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기술혁신연구 KCI 등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17권 특별호 (2009년 12월) 12

1.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기술혁신시스템이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변환하는 과정에 대해서 일부 개념적 모형이나 탐색적 연구가 제시되었으나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였다. 한국이나 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선진국 기술추격과 탈추격형 혁신시스템으로의 진화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거시적 관점에서 국가 차원의 제도 및 정책, 산학연의 연구역량과 협력체계, 외국기술의 도입 및 활용 등을 기술추격의 성공요인으로 들고 있을 뿐, 미시적 관점에서 탈추격형 기술개발 성과의 사업화 추진 전략과 방법, 지원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Lee & Lim, 2001; Hobday et al., 2004; Kim, 1997). 최근의 연구들은 선도적 혁신을 위한 기술혁신시스템에서 사용자로서의 기업과 선도사용자인 고객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von Hippel, 2005). 본 연구에서는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의 변환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기술혁신과정에서 문제해결자의 역할을 하는 사용자혁신의 특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근거이론 접근방법(grounded theory approach)을 통해 주요 발견사항들을 정리한다. 특히 7P, 즉 혁신 주체(players), 과정(process), 성과(performance), 플랫폼(platform), 잠재력(potentiality), 목적성(purpose), 정책기조(policy framework)를 중심으로 사용자중심의 새로운 기술혁신시스템을 설계해 보고, 나아가 이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정책의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선도형 제품 및 공정혁신과정에서 나타나는
8,400원
2.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선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우리나라 D조선사와 S 조선사의 CAD 시스템 부문을 대상으로 사용자 혁신 내용과 과정, 그리고 사용자 혁신이 기업의 경쟁 우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복잡제품시스템(complex product system)에서의 사용자 혁신의 함의점과 CAD 플랫폼(platform) 자체의 진화에 따른 사용자 혁신의 한계를 조망한다. 사례 연구를 통해 본 연구가 발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기업의 설계 및 제조 프랙티스 및 관련 IT 시스템의 다양성과 특이성으로 인해 CAD 시스템 제공업체(vendor)보다는 CAD 시스템 사용자에 의한 응용모듈(application module) 혁신이 비용과 혜택 차원에서 더 경제적이다. 둘째, 조선업체는 응용모듈 혁신을 위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알고 있는 설계자와 CAD 시스템을 이해하고 있는 시스템 기술자로 구성된 팀 혹은 CoP (Community of Practice)를 통해 자체 개발하고 있고, 일부는 제3자 CAD 응용프로그램 개발 업체에 위탁개발하기도 한다. 셋째, 조선과 같이 매우 복잡한 부품과 설계 및 제조 프로세스로 구성된 복잡제품시스템에서의 사용자 혁신은 자신의 암묵적인 노하우를 외부로 노출하지 않는 동시에 자사의 설계에서부터 제조, 구매, 엔지니어링, 그리고 경영 프로세스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일정의 단축과 오작의 감소로 인한 품질과 원가경쟁력에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용자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 CAD 플랫폼 자체가 대부분 외국계 전문업체 공급자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그 결과 CAD 기술의 진화(Solid 3D 등)로 인해 플랫폼 자체가 변화함에 따라 그 위에서 진행되고 있는 응용모듈 의 지속적 효과(sustainability)가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부의 기술혁신 지원 정책과 기업의 혁신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7,800원
3.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테헤란밸리의 쇠퇴 이후 대다수의 벤처기업들이 새롭게 자리 잡은 대표적인 곳은 구로디지털단지 지역과 성남 지역이다. 구로의 기업 군집화는 정부의 의도된 계획과 개입을 통해 성장한 반면, 성남 지역의 기업 군집화는 자생적이고 자기조직화의 과정을 통해 성장하였으며 이는 복잡성 이론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조직생태학적 관점에서 급진적이고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성장한 대표적 벤처 생태계인 성남지역을 하나의 기업생태계 단위로 바라보고, 성남 지역 기업생태계에 일어난 조직변화의 양상을 복잡성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성남 지역기업생태계는 1990년대까지 전통적 제조업 기반이었으나, 이후 오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여러 가지 작은 변화들이 누적되어 첨단기업 중심의 기업생태계로 급진적인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이면서도 급진적인 변화 과정은 기존의 조직변화 이론으로는 설명되기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복잡성 이론의 관점에서 평형으로부터 먼 상태, 초기조건의 민감성, 상호작용 네트워크와 긍정 피드백 고리를 통한 변화의 증폭, 공진화라는 4단계에 따라 분석을 시도하였다.또한, 지역의 시스템 요소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기업생태계의 자생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복잡성 이론의 관점에서 연구한 본 논문은 우리나라 지역혁신체제의 지속적 성장과 효율적 발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6,700원
4.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esbrough가 2003년 그의 책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에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처음 소개한 이후 이 주제는 곧바로 학계, 기업가, 정책 담당자들의 주목을 받았고 다양한 학술 활동들을 촉발시켰다. 그러한 논의 속에서 개방형 혁신이 Chesbrough가 주장하듯이 과연 기업 혁신의 새로운 방법론, 혹은 패러다임인지에 대한 의문도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개방형 혁신에 관한 그의 논의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그의 이론이 정말 새로운 것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개방형 혁신이라는 이름은 새롭지만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은 새롭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우선 현상적으로 볼 때, 몇몇 산업사적 논의를 참조하면 개방형 혁신은 그의 주장처럼 20세기 말에 갑자기 나타난 현상이 아니며, 20세기 초까지 그 기원이 거슬러 올라감을 알 수 있다. 이론적 측면에서도 개방형 혁신 이론은 새로운 내용을 별로 담고 있지 않다. 몇몇 각론에서는 일부 진전된 논의가 보이기도 하지만, 그동안 기술경영 분야에서 기업 혁신의 방법론으로 탐구되었던 주제들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론이 추가된 것은 없다는 의미에서 그의 개방형 혁신 이론은 새로운 혁신 방법론이라고 보기 어렵다. 비즈니스 모델과 사내 벤처(corporate venturing)에 대한 논의에서 흥미로운 내용이 발견되기는 하지만, 그의 이론은 기본적으로 조직간 협력, 기술 라이선싱, 스핀오프, 사내 벤처와 같은 기존의 혁신 방법론들을 개방형 혁신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묶은 것에 다름 아니라고 볼 수 있다.
8,300원
5.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충교역은 국방과학기술의 다양한 획득방법 중의 하나로서 국외로부터 무기체계를 구매할 경우 반대급부로 핵심기술, 방산물자 및 부품 수출 등을 획득하는 국제무역거래의 한 특수형태이다. 우리나라는 국방과학기술력의 향상과 방위산업의 발전을 위해 1983년부터 절충교역을 추진하여 오고 있다. 절충교역은 일반적인 상업 무역거래와는 달리 절충교역 추진국가가 기술 수혜국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여 성공적인 기술이전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절충교역 추진 과장상의 운영의 묘미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그동안 절충교역 추진 효율성을 강화하고 실패사례를 줄이기 위해 절충교역 추진 목적과 정책을 전략적으로 개선하여 절차화⋅표준화해오고 있다. 최근 방위사업청 개청 이후 절충교역 추진 정책의 방향을 목표지향⋅성과지향적으로 설정하고 다시 한 번 제도를 개선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책적 방향성에 부합하는 실무적 절충교역 추진 모델은 미흡하여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존재한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절충교역 제도의 완성도를 높여 우리나라의 국방과학기술력 향상과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선순환 구조의 한국형 절충교역 추진 모델을 개발⋅제안한다.제안하는 한국형 절충교역 추진 모델은 현행 제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문현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선 필요사항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전체 절충교역 추진절차를 식별(Detection), 확보(Security), 이전(Transfer), 활용(Application), 확산(Diffusion)이라는 다섯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의 성공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8,300원
6.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공연구의 산업R&D에 대한 파급경로가 다양하다는 전제하에 우리나라 공공연구(대학 및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의 국내 기업들에 대한 파급경로 및 효과를 실증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공공연구의 다양한 파급경로들(논문, 특허, 보고서, 기술자문, 인력이동, 공동연구, 계약연구, 기술이전/라이선싱 등)을 유형화하고 이를 국내 S기업에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한다. S기업에 대한 사례분석은 S기업 관련분야 근무 경력자에 대한 면담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S기업은 주로 유형C(특히 기술회의와 기술자문/지도)와 유형D(특히 공동연구/계약연구)의 파급경로를 통해서 공공연구로부터 이득을 얻고 있었으며, 유형A(특히 세미나, 인력양성)도 일부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형B(논문, 보고서, 저서, 특허)는 매우 약하게 작동하고 있으며, 유형E(창업, 조인트벤쳐, 라이선싱)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사가 국내 재벌그룹의 계열사로서 대기업이라는 특성에 기인하지만, 공공연구 활용 관련 대기업들의 전반적인 추세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공공연구를 볼 때, 의도적인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이나 기술확산, 공식적인 협동연구에만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서, 유형A, 유형B, 유형C에 속하는 다양한 공공연구의 지식전파 경로들을 함께 고려하는 관점에서 관련정책들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다.
5,400원
7.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환경 ; 에너지 ; 안전 ; 고령화 ; 양극화 ; 보건의료와 같은 사회영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혁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기술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새로운 주체로서 ‘기술집약적 사회적 기업(technology-based social enterprise)’을 설정하고 그 의미를 탐색한다.이를 위해 우선 사회적 혁신의 개념과 기술집약적 사회적 기업의 특성을 정리하고 외국의 기술집약적 사회적 기업의 혁신 사례를 검토한다. 그리고 사례 연구를 귀납적으로 정리하여 기술집약적 사회적 기업의 혁신활동을 ‘파괴적 혁신’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논의를 전개한다. 이러한 논의는 경제 ; 경영 중심의 혁신전략과 정책에 대해 새로운 차원의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 사회적 기업을 둘러싼 논의에서도 기술집약적 성격을 갖는 새로운 유형의 사회적 기업 모델을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6,300원
8.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재원 배분은 과학기술정책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매년 심사와 조정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분야별, 경제사회목적별 연구예산에 대한 해당 이해집단 간 균형을 고려하면서 미래 전략분야에 대한 투자를 결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고도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제공한 2006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 분석 DB 및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투자선호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재원 배분을 위한 최적화를 시도하고 각 최적화 방법에 대한 비교분석을 제시한다. 최적화 목적을 경제사회니즈에 맞춘 경우와 미래 과학기술 수요에 맞춘 경우로 나누어 연구사업의 투자 분포가 어떻게 변화되는 지를 살펴보는 등 목표함수를 달리한 다양한 최적화 방식을 비교 ; 제시하였다. 이때 분석방법으로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s: LS)을 이용한 이차계획법 최적화와 편차의 절대값 합을 최소화하는 최소절대편차(Least Absolute Deviation: LAD)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최적화과정 중 가변변수를 사업비로 할 것인지 분야별 연구비로 할 것인지에 따라 다르게 산출된 최적화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두 방식에 의한 최적화 결과는 약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최적화의 정당성을 옹호하였으며 두 방법 모두 각각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LAD방법은 가변변수의 선정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점이 드러났다. 한편 최적화한 결과를 부처별로 정리한 결과 소방방재청, 기상청, 문화재청과 환경부의 연구개발비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주체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대학의 연구비를 소폭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600원
9.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경제에서 중소기업의 경제적 기여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의 연구개발 활동은 미진한 것으로 보인다. 5인 이상 전체 중소제조업체의 18%만이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투자 규모에 있어서는 중소제조업 총 매출액의 0.61%에 지나지 않는다. 이 같은 양상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그동안 다양한 지원책을 도입한 바 있다. 그 중 경쟁력이 있는 중소기업을 기술혁신형 기업(Inno-Biz)이나 벤처기업으로 지정해 지원하는 전략은 중소기업 지원정책에서 한 축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이에 관한 효과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형 중소기업 지정제도가 연구개발투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하여 입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정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간의 본질적인 특성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Treatment Effect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형 중소기업 지정제도는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높이는 유의미한 설명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정기업들과 비지정기업들 사이의 선택편의가 강하게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정된 중소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기술수준이 높고, 매출액 대비 교육훈련비나 연구인력의 비중이 높았으며, 전기전자나 건설엔지니어링과 같은 지식집약 서비스산업으로 분류되는 기업들의 경우에 해당되었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집약도는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지정기업이거나 고기술 기업군에 속할수록,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고숙련 인력구조에 가질수록, 기술개발 전담요원이나 기술개발 성공요인 등이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700원
10.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부기술지원사업의 성과와 파급효과에 대한 영향 요인들에 대한 실증분석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영향 요인들을 3대 차원(수요자, 공급자, 정책)으로 구분하고 이들 요인들이 Outputs(1차성과/기술적성과), Outcomes(2차성과/경제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光산업 기술력향상사업의 지원을 받은 37개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수요자 차원에서는 기업의 외형적 안정성이 Outputs(1차성과/기술적성과)에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수능력은 Outcomes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급자 차원에서는 오직 책임자 역량만이 Outputs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Outcomes에는 어떠한 요인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정책 차원에서는 과제선정 적절성만이 Outputs와 Outcomes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부기술지원사업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흡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하고, 이를 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며, 공급자인 지원기관의 기술사업화 역량을 강화하는 조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6,600원
11.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27개의 국내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업의 활용적(exploratory) 혁신활동 및 탐색적(exploitative) 혁신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영향이 혁신형 기업의 경우에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또한 기술환경 및 소비자환경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최근에 새로운 역량을 개발하는 탐색과 기존 역량을 바탕으로 하는 활용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두 가지 유형의 혁신활동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핵심질문은 대부분의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상충적인 전략적 요구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실증연구 결과, 활용적 혁신활동과 탐색적 혁신활동은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술혁신성과인 K마크인증, 신제품(NEP)인증 등 제품임의인증을 취득한 혁신형 기업의 경우 탐색적 혁신활동은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활용적 혁신활동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술환경 및 소비자환경과 같은 환경요인들은 두 가지 유형의 혁신활동과 경영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300원
12.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부 지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그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학계뿐만 아니라 정책담당자들에 의해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정부 출연 형태의 R&D 지원이 기업의 경영성과 및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기업의 내부 요인을 통제하고, 정부 지원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및 고용창출에 미치는 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부의 R&D 지원은 성과 향상에 일정 정도 효과가 있었으며 상황 요인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순 지원 여부 보다는 지원금의 규모가 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R&D 지원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향상 및 고용창출에 효과적으로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다수에 대한 소액 출연 방식에서 분야별 선택과 집중에 의한 대규모 투자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출연보다는 투자 방식의 자금지원이 중소기업들로 하여금 더욱 적극적으로 R&D 투자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분석 결과는 정부 R&D 지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R&D를 위한 자금지원이 다른 지원사업과 연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그러나 데이터의 한계로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업 전략과 같은 기타 요인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모형의 설명력이 전반적으로 낮다. 앞으로 정부 지원 효과를 더 정교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추가 데이터 확보와 분석 모형의 정교화를 통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