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chnology innovation companies are focusing on contributing to business performance by R&D project as a strategic tool. Successful R&D leads to corporat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but there are high uncertainty and risks in R&D. Public and private R&D projects are carried out to achieve various purposes. It was verified how the risk management and benefit management of the R&D project affect the detailed R&D project performanc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 The impact of Project Leadership on R&D performance was also analyzed.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ublic and Private R&D projects at companies or research institutes were surveyed. First, it was found that project risk and benefit management have partially an effect on R&D project performance. Second, Public and private R&D Project Leadership showed partially a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ject management and project performance.
        5,100원
        2.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공구매시장에서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에 대한 경쟁요인(낙찰가 격, 조달적합품질, 납품사후서비스, 납기)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제도요인으로 정책부합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경쟁요인은 만족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족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쟁요인과 만족 간 관계에서 정책부합성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구매자 혁신성에 따라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게 공공구매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민간시장 중심의 고객만족 연구를 공공구매시장까지 확장했다는데 연구의 중요한 의의가 있다.
        6,300원
        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공공연구개발사업의 기술파급측정을 위한 이론적/방법론적 기반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술파급현상을 고찰하고 이를 측정하는 방법론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일반적인 기술파급메커니즘에 관하여 논의하며 파급현상 및 파급경로를 정리한다. 둘째, 기존에 문헌들에서 사용된 주요 방법론을 소개하고 방법론의 장단점을 논의한다. 셋째, 방법론과 기술파급현상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기술파급현상과 측정의 문제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공공연구개발 사업의 기술파급효과 측정을 위한 선행조건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들에게 기술파급현상과 측정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여러 방법론으로 측정된 기술파급측정의 결과를 올바르게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는 향후 공공연구개발 사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고자 할 때 방법론적 한계를 인식하여 파급현상과 측정 결과의 간극(gap)을 인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더 향상된 측정 방법을 고안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8,400원
        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물로서 창출되는 특허정보의 거시적ㆍ미시적 분석을 통해 기술혁신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허성과의 기술군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국가연구개발사업이 IT계열 기술군으로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군별 상대적인용도지수(RCI)의 분석은 향후 BT계열 기술군이 부상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상대적시장확보지수(RFI)는 BT계열 및 IT계열과 같은 기술적 파급이 큰 기술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융ㆍ복합화, 연구개발 주체 간의 협력-개방 관계에 대한 신규지표를 설계하고,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군 사이의 흡수-파생 관계, 연구개발주체 간의 협력-개방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종기술간 기술 융ㆍ복합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상이한 연구개발주체들 사이의 연구개발 협력성과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400원
        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공공연구기관에서 창출된 연구성과의 활용을 통한 경제적 부가가치의 창출이 R&D 정책의 핵심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국가 R&D 성과의 활용 촉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연구성과가 효과적으로 활용 ;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연구기관의 성과관리 ; 활용 역량 및 활동이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주요 R&D 수행 대학과 과학기술분야 출연(연) 등 총 84개 기관을 대상으로 2011년 성과관리 ; 활용 역량 및 활동과 기술이전 성과에 관한 자료를 수집해 분석에 활용하였다. 성과관리 ; 활용 역량은 전담조직 운영 유무, 연구자 대비 전담인력 비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예산으로 측정하였으며, 성과관리 ; 활용 활동은 3P 분석의 정규적 수행, 사전심의의 정규적수행, 사후관리의 정규적 수행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성과관리 ; 활용 역량과 관련해 전담조직 운영과 기술이전 및 사업화 예산은 기술이전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관리 ; 활용 활동과 관련해 3P 분석의 정규적 수행, 사전심의의 정규적 수행, 사후관리의 정규적 수행은 모두 기술이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술이전 등 성과활용 촉진을 위해 요구되는 성과관리 ; 활용 역량 및 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가 R&D의 성과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 수립, 특히 성과관리 ; 활용 전담조직 및 예산 확보뿐만 아니라 연구자의 성과관리 ; 활용 촉진을 위한 인식 제고와 함께 적극적인 활동을 견인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6,300원
        6.
        2011.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민간업체의 기술개발의욕을 고취시킴으로써 국내 건설기술의 발전을 도모하고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하여 건설신기술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해당 법에서는 신기술로 지정받은 기술에 대하여는 일정기간동안의 해당기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의 사용자에게 기술사용료를 요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건설 신기술 지정제도는 특허제도와 유사한 형태로 기술을 보호, 활용할 수 있는 제도로 운영되고, 해당 기술의 설계 반영시에는 그 기술의 사용료를 일정 요율로 책정하여 운영토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신기술 지정제도와 특허제도와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표준 설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RAND 조건과 전통적 경제학에서의 가격차별 유형을 고려하여, 건설신기술지정제도의 운영 취지에 맞는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4,600원
        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공연구의 산업R&D에 대한 파급경로가 다양하다는 전제하에 우리나라 공공연구(대학 및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의 국내 기업들에 대한 파급경로 및 효과를 실증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공공연구의 다양한 파급경로들(논문, 특허, 보고서, 기술자문, 인력이동, 공동연구, 계약연구, 기술이전/라이선싱 등)을 유형화하고 이를 국내 S기업에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한다. S기업에 대한 사례분석은 S기업 관련분야 근무 경력자에 대한 면담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S기업은 주로 유형C(특히 기술회의와 기술자문/지도)와 유형D(특히 공동연구/계약연구)의 파급경로를 통해서 공공연구로부터 이득을 얻고 있었으며, 유형A(특히 세미나, 인력양성)도 일부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형B(논문, 보고서, 저서, 특허)는 매우 약하게 작동하고 있으며, 유형E(창업, 조인트벤쳐, 라이선싱)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사가 국내 재벌그룹의 계열사로서 대기업이라는 특성에 기인하지만, 공공연구 활용 관련 대기업들의 전반적인 추세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공공연구를 볼 때, 의도적인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이나 기술확산, 공식적인 협동연구에만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서, 유형A, 유형B, 유형C에 속하는 다양한 공공연구의 지식전파 경로들을 함께 고려하는 관점에서 관련정책들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다.
        5,400원
        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 의사결정단위(decision making unit: DMU)의 효율성을 추정하는 기법의 하나인 ‘확률적 프론티어 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을 사용하여 국내 공공 연구기관에 소속된 기술이전조직의 기술이전 관련 활동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확률 프론티어 분석에서 독립변수들은 효율적 생산기술(‘생산 프론티어’)에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생산 프론티어와 관측치의 거리로 표현되는 DMU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가정된다. 해외의 선행 연구에서는 인력, 연구개발비 등의 투입변수들은 생산 프론티어에 영향을 미치고, 그 밖의 환경 또는 조직 관련 변수들은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 및 조직변수들이 선행 연구의 영향 경로와 다른 방식으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밝히기 위해 여러 형태의 모형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입 요소 가운데 연구개발비가 성과의 증가에 가장 확실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유형, 기관의 소재 지역등의 환경변수들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이전과 관련된 보상시스템 등의 일부 조직변수들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변수와 조직변수들은 DMU의 효율성에 영향을 주기 보다는 생산 프론티어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부 모형에서는 거의 모든 DMU의 효율성이 1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효율성을 기준으로 공공 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활동성과를 평가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가적인 자료를 통해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더욱 일반적인 생산함수 형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산출 거리함수 등의 개념을 이용하여 복수산출물의 경우까지 분석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6,700원
        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measured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s. The study made use of DEA being one of the non-parametric linear programming to evaluat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s and to measure technology efficiency,
        4,000원
        12.
        2008.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measured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s. The study made use of DEA being one of non-parametric linear programming to evaluat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s and to measure technology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The measurement of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s are as follows: The cause of the technology transfer inefficiency was affected by pure technical inefficiency more than by scale inefficiency. The returns effect of scale varied depending upon characteristics of institutes: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but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different. The returns effect varied depending upo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es: The organizations at the metropolitan area had decreasing returns to scale, while the ones at local areas had not only increasing returns to scale but also constant returns to scale. Th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of public institutes varied depending upon the features of the organizations and regions: Th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of public institutes was as follow : public research institutes at the metropolitan area, public research institutes at the local areas, universities at the metropolitan area and universities at the local areas. In other words, th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was affected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more than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t the place where public institutes were located.
        4,000원
        18.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Research on the ability of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to conduct business is being conducted. Research on government support policy for public technology projects, emphasizes technology creation. Public agencies are encouraging evolutionary barriers at the stage of realistic business. This paper presents the policy possibilities by presenting policies and strategies based on corporate public polic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actual state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ased on the data on stat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public institutions.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data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y identifying success cases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Korea, there are not many research papers that provide policy alternatives for technical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review various government policies and check the statu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o increase its value. Results –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olicy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technology, becaus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value of technology users, suppliers, investors and customers through various network activ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fferentiated Korean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for the proliferation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y presenting methodical model of technical commercialization. Conclusions - Through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o create economic value,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research achievement, research method of excellent technology, and method of commercializing technology, and to create achievement of technical commercializ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strategies for creating value through utilization of public technology should be prepared, and a plan for mutual prosperity among domestic companies should be prepared. Policy alternatives of various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o build national competitiveness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examples of performance for the performance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hould be derived.
        19.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5년 이래 장수성(江蘇省) 문화사업이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고 문화시장이 갈수록 번영해졌다. 그러나 장수성(江蘇省) 문화발전은 현대화건설과 인민들의 다양화된 문화생활에 대한 수요를 다 적응할 수 없다. 문화시스템 개혁의 진전이 비교적 완만하고 문화산업 발전이 부족하며 지역 간 문화경쟁력이 약하기 때문에 총체적 소질을 높여야한다. 지금 장수성의 역사문화를 보호하고 이용하고 널리 알려야 하며 현재 갖추고 있는 문화자원과 물질자원을 재통합해야 한다. 가장전시기술의 활용은 사람 들에게 역사문화유산의 진실성과 완전성을 보여주고 또한 선진적이고 효율적으로 문화를 홍보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러한 방법은 곧 사라질 문화유적을 영원히 가상환경에 보존할 수 있고 사람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더욱 경험하고 싶게 한다. 가상전시시스템이 공공문화에 널리 활용하게 되면 문화 시스템 건설에 금상천화의 작용을 할 수 있다. 공공문화 서비스시스템은 주로 온라인서비스와 오프라인서비스로 나뉘어져 있고 두 가지 서비스의 대상과 전시형식은 크게 다르지만 최종적으로 정보와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대중에게 홍보하고 보급한 데 있다. 가상전시시스템을 공공문화 서비스시스템에 활용하면 전통문화의 전파가 더욱 직관적이고 구체적이며 취미성을 갖는다. 가상전시시스템의 영역은 광범위하고 사람들의 일상생활 곳곳에 커다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현 재 가상전시시스템을 단지 박물관의 디지털 등 전통 가상전시영역에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넓 은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가상전시시스템의 활용은 주요: 상품 디자인, 의료와 교육, 사업과 오 락 등을 포함한다. 가상전시시스템의 훌륭한 쌍방향성은 가상 쌍방향시스템 활용을 통한 공공문화서 비스시스템의 적용범위의 사람들을 결정한다. 과거 공공서비스시스템은 단지 현지참관을 할 수 밖에 없고 평면매체를 열람하는 것을 통하여 지식과 서비스를 누리기 때문에 공공서비스시스템은 더 많은 대중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현재 가상전시시스템을 통하여 취미성, 쌍방향성과 지 속성을 추가하여 여러 업계와 분야의 사람이 온라인의 취미성 전시를 통하여 더욱 편리하고 광범위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온라인의 가상전시를 통하여 샐러리맨들은 쉬는 시간에 공공서비스전시시스 템을 사용할 수 있어 시간을 대대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공문화서비스시스템 은 문화전파서비스와 전시작용에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