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3.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ditional building technique has been used as the main technology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in South Korea. It has remained this way with very little resistance until now. But the time has come to question the appropriateness of traditional technique as conservation technique. In this paper a study was done on the properties of the traditional technique and the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technique in order to define the appropriateness between the two techniques. As a result the traditional technique was found to be unfit for conservation technique.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time gap between the traditional technique and the time when the heritage was first built. Second, conservation work is about retaining the values of being a heritage while the traditional technique is about safeness and practicality. Third, the use of traditional technique comes with using the tools of its time which cannot ensure the safety of the heritage. The traditional technique must be looked upon as one of an option in the field of conservation. We must develop a better conservation technology by finding balance between the traditional technique and modern science. And further more an aggressive investment must be made in order to realize this objective.
        4,600원
        5.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on the construction work of Preservation for Korean architectural properties during the period of japan invader. Korea lost their preservation ability of architectural properties when went through specific background from 1910 to 1945, which was the period of japan invader. Through this situation japan had to face the preservation of architectural properties for japan and korea. After 1945, korea has preserved the architectural properties over 50's years and which accomplishment every yew. Also, there are some architectural properties which registered in world heritages. However, the study of this period is not studied enough. Especially a construction work for architectural properties during this period is not become kn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ree. First is to analyze construction work data(a specifications and etc.) for accessing originality of korea architectural properties. Second is to understand about the construction works of preservation for the korean architectural properties. and the last is to compare the peculiarities of construction work of Preservation for korean architectural properties between during 1910-1945 and 1945-1965.
        6,000원
        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means of synthetic resin, is physical and chemical work. Synthetic resins are using for consolidation and restoration of decayed members. Since 1978, synthetic resin became useful pre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The first object was Chimgyeru of Songgwang-temple in Suncheon city. In the 1980s, have begun the care of materials for conservation on the architectural heritage, it was influenced according to authenticity of UNESCO Venice charter's principle, in 1964. In Korea,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means of synthetic resin that is sing many kinds of epoxies. Among the specific types of epoxies are araldite XN1023, SV427, etc. The use of synthetic resin have merits and demerits in the restoration for architectural heritage. The merit is that it is more smaller change with new members during preservation work. But the demerit is an irreversibility of the epoxy resin. In 1999, 'ICOMOS International Wood Committee' recommend contemporary materials and techniques, should be chosen and used with the greatest caution. And preservation work should reversible, as possible as technically. Therefore, should be data continous for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synthetic resin. Because data is very important work about a preservation of wooden architecture by synthetic resin. And should be try to think about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instead of synthetic resin, in the long view.
        5,500원
        9.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화수의 조리용수로써 기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을 관찰하였다. 1. 자화수의 pH의 변화는 수도수, 생수 공히 자화수가 약간 알칼리성을 띄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도수에서는 pH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생수에서는 증가하였다. 2. 건조식품을 불림에 있어 자화수의 경우 수도수를 사용한 경우보다 수화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화수에 침수한 버섯의 경우 초기부터 수분 흡수율이 약간 높았으며 90분 이후부터는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콩은 하루밤 방치후 자화수에 침수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흡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3. 표면장력의 변화는 자화수의 표면장력이 수도수에 비해 작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염장식품을 수침한 경우 자화수에서 특히 초기침수 5분 이내에 염장물로부터의 염분 유출량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4,000원
        10.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1.
        2014.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동결건조 유청발효물(Freeze-dried fermentedwhey; FDFW)과 프럭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FOS)의 비피도박테리아 증식능을 비교 검증한 내용이다.FDFW와 FOS 모두 비피도박테리아 균주 Bifidobacteriumlactis BL 750과 Bifidobacterium longum FI10564에 대해 증식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통계적인 유의 차는없었지만 FDFW가 FOS에 비해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흡광도(600nm)를 이용한 실험에서 FDFW 첨가군은 14시간 배양 후 B. lactis 균주는 1.371에 도달하였고 B. longum균주는 1.844에 도달하였다. 반면 대조군으로 사용한 유청첨가군의 경우 각각 1.064와 1.237에 도달하였다. 생균수실험에서는 9시간째 B. lactis 균주에 대한 비피도박테리아증식능이 확인되었고 FDFW 첨가군과 대조군(무첨가군) 사이에 0.38LogCFU/mL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요거트에 첨가된 B. lactis 균주의 보존력을 확인하기 위해10oC에 보관하면서 20일 동안 생균수를 분석한 결과 무첨가군은 6.86에서 4.1LogCFU/mL로 감소한 반면 FDFW(1%)와 FOS(1%) 첨가군은 각각 6.82에서 4.93, 6.81에서4.51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FDFW는 비피도박테리아 증식인자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다양한 낙농제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2.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기성 슬러지와 섬유폐기물의 물성, 열적 특성을 파악하여 고형연료탄을 제작하여 고형연료탄에 대한 공업분석, 발열량분석등을 통해 고형연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고형연료탄의 공업분석결과 하수 슬러지 건조물과 섬유폐기물 혼합 연료탄(ST)은 평균 수분 3.5%, 휘발분 65.58%, 회분 9.12%, 고정탄소 25.30% 이며, 하수슬러지 건조물(S) 연료탄은 수분 10.2%, 휘발분 56.75%, 회분 33.73%, 고정탄소 9.52%로 측정되었다. 발열량의 경우 ST 연료탄 의 경우 평균 고위발열량 5,820 Kcal/kg, 저위발열량 5,520 Kcal/kg으로 나타나 슬러지 연료탄의 경우 평균 고위발열량 3,732 Kcal/kg(저위발열량 3,350 Kcal/kg)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국내 무연탄과 하수슬러지 고형연료탄의 기본적 물성치를 비교하면, 주 가연분에는 하수슬러지는 휘발분이 대부분이며, 무연탄에는 고정탄소가 대부분임을 알 수 있다. 때문에 하수슬러지 고형연료탄을 석탄의 보조연료로 사용할 시 휘발분에 대한 연소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하여 발열량은 유사한 범위를 보였고, 원소분석 비교에서 석탄에 비해 N, S의 함량 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소시 배가스 중 질소화합물과 황화합물의 양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가스 저감시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