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이동 동사 ‘来/去’의 문법화 양상과 이에 따른 상(相) 의미를 분석했다. ‘来/ 去’는 [VP+来/去]의 연동문을 기반으로 ‘이동’이라는 본 의미에서 방향성, 시간성, 결 과성, 상태 변화 등으로 의미 추상화가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완결], [계속]과 같은 상(相) 의미를 획득하였다. 또한, 명·청 시기까지 문장 끝에 위치하여 사건의 발생, 변화를 나타내는 “사태조사(事态助词)”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현대 중국어 문미 ‘了’ 와 유사한 성분으로 발화자의 관점에서 이미 발생한 사건을 관망하는 완료상의 속성 인 “현재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来/去’가 지닌 사태조사로서의 의미 또한 본 의미 ‘이동’에서 시작된 문법화의 산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5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구문문법이론을 바탕으로, 한‧중 존재문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국어 존재문의 구문형식, 구문논항, 구문의미는 각각 ‘NL+VP+NP’, <장소 대상>, ‘어떤 장 소에 무엇이 존재함’이다. 그리고 한국어 존재문의 구문형식, 구문논항, 구문의미는 각각 ‘NL에 NP가 V어/아 있다’, <장소 대상>, ‘어떤 장소에 무엇이 존재함’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어는 동태존재문을 존재문으로 인정한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동태존 재문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한‧중 존재문의 구성요소인 장소어, 술어, 존재대상에서의 차이로 이어진다. 구문들 간의 연결을 설명하는 원리 중 하나인 ‘다의성 연결’은, 중국어 정태존재문과 동태존재문이 동일한 구문이라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더불어 전통적으로 논쟁이 되어 온 “台上唱着大戏”와 같은 문장도 동일하게 존재구문의 범주로 편입할 수 있게 해준다. 반면 한국어 존재문은 중국어처럼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되지 못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중국어 존재문과 한국어 존재문은 확장성의 크기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중국어 존재문은 확장성이 크고, 한국어 존재문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것은 구문의 실현양상이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5,200원
        5.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address grammaticalization of a defective verb takuta, focusing on its conjugated particle -taka in the construction of [noun/pronoun + case particle + taka], e.g., ultaka ‘Acc+taka,’ eytaka ‘Loc+taka,’ (u)lotaka ‘Inst+taka,’ hantheytaka ‘Dat+taka,’ eykeytaka ‘Dat+taka,’ yekitaka1 ‘here+taka,’ etc. In MK takuta regularly corresponded to Chinese characters 把/將(pha/cang) in translated forms, signifying ‘to possess,’ ‘to maintain,’ or ‘to grasp.’ The transitive verb takuta developed into an intransitive verb, an auxiliary, a particle, a connective marker, and a prefix, etc. Its meaning ‘to draw near’ emerged in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from its origin. Taka in the construction of [noun/pronoun + case particle + taka] can be contracted to just ta. The deletion of -taka does not affect the grammaticality of the construction, but nullifies emphasis which a speaker intends to express. Its grammaticalization will be accounted for by the mechanisms such as analogy, reanalysis, de-categorization, generalization, subjectification, etc. Usaged-based corpus analysis shows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trend of -taka in Korean.
        6.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n attempt to connect English material development and grammar teaching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looks at existential there constru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applications. To fulfill the pedagogical needs of the ‘There-constructions’, theoretical framework established to the present is examined and the frequency of authentic use is investigated on the ground of several corpora including non-native learner corpus. In addition, a writing task was given to Korean learners of English who were asked to describe pictures eliciting existential there related sentences and, as a result, the learners’ errors have been identified.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also, analyzed in light of a material evaluation checklist as a textbook, one of the main resources in EFL context, could reveal to what extent the learners are exposed to the corresponding grammar items. The study, eventually, draw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y presenting a communicative grammar teaching model as well as a material development guide to ‘There-constructions’ teaching.
        7.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The fact is that] construction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synchronic extensions of [The fact is that] > [The fact is,] > [Fact is,] (Kim 2001, 2003a) found in the present-day corpus (COBUILD 2000).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uch present-day extensions can be observed historically or not. For the historical data ARCHER (A Representative Corpus of Historical English Registers) Corpus (1999) and OED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will be used. These data will reveal that [the fact is that] construction has evolved along the grammaticalization path: [The fact is this.] + independent sentence [The fact is that] + complement clause > [The fact is,] + main clause > [Fact is.] + main clause. To conclude, this paper verities our claim that seemingly superficial THAT deletion and THE deletion do not represent optional ommission or performance errors but fit into the systematic language changes: the present- day variations reflect different stages in historical grammatic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