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중국 고대 우주론(宇宙論, cosmology)적 사유를 디지털인문학 (Digital Humanities)적 방법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 구는 철학과 사상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인문학적 연구는 ‘대규모 데이터(big data)’를 이용한 연구보다는 오히려 특정 텍스트 안의 한정된 ‘소규모 데이터 (small data)’를 분류, 재구성, 시각화하고 분석함으로써 더 유의미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는 입장에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태일생수」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정리, 분석하여 디지털인문학 적 방법을 통해 기존의 연구를 보완할 지점을 도출하였다. 중국 최초의 우주론 적 텍스트 중 하나인 「태일생수(太一生水)」와 중국 우주론에서 가장 중요한 위 치를 점하고 있는 「태극도설(太極圖說)」을 중심으로 중국 고대 우주론의 텍스 트들을 디지털인문학적 방법을 통해 데이터화하고 구조화하여 비교함으로써 중국 고대 우주론의 연속성과 발전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태일생수 」가 시간과 공간에서의 생성(generation)을 묘사하는 우주생성론(cosmogony)이지 만 우주의 공시적(共時的, synchronic) 구조를 관조하는 형이상학(metaphysics) 혹 은 존재론(ontology)의 단초 역시 가지고 있었고 후대 성리학의 「태극도설」은 형이상학/존재론적 우주론이 극단적으로 강조된 모델임을 논한다.
Architectural Drawing has been settled down the very effective means of exchanging their architectural ideas and data on the construction process. However, it was not easy to conserve the original drawings, which aims had been accomplished, at the same time, building was built. The same phenomena were occurred in our traditional architectural construction project, especially before pre-modern age. And do not understand soundly building documentation accepted by craftsmen in the period of earliest Chosun dynasty and how to present their idea and information of architectural as means of sketches and drawings. So, this paper aimed to clarify the drawing occurrence and the development steps of their rendering, representation methodology in the construction process in Sannungdogam-Uuigue, which were the construction documents of government based on the royal family's tomb and building project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re are three development stages of architectural space representation, pre-drawing stage, drawing occurring stage and drawing settlement stage, They had been adapted unique drawing presentation method which were drawn by artisan, so called Doseol(圖說)and Painter Hwawon(畵員) The results are 1. In the Pre-drawing stage, they had been used the systematic explanation method of character 2. Do not have the evidence of adapting drawing before 17th centry, it was originated in early 17's century started with Onga(甕家). Onga's Drawing was drawn very elementary skill, and became development, settlement and standardization of their drawing representation around 19th century 3. The drawing presented by client's recognition view of space and building, integrated data within a sheet of drawing with practical and hierarchy and using graphic and description.
이 글은 조선시대 생산된 中庸圖說을 분석해 해석 양상과 특징을 논구한 것이다. 『중용』해석은 단락을 나누어 요지를 파악하는 구조분석과 핵심주제어에 대한 심층해석으로 양분할 수 있다. 본고는 이 가운데 전자에 중점을 두어 도설을 통한 『중용』해석의 양상을 살핀 것이다. 조선시대 작성된 147개의 중용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의 요지를 뽑아 그린 全圖는 30여 개이고, 나머지는 장별로 요지를 뽑아 그린 章圖이거나 人心道心 등 핵심주제어를 도표화한 것들이다. 이 가운데 全圖는 구조분석과 논리접속에 관한 해석을 엿볼 수 있어 『중용』해석사에서 매우 주목할 만하다.
조선시대 최초로 中庸全圖를 그린 인물은 영남학파의 張顯光인데, 그의 「中庸之圖」는 주자의 4대지설이나 6대절설을 따르지 않고 정자의 설에 자신의 견해 더해 5대절설을 주장한 것이다.
그 뒤 17세기 후반 기호학파 朴世采가 「中庸總圖」를 그렸는데, 장하주의 설에 의거해 4大支로 구분한 최초의 도표이다. 17세기 후반 韓汝愈는 남송 말 饒魯의 6대절설에 의거하여 독자적인 6대절설을 제시하였으며, 주자의 『중용장구』 33장 체제를 수용하되 제5대절의 편차를 일부 개편해 재구성하였다. 한편 18세기 전반 기호학파 李泰壽는 대절별로 6장의 도표를 그려 전체의 구조와 요지를 도표화하였으며, 金載海는 『중용장구』 33장을 1綱·2目·4結로 파악하여 독특한 중용도를 그렸으며, 李顯益은 제1장을 외곽에 그리고 그 안에 나머지 장을 그렸는데 4대지설에 의거해 단락을 나누었다.
이처럼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반에 이르는 시기에 기호학파에서는 다양한 중용도가 그려졌는데, 송시열의 학통을 이은 韓元震의 중용도가 나온 뒤로 기호학파의 『중용』해석은 한원진의 4대절설이 널리 수용되면서 한동안 다른 성향의 도표가 나타나지 않고 大節圖나 章圖만 나타난다. 반면 18세기 전반 근기남인계의 李瀷은 『중용』도 『대학』처럼 經文과 傳文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해 제2장부터 제11장까지 공자의 말씀을 기록해 놓은 부분을 孔子中庸으로 보고, 그 나머지 장은 子思傳으로 보아 매우 독특한 해석을 하였다. 그러나 그의 문인 愼後聃은 스승의 설을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중용도를 그렸다.
18세기 조선학계는 중앙학계와 지방학계로 확연히 구분된다. 중앙학계의 소수학자들은 청대 고증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학풍이 변하였는데, 지방학계는 여전히 주자학을 근거로 하여 시대변화에 대응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방학계에서도 영남학계와 기호학계가 다른 성향을 보이는데,『중용』해석의 경우 18세기 후반 이후 작성된 독창적인 중용도를 그린 학자 20명 가운데 15명이 영남출신으로 영남학계에서는 주자학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모색을 하며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18세기 후반 이후 영남지방에서 작성된 중용도를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보면, 정자의 3분설,『중용장구』장하주의 4대지설, 「독중용법」의 6대절설, 4대지설과 6대절설을 통합하는 설, 3분설 및 4대지설과 6대절설을 모두 수용하는 설, 독자적인 5대절설 등이 있다. 이 가운데서 특히 이진상과 그의 문인 허유·곽종석 등에게서 나타나는 4대지설과 6대절설을 하나로 합해 유기적으로 파악하려 한 노력은 『중용』해석사에 주목할 만하다. 이 시기 기호학파에서도 한원진의 설과 다른 설이 등장하지만 소수에 불과하다.
조선시대 중용도 가운데 章別로 요지를 파악해 그린 章圖는 제1장도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제20장과 제33장을 그린 도표가 많이 보인다. 한편 중용도 가운데 『중용』을 이해하는 핵심주제어인 天命, 中庸, 中和, 九經, 天道人道 등을 그린 도표도 다수 발견되며, 「중용장구서」를 어떻게 구조적으로 이해할 것인가에 관한 序分節圖와 「중용장구서」에서 언급한 人心道心의 문제를 해명한 人心道心圖도 많이 발견된다.
이처럼 조선시대 학자들은 『중용』의 본지를 터득하기 위해 수많은 도표를 그려 논리구조와 논리접속을 파악하는 한편, 핵심주제어에 대한 부단한 논구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특징을 가진 해석은 동아시아 그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조선에서만 나타나는 해석의 특징이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자못 크다.
이 논문에서는 심성도설의 역사적 사례들을 살펴보고 심성도설의 의미와 함 께 심성도설과 심성우언소설의 관련양상을 검토하면서 심성우언소설의 문화적 위상을 점검해 보았다. 우리나라에서 도설은 매우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심성의 문제를 다룬 심성도설들은 성리학의 심성론이 심화발전하면서 매우 활발하게 나타났 다. 성리학에서는 ‘심성의 문제’를 가장 본질적인 인간 문제로 이해했으며, 인간 을 ‘심성적 존재’로 파악했다. 그리고 심성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무수한 심성 논의를 펼쳤다. 심성도설들은 이러한 심성론의 인간 이해에 바탕 을 두고 번쇄한 심성의 문제와 구조를 간명한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심성도설들 중에서 조식의 신명사도는 심성우언소설을 촉발하는 직접적인 계 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추상적인 관념들을 구체적인 형상의 이미지로 표현하 는 데 성공한 거의 유일한 도상이며, 번쇄한 심성논의를 한 장으로 응축하는 데 성공한 대표적인 심성도설이다. 신명사도는 성곽이 둘러선 비장한 전쟁터로 마 음의 풍경을 표현하고 있다. 성곽 안쪽에서는 敬이, 바깥쪽에서는 義가 주로 활 동하며 誠이 중간에서 이 둘을 매개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내부적 으로는 性을 함양하고 외부적으로는 情을 처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안이 된다. 심성우언소설들은 이러한 심성론과 심성도설들을 바탕으로 하여 탄생하였다. 그러므로 심성도설을 대표하는 신명사도와 심성우언소설은 여러 가지 면에서 공통점을 보여준다. 마음이 살벌한 전쟁터로 묘사되어 있다는 점, 경과 의의 실 천적 역할이 중시된다는 점, 인간의 정을 잘 처리하여 마음의 건강에 이르는 것 을 목표로 한다는 점, 불가시적인 마음을 구체적인 형상으로 표현하는 물질화 된 상상력을 발휘하였다는 점이 그것이다. 또한 심성우언소설은 심성도설이 가 지고 있는 표현의 한계성을 극복하면서 심성담론의 지평을 새롭게 확대하였다. 심성도설이 지닌 공간적 표현의 한계를 시간적 변이에 따른 서사적인 표현을 통해 극복했다는 점,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敬ㆍ義와 같은 심성적 기제 뿐만 아니라 술ㆍ담배와 같은 비심성적 기제를 활용하였다는 점, 교훈성과 실 천성에 한정하지 않고 새롭게 흥미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 의인의 기법을 더 욱 심화하고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심성론과 심성도설과 심성우언소설은 마음의 성인이 되는 방식을 통해 인간 구원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 구원 방식은 「천로역정」류와 는 다른 구원 방식을 보여주고 있어 비교연구가 필요하며, 세계문학사에서 ‘신 학적 담론’이 ‘도상학적 담론’을 거쳐 ‘서사우언 담론’으로 정착되는 일련의 과 정도 비교연구해 볼만 한 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