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ovides step-by-step suggestions for expanding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in New Northern Policy countries. To this end, a literature review was undertaken to explore the existing knowledge in the field, and surveys and onli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experts. According to the surveys, the New Northern Policy countries were highly accepting of multilingualism and multiculturalism, currently using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 to accommodate the global standard education model and seeking to strengthen English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Russian trend. Also based on CEFR, achievement standards are systematically pres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ivided into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with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urther subdivid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extra-curricular stream is mainly conducted in after-school programs. The proposed development phase of the Korean pro-language curriculum should establish a reference system including goals and grades that connects with the CEFR. Moreover,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urth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analyze the Korean language profiles of Korean learners.
        7,800원
        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석(우리나라, 미국 캘리포리아주, 영국, 일본), 우리나라와 일본 교과서의 지구과학 내용 분석과 초 중등학생, 교사, 교수, 교과서 저자에 대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내용은 과학과 4개 영역의 균등 분배, 단원의 세분화로 인한 내용구성과 연계성 부족, 그리고 나선형 교육과정의 과도한 적용, 지나친 탐구활동 중심의 교과서 내용구성으로 인한 학습량 증가와 체계적 개념 지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적정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 지구과학 영역 내용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내용 구성 및 연계 측면에서 볼 때, 각 학년에서 다루게 되는 내용을 과학 4개 영역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지 말고, 단원의 크기를 다양화해야 한다. 둘째, 학습량 측면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을 탈피하여 학년 수준에 맞는 내용은 해당 학년에서 종료되도록 하여 학년간에 중복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필수 탐구활동의 수를 줄이고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내용의 수준과 흥미 측면에서,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를 제고할 수 있도록 자연재해, 안전, 우주 관련 분야, 자원 등을 강조해야 한다. 아울러 교육 내용 적정성의 평가 준거 중의 하나가 실현 가능성임을 고려할 때,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주변 여건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3.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상향식 교육과정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협력적 실행 연구이다. 중앙 집중적인 교육과정 개발 체제를 따르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국가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개선 의견을 제안할 수 있는 공식적인 기회를 갖기 어려운 형편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는 단위 학교 에서 현행 국가 교육과정을 평가하고자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연구자-참여자 간 협력을 통해 개발된 교육과정 평가 모형을 적용한 결과,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국가 교육과정 평가는 교사들이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현장에 기반을 둔 유의미한 개선 의견을 도출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교육과정 제안자로서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주인-되기’의 역동을 형성하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글은 상향식 교육과정 평가 모형이 지속・확산되기 위한 향후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4.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성취기준이 교실 수업으로 실행되기 위한 실효적인 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이론적 측면 및 실천적인 측면에서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현재의 국가 성취기준을 좀 더 학년별, 교과별로 수직적, 수평적 정합성을 갖추도록 체계화시켜 개발하여 현장에서 재구성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하향식 설계를 제안하였다. 교과 수준에서 보면 성취기준들을 보다 의미 식별이 가능하게 좀 더 명확하게 진술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각 시·도교육청 지침이나 장학자료에서 실행 가능한 기준을 설정해 볼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다양하고 차별화된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교(교사)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개발할 때 안내 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실행 계획은 교육과정 연구회나 학습공동체 등을 통하여 집단적이고 전문적인 협의의 과정을 거쳐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창의적이고 자발적으로 수업에 적용할 때 국가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현장에서 구현될 가능성이 지금보다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5.
        2017.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아교육과정은 유아교육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중국 유아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중국 유아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중국 유아교육과정에 관한 제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중국 유아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두 국가수준 정책문서인 유치원 교육지도 요강(시행)과 3-6세 아동 학습 및 발달지침이다. 분석기준은 교육과정의 구성방향, 교육목표, 교육내용이다. 연구결과, 구성방향에서 중국 유아교육과정은 소질교육(素质教育)을 추구하며 유아의 개인차를 존중하고 활동과 경험을 중요시한다. 놀이를 기본활동으로 두어 구성되며, 교육과정의 영역은 건강, 언어, 사회, 과학, 예술 등 5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교육목표는 건강한 신체와 안전한 정서, 기본생활습관 형성, 지적, 언어적 발달, 사회 정서 발달에 초점을 두는 인간관계형성, 공동체 생활 능력, 국가, 집단에 대한 공동체의식 형성, 예술 경험과 표현 등으로 설정되었다. 유아주체적인 서술 특징과 결과지향적인 특징을 나타냈다. 교육내용은 교육목표에 맞게 구성되어 있으며, 개방적, 광범위적 그리고 목표지향적인 특징을 보였다.
        6.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 교실수업에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뉴질 랜드의 지원 사례와 그 내용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 연구, 핵심역량 설정과 관련한 뉴질랜드의 정책 연구 문서, 국가교육과정 기준 문서들, 교육과 정 온라인 지원 웹사이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뉴질랜드는 국가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을 도 입하는 과정에서부터 교사들의 다양한 참여를 독려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형성해 왔다. 그리고 교사가 교실수업에서 핵심역량을 구현하도록 하는 데 있어서는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 정립; 교육과정기준과 핵심역량의 통합 방법; 역량 신장을 위한 활동 계획 및 실행 전략; 핵심 역량의 평가 방안; 역량교육을 위한 학교장, 교사, 학부모의 역할; 교사 수업 연구 방향 등의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와 지침들을 제공함으로써 뉴질랜드 교육이 지향 하는 핵심역량 함양 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7.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가수준교육과정에서 통섭이 적용된 바를 알아보고, 시대적 요구와 반영에 관한 제안을 담고 있다. 교육과정에는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교육의 목표와 의도가 담겨있다. 따라서 현 시대의 사상적 조류와 흐름을 담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융합, 통합과는 다른 의미의 통섭은 각각의 경계를 인정하면서도 인식론적 접근의 확대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술과 교육과정을 통해서 통섭을 살펴보는 것은 시대적 요구와 방향을 진단하는 토대가 되기에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로써 통섭이 지니는 의미를 이해하고, 미술과 교육과정을 통하여 실행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나아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을 제안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8.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대적 요구에 맞춰 개정된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성 관련 교육내용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까지이며, 분석 준거로 사용된 인성 분류체계는 개인 영역의 내면적 자아, 외현적 자아와 공동체 영역의 대인관계, 공동체 의식, 민족성, 세계시민성의 6개 범주와 범주별 하위 내용이다. 분석결과, 모든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유아 인성 관련 교육내용이 나타났으며,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 이후에 빈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9.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에 대한 보편적인 입장을 담고 있는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시대적 요구에 맞춰 개정된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권 관련 교육내용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현행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까지이며, 분석 준거는 기본적 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적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의 6개 범주와 범주별 하위 내용이다.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권 관련 교육내용은 모든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나타났으며 제5차 교육과정 이후에 나타난 빈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내용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10.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의 경제생활 교육 관련 목적, 목표, 내용을 분석하여, 경제생활 관련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유아 경제생활 교육의 방향을 도출해 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총 7개 고시문(교육과정 원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국가고시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유치원에서 교육활동을 계획할 때에는, 정의적인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며, 이 역시 집단, 공동체 생활에 기반을 둔 것이어야 한다. 또한 내용에 있어서, 소비자 생활면에 있어서는 쓰다와 사다의 측면에서의 계획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생산자 생활면에서는 직업적인 요소를 갖추되 이에 생산적인 요소를 접목하여 교육활동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