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halanobis Taguchi System (MTS) is a pattern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has been used in different diagnostic applications make quantitative decisions by constructing a multivariate measurement scale using data analytic methods without any assumption
        4,000원
        2.
        2008.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halanobis Taguchi System (MTS) is a pattern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has been used in different diagnostic applications to make quantitative decisions by constructing a multivariate system using data analytic methods without any assumption regarding statistical distribution. The MTS performs Taguchi's fractional factorial design based on the Mahahlanobis distance as a performance metric. In this work, MTS used for analyzing Wisconsin Breast Cancer data which have 10 attributes. With the data, which have 10 different tests, collected from patients determine who has cancer or not. At this research MTS used for reducing the number of test with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attrivute and diagnosis result. The accuracy of diagnosis compare to previous research.
        3,000원
        3.
        200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halanobis Taguchi System (MTS) is developed by Genishi Taguchi as a part of his quality engineering methodology. The basic idea of Taguchi's quality engineering is looking for the way of effectiveness of analyzing multivariate system. In the MTS, with the standardized variables of healthy normal data, Mahalanobis Distance(MD) calculated and that can be discriminat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objects. If this discrimination process is successful, next step is optimization which is try to reduce number of attributes by neglecting less effective attributes to MD. Orthogonal Array (OA) and Signal to Noise ratio (S/N) are used to evaluate the amount contribution of each attribute to the MD. Wisconsin Breast Cancer study, from machining learning repository at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 used for examining the discriminant ability of MTS.
        4,200원
        5.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2개 선박회사로부터 입수한 1978년부터 1986년까지의 중요 기관고장에 관한 자료를 주성분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결과는 각성분의 인자부하량 크기에 따라 전기.자동제어기기, 보기류, 배관계, 과급기.냉동기류, 주기관계의 5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2. 기기의 고장현상을 발열.소손, 고장원인은 부식.마모 및 오조작, 그리고 기기이상검출의 수단은 누설.혼탁 등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주기관의 고장원인은 연료.윤활유 불량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주로 진동.이음에 의하여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가 많다. 4. 전기.자동제어기기 고장은 피해도 비교적 적으며 기계계의 고장 피해는 큰 편이다. 5. 주기관 등은 기기이상의 확실한 사실에 의하여 이상이 검지되는 경향이 매우 강하며 보기류, 과급기.냉동기.에어콘 등은 운전원의 감각적 판단에 의하여 이상이 검지되는 경향이 강하다.
        4,000원
        6.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변량 지역빈도해석은 기존에 사용되어온 다변량 빈도해석과 지역빈도해석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변수를 고려함으로써 수문현상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현재까지는 우리나라의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다변량 지역빈도해석이 시도된 적이 없어 국내의 수문자료를 대상으로 다변량 지역빈도해석의 적용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 지역빈도해석의 수문학적 동질지역을 설정하는 단계에 집중하여 이변량 수문자료인 연최대 강우량-지속기간 자료에 대하여 수문학적 동질지역을 설정하였다. 이변량 지역빈도해석에서 사용되는 지역 구분방법의 한국의 연최대 강우량-지속기간 자료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상청 71개 지점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해석방법으로는 K-medoid 방법을 적용하였고, 불일치 척도와 이질성 척도를 이용하여 지역구분이 적절히 되었는지를 판정하였다. 군집해석 결과 한국은 총 5개의 지역으로 나누어지며, 두 지역을 제외하고는 지역 내 모든 지점의 불일치 척도가 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연수가 짧은 지점에서 불일치 척도가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분된 모든 지역은 지역 내 지점들의 자료들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고 각 지점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역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 결과는 수문학적으로 동질한 지역의 구분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지역을 구분할 때에는 강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변수의 유형과 개수가 지역 구분의 효율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활용 가능한 모든 변수들의 정보를 요약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는 것이 지역 구분의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지역 구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다변량 분석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
        8.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racteristic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Incheon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The analysis data in coastal sea of Incheon was aquired by the NFRDI data which was surveyed from March 1997 to November 2003. Eleven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determined on each surve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 Water quality in Incheon coastal sea could be explained up to 64.62% by three factors which were included in loading of fresh water and nutrients by the land(36.98%), seasonal variation(16.19%), and internal metabolism (11.24%). The results of time series analysis by factor score, in case of factor 1, station 1 influenced by Han river was shown to high factor score and station 3 located by outer sea was shown to low factor score. In case of factor 2, station 1 was appeared to high variation and station 3 was appeared to low variatio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sta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 that has different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Especially, station 1 which affected by Han river and station 4 which affected by sewage treatment plant was appeared to considerabl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gainst other station. In yearly cluster analysis, three group was classified and water quality in 2003 years due to high precipitation was different to another year. It could be suggested from these resul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discharge of fresh water by Han river and sewage treatment plant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coastal sea of Incheon.
        9.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전국 59개 지점의 3개월 SPI 자료를 가지고 EOF를 유도하고 아울러 그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EOF 해석에 의해 나타난 Coefficient Time Series를 다변량 시계열 모형에 적용하여 SPI 시계열을 자료기간 10,000년으로 확장하였고 전국적인 가뭄심도를 판단하기 위해 전국 평균 지수를 이용하여 재현기간별 최대심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대권역의 댐 유효저수량과 농경지 면적을 이용하여 농업가뭄 대비능력을
        11.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ater quality in the Mankyung River using multivariate analysis. The analysis data which was surveyed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02 in Mankyung river was aquir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welve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determined on each surve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 Water quality in the Mankyung River could be explained up to 74.90% by four factors which were included in loading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by the tributaries(43.28%), seasonal variation(10.40%), loading of pathogenic bacteria by domestic sewage of Gapcheon (12.41%) and internal metabolism in river(8.81%).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sta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 that has different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Especially, Iksan river was appeared to considerabl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gainst other station. In monthly cluster analysis, three group was classified by seasonal characteristics. Also, in yearly cluster analysis, three group was classified.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ollutant loadings by domestic sewage and livestock waste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Mankyung river.
        13.
        199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ater quality in the Keum River estuar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sults was summarized as follow; Water quality in the Keum River estuary could be explained up to 70.40% by three factors which were included in the inffluent loading by the Keum River and Kyungpo cheon(38.99%), seasonal variation and organic matter pollution(19.05%), sediment resuspension and internal metabolism(12.35%). For spatial variation of factor score, artificial pollutant loading is highest at st.1, below Keum River barrage, and decreases toward the outer sea. For annual variation of factor score, factor 1 was highly related to artificial pollutant loading, and it was greatly increased in 1994. Also, organic matter pollution, sediment resuspension and internal metabolism were increased to every year. is necessary to control the nutrient loading by Keum river and Kyongpo cheo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estuary.
        14.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품종보존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토란의 생리, 생태적 특성조사와 다변량 해석법에 의한 수집계통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출현기가 가장 빠른 계통은 구례2이었고 평균 출현일수는 21.7일이었다. 대부분은 엽병색이 녹색으로 초형이 직립형 혹은 개장형이었으나 엽병색이 자색류을 띄는 계통은 초형이 총생형이었다. 수집종 대부분이 일반적인 자구생성을 보였으나 대만1 만이 기다란 포복경(匍匐莖)(runner)외에 자구의 생성이 거의 없는 전형적인 모구형 계통이었다. 평균 총수확량은 3,719kg/10a로서 상당히 높았고 주당 총자구중은 787g, 자구수는 39.2개, 평균자구중은 20.3g이었으며 모구중은 263.6g이었다. 총자구중과 평균자구중, 그리고 모구중까지 동시에 양호한 계통으로는 청주1과 완주1이었다. 주요 24개 형질을 대상으로 다변량 해석법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에서 지상부 엽병색이 56.8%, 자구의 형태가 44.4%로서 비교적 변이계수가 크게 나타났다. 유연관계의 거리D(D2)가 110인 선에서 11개의 계통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일본1을 포함하여 가장 많은 21 계통이 제2군에 포함되어 있고 대만1이 가장 유연관계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엽병색이 자색인 계통은 제3군의 3계통 중 두계통(음성1과 이천1), 제9군(부안2), 제10군(이리1)에 각각 한 계통씩 포함되어 있어서 다른 계통들과 구별되었다. 제8군에 포함된 청주1, 완주1, 완주3및 대천2는 모두 총수확량이 높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분류된 계통간의 유연관계는 지리적 분포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16.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 진동, 현풍, 왜관 지점의 연평균 유량자료에 대하여 다변량 추계학적 모형올 적용하여 가뭄특성을 해석하였다. 추계학적 모형으로는 다변량 자기회귀 (MAR) 모형과 다변량 contemporaneous 자기회귀 (MCAR) 모형올 사용하였으며, 잔차계열의 왜곡도 검사, 계열상관도(correlogram) 등의 적합도 검정을 통하여 MCAR(1) 모형과 MAR(1) 모형올 적정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MCAR(1) 모형과 MAR(1)
        17.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ring the last two decades, many industrial complexes for heavy and chemical industries have been established along the Korean coastline, thereby increasing the pollution materials burden on the coastal environment of seawater. Masan Bay is one of the most polluted coastal areas in Korea and the main soures of pollutants are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water from Masan, Changwon.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relationships among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the bottom water of Masan bay and to examin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o pollutions of seawater by factor analysis. The factor loading, 1 is showed higher increasing inclination after 1989 year in station 1. The variance of pollutant materials is showed 43.7% in which the coastal inflow water is indicated external loadings(factor 1 : NO3- -N, TN, factor 4 : SiO2-Si) corresponded to domestic sewage, industrial wastewater, and earth-sands in the bottom water of Masan bay. And the internal loadings(factor 2 : SS, salinity, factor 3 : W.T., DO) are explained 33.8% corresponded the phenomena of sedimentary layer and oxygen concentration. Therefore, The external loadings are explained by the higher factor pollutantal variance in Masan ba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