 Nb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첨가한 열간단조용 비조질강의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고, 미세조직과 셔출물의 분포 및 형상을 관찰하였으며 첨가원소의 영향을 정량화 하기 위해 중회귀분석을 행하였다. 인장시험 결과 모든 재료의 인장강도는 70kg/mm2 이상으로 기존의 소입.소려재(S45C)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었으며, 충격시험 결과 대부분 재료의 충격에너지는 40J 이하로 기존 재료의 약 50%정도였 다. V함량이 0.10에서 0.l5wt%로 증가하였을 경우 인장강도는 약 20% 증가하였으나 충격에너지는 감소하였다. 이는 VC의 미세석출에 의해 석출강화 효과와 함께 펄라이트의 부피분율이 증가하고 층간거리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반면 Nb 함량이 0.05에서 0.10wt%로 증가한 경우에는 강도와 인성의 근소한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NbC의 석출애 의한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VC 보다 우세했기 때문이다. 또한 V+Nb의 복합첨가는 단독첨가시에 비하여 충격인성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본 실험에서 최적 강도와 인성의 조합을 보인 합금조성은 0.4C-1.19Mn-0.05S-0.12V-0.07Nb로 인장강도는 84kg/mm2 이상, 충격인성은 34J 이상이었다.
        4,200원
        12.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istorical exchange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have broadly occurred, in terms of both political and cultural aspects,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Regarding ancient gardening culture, in particular, Asuka developed gardens with the gardening techniques passed down by the Baekje people.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form of a garden pond along with its characteristics, established through such exchanges, is suggested by investigating its components through analysis of data from the gardens of Baekje and Asuka. In terms of the garden pond structure, homogeneity was confirmed between Baekje and Asuka, with a linear rectangular form as the basic design. In addition, the vertical construction technique was used by both ancient kingdoms. In terms of the types of stone used in building the shore of the garden pond, Baekje used diverse types such as natural stone, crushed stone, and cut stone. In contrast, rounded river stone was used by Asuka. Regarding the floor of the garden pond, Baekje used soil, which enabled the planting of lotus flowers. In contrast, Asuka used stones to pave pond floors, which made the growth of plants impossible. In terms of layout, Baekje used ornamental stones for pond landscaping, while Asuka used manmade island and water intake facilities in their pond construction. The effects of Baekje’s garden culture on Asuka's garden building can be seen from its influence on the form of the garden pond and shore construction style.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the garden pond's shore with the same stones and the stone flooring, the garden ponds of the Asuka Kingdom reveal technically unified and refined aspects.
        13.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세기는 조성의 해체와 함께 화성보다는 대위적 사고가 우위를 갖게 된 시대이다. 본 논 문은 20세기 작곡가들이 대위적 짜임새를 형성하기 위해 구사하고 있는 다양한 방식들 가운 데 대표적 한 가지 예인 비조성 푸가를 통해 현대 비조성음악에서의 대위적 텍스처를 고찰한 다. 이를 위해 ‘대위’의 음악사적 개념과 대위적 음악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20세기 작품에서 의 대위적 양상을 수직적 음정의 처리에 대한 ‘공통관습의 부재’라는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 어서 ‘푸가’의 음악사적 개념과 조적 관계성이 부재하는 현대 비조성푸가의 특징과 한계점들 을 고찰함으로써 단순 모방기법과 구별되는 푸가만의 특징이 비조성푸가에 존재하는가에 대 한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아울러 20세기 비조성푸가의 유형들을 세 가지로 분류해, 전통 적 푸가의 외형적 특성을 유지하나 조적 관계성을 실제로 갖지 않는 푸가로부터 현대적으로 새롭게 재해석된 실험적 푸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 예를 통해, 비조성푸가의 한계점과 이에 대한 작곡가들의 대안모색 방식들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