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kseoru is a pavilion building located in 44 Jukseoru-gil, Samcheok-si, Gangwon-do. Jukseoru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enter 5 bays out of the front 7 bays are in the form of Jusimpo, while the ends of each side are in the form of an Ikgong. In addition, the columns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because the columns of both compartments are out of the center rather than the columns of the center of the five compartments of the columns do not match each other. Based on this, architectural historical circles initially built five bays in pairs, but later added one space to each side to make it seven bays. Recently, however, a new claim has been made that it was built with seven bays from the beginning. Therefore, this paper proved that Jukseoru were expanded through historical data. We also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ukseoru period an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through comparison of the bracket type.
“혁명현실주의와 혁명낭만주의의 양결합”은 급진적인 사회주의화를 통한 정치적 결속과 경제발전의 필요성에 처해 있던 1950년대 말의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탄생한 창작방법이다. 신민가운동과 동시에 제기된 ‘양결합’은 모든 문예종사자들이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이었으며 문학의 수준을 가늠하는 유일하고도 절대적인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양결합’은 무엇보다 소련의 사회주의 현실주의를 대체할 민족형식으로서의 의미도 지니고 있었다. 이것은 문학창작방법으로 일컬어졌지만, 실상은 어떤 안경을 쓰고 과거와 현재, 미래를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그 시대의 대안이었다. 작가로부터 평론가, 선택의 자유를 제한받는 독자들까지 현재의 필요에 따라 과거를 재평가하고,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희망으로 은폐하며, 공산주의의 환상으로 미래를 꿈꾸어야 했던 ‘양결합’의 강제 속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혁명현실주의와 혁명낭만주의의 결합은 기존의 동서진영간 대립구도를 소련 수정주의를 포괄하는 대립구도로 전환시키고, 사회주의 현실주의에 대한 민족형식의 우위를 통하여 黨性에 의한 미래의 이념화와 미래에 의한 현실 속의 박투를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노선이었다.
최근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은 교육과정과 수업 개선을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초등교사들로부터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관심 속에서 많은 연구들이 백워드 교육과 정 설계와 실천에 대해 논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와 관련하여 교사들이 구체적으 로 어떠한 형식의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을 실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여전 히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에 있어서 초등교사들이 참 고할 수 있는 구체적 실천 형식을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모두 5개의 실천 형식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들이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에 교육에서 일어나고 있는 패러다임의 변화와 더불어 구성주의적인 교육관점에서 기존의 교육과정을 비판하고 반성하며 그 대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과정은 인간의 발달 중에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 육성에 치우쳐 인간의 총체적인 발달과 전인적 성장을 돕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상력과 창의력 같은 정서와 관련된 부분은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다양성을 추구하기 보다는 획일적인 인간을 기르는 교육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으로 인지적 발달 못지않게 정서적 발달을 강조하는 Egan의 이야기 형식 모형에 기반하였다. 이야기 형식에 기반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교과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초등학교 5학년교과의 차시 수업 개발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는 Egan의 이야기 형식 모형에 근거를 두고 초등학교 이야기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국어과, 수학과, 과학과 수업에 각각 적용해 보았다. 수업 적용 후 수업일지, 참관일지, 설문지, 면담자료 등을 분석하여 효과를 탐색해 보았다. 대안적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의 흥미 유발 및 학습 참여도를 높였고 배운 지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였으며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 또한 향상되었으며 기억 증진에도 도움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