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과 교과교육학은 대체로 교육방법이나 교육공학적 측면의 기법에 관심을 쏟는 경우가 적지 않은 듯하다. 그 교육내용은 한문학적인 전공지식에서 습득하도 록 한다는 취지이겠다. 그러나 실제 대학의 학부 3, 4학년 학생들의 상황은 한문 지식에 있어 최소한의 소양을 갖추거나 최소한의 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상태인 경우도 있었다.
반면 일선 중등학교의 한문 교과서는갈수록 그 내용이 다양해지고 있어 비록 교과서에 인용되는 원문의 수준은 높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 교재의 성격이나 최 소한 교과서에 인용된 내용이 포함된 부분의 원전을 확인해 보는 것 만 으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고는 대학의 한문교과교육의 한 과목인 ‘한문교재연구’의 한 사례를 보여주고 자 하였다. 좀 더 미시적 관점에서 한문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한문교재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충실한 지식과 다양한 정보를 가진 상태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차원적인 학술적 논의 보다는 상식적 내용과 학부생이나 교육대학원생의 수준에 맞는 내용을 다루고자 하였다.
이 논의는 지극히 좁은 분야를 다루었고 매우 주관적인 관점에 치우쳐 있지만, 하나의 사례로서 시사점이 있기를 희망한다.
본고는 韓國語를 專攻으로 운영하는 海外의 大學 중 이탈리아대학에서 이루어지는 漢字授業을 위한 漢字敎材의 內容과 構成에 대해 具體的으로 논의한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세 가지 部分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序文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한국어와 관련된 한자의 내용이 다루어졌다. 구체적으로, 韓半島에서의 漢字表記의 歷史, 漢字가 韓國語에 미친 影響 및 韓國語 內에서의 漢字의 位置 및 使用樣相 등을 論議하였다. 이 부분은 특히 非漢字文化圈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필요한 교육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교육 대상이 될 한자와 한자어의 선정과 관련된 부분이다. 이를 위해 현재 해외의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몇몇 韓國語敎材에 제시되어 있는 語彙 중 한자 및 한자어들을 대상으로 하여 네 가지 選定基準(造語力․頻度數․難易度․基礎字)에 따라 한자교재에서 다룰 한자를 選別하였다. 대상이 된 한자들은 다시 系列關係를 이루는 것이나 體系的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묶어서 領域別로 제시되었다. 본고에서는 총 390여개의 한자와 이들 한자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한자어 중에서 敎材, 日常生活, 時事的인 分野에서 자주 등장하는 것들을 選別하여 총 1110여개의 한자어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는 교재의 內容과 構成에 대한 부분이다. 이는 細部的으로 本文의 내용과 구성, 읽기의 내용과 구성, 연습의 내용과 구성으로 나누어져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ponents the writing textbook should have and offer a plan of the textbook for efficient education. Approximately 20 kinds of the textbooks on the market are analyzed in section 2. Components are selected through examination of related materials and preceding research in section 3. Also, the plan of the writing textbook is presented concretely, focusing on components in section 4.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Chinese letter is considered, which means that combination of strokes becomes single-component characters and that of single-component characters becomes multi-component characters are regarded when analyzing the components. In addition, rules of stroke order and number of strokes are classified as their basis and examples are presented. It also examined the standard of selection of entries, order of arrangements, type of letter, appendixes, and indexes. To edit the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above-mentioned standards, the process of selecting entries would be required and this will be made up for by follow-up research.
This paper is to suggest a proposal for creating directions for Korean textbooks with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and to present a lesson as a model. Korean textbooks with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which are us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recommended to express not only their inherent abundant stories but also various stories which posses cultural values reflecting various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nd modern societies. In addition, common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or social issues must also be included. Students will learn cultural knowledge regarding Korea through these reading materials. They will also understand the natural proper meaning and usage of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Readers will acquire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as expressive vocabulary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games and word puzzles.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often appear in reading materials such as newspapers and social or cultural books. Readers will grasp the text’s content, and as a result, will be able to easily approach various reading materials as well. Therefore, an ideal textbook for learning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must be develop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extbook is the materials of teaching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is sorted into the unit by the topics. If such units combine with some factors that are involved with the topic organizationally well, the text may be helpful in its own way. Thu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in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xt with the regard to both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and organization of such that construc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textbook could promote th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y to express their target language (Korean language) in the real language context or not.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should follow up on these progresses. First of all, (1)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some of the basic concept related to the textbook in chapter 2, (2) chapter 3 suggests other studies which have been done previously (3) chapter 4 presents the framework in the design of units, (4) chapter 5 analyzes the textbook with the framework suggested above. Finally, in chapter 6, this study sets up some components of the units making topics by focusing on the notion of organization.
본 연구는 설화를 중심으로 한 한국문화교재 단원의 구성 원리와 실례를 살펴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 교육과 한국 사회 정착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결혼이민자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기존 한국어교재 및 문화 관련 교재의 내용과 구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한국문화 교재 단원을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를 예로 들어 제안하였다. 단원은 크게 엄마, 아빠와 자녀가 협력하여 내용을 이해하는 단계와 한국의 언어문화와 행동문화, 성취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엄마(여성결혼이민자) 나라의 문화를 한국문화와 비교해 보는 확장된 활동 단계로 구분된다. 이 연구는 한국인에게는 대중적이나 결혼이민자들에게는 낯설 수 있는 설화를 제시함으로써 자녀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방향적으로 한국문화만을 제시하고 있는 기존 한국문화교재와 달리 여성결혼이민자의 모국문화와 한국문화를 비교해 보는 활동을 통해 그들의 문화적 자존감과 정체성을 확립하여, 이들이 한국 사회에 건강하게 정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지역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경남지역어 해라체 의문형 종결어미 ‘-가/-고’와 ‘-나/노’를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도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해라체 의문형 종결 어미 ‘-가/-고’와 ‘-나/노’의 제약조건과 지리적 분포를 확인한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역어를 학습하는 방법으로 탐구학습을 선택한다. 탐구학습은 가설을 세우고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모두 학습자가 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지역어 규칙을 스스로 도출한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법에 대한 자신감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지역어 사용 오류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