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라식수술 후 고위수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 기존의 라식수술을 받은 42안(23.43±2.06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눈의 고위수차는 파면수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라식수술안의 고위수차에 대한 모든 독립변수들의 기여도는 단순선형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LASIK 대상자의 전체고위수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후진선택방법의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 : 라식수술 대상자에서 전체고위수차의 RMS 값은 4 mm 동공에서 0.121±0.050, 6 mm 동공에서는 0.570±0.260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4 mm 동공의 전체고위수차와 관련 있는 변수는 각막절제직경과 OSI이었고, 6 mm 동공에서 전체고위수차와 관련 있는 변수는 각막두께, 각막절삭량, 각막절제직경, LCVA(photopic), HCVA(mesopic), MTF cutoff 등으로 나타났다. 최종 다중회귀모델에서, 4 mm 동공의 전체고위수차에 유의하 게(p<0.050)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OSI(p=0.036)로 나타났고, 6 mm 동공의 전체고위수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각막절삭량(p=0.016), HCVA(mesopic)(p=0.002), MTF cutoff(p=0.039)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라식수술 후 변화된 각막형상으로 증가된 고위수차가 눈의 광학적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면서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 적: 펨토초레이저(Fentosecond laser)를 이용한 라식 수술 후 이중경로방식(double-pass technique) 으로 시력의 질을 평가하였다.
방 법: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술을 받은 중등도 및 고도 근시안(평균 등가구면굴절력: -3.93 ± 1.48 D) 43명(85 안, 평균연령: 26.35 ± 6.8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력의 질은 수술 전과 수술 1주일 및 1개월 후에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OQAS) 장비를 이용하였고, modulation transfer function(MTF), Strehl ratio, objective scattering index(OSI) 및 객관적 시력(OQAS values, OVs)을 측 정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수술 1개월 후 MTF cutoff 값, Strehl ratio, OSI, OV100%, OV20% 및 OV9% 는 각각 41.67 ± 9.99 cycles/degree, 0.24 ± 0.06, 0.45 ± 0.19, 1.41 ± 0.28, 1.06 ± 0.26, 0.66 ± 0.18로 이 값들은 수술 전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MTF p=0.23, Strehl ratio p=0.19, OSI p=0.19). 또한 객관적 시력 OV100%, OV20%, OV9% 도 모두 수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95, p=0.10, p=0.10).
결 론: 펨토초레이저 라식 1개월 후 시력의 질은 수술 전 안경렌즈로 교정한 값과 차이를 보이지 않아 좋 은 시력의 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목 적: 라식 수술 전과 후의 사위도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20~40세 사이의 40명(남자 17명, 여자 23 명, 평균 연령 27.67±6.15세)을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째 각각 자각식 굴절검사, 원거리 사위 도, 근거리 사위도, PD 및 계산 AC/A 비를 측정하였다.
결 과: 수술 전과 후 등가구면굴절력은 -4.72±2.08D와 -0.03±0.16D로 -4.69±2.06D의 변화를 보였 다. 수술 전과 후의 원거리 사위는 0.81±1.75Δ 외사위와 0.73±1.75Δ 외사위로 외사위도가 0.09±0.41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81). 수술 전과 후의 근거리 사위는 2.91±3.91Δ 외사위에 서 3.44±4.02Δ 외사위로 0.53±0.91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01). 그러나 라식수술 전후 근거리 물 체를 볼 때 원용안경이 폭주와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보정하였을 때 근거리 사위는 수술 전 4.57±3.94Δ 외사위였고, 수술 후 3.48±4.02Δ 외사위로, 1.09±1.19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0).
결 론: 수술 전과 후에 측정한 원거리 사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근거리 사위는 수술 후 외사위 방향 으로 증가하였으며, 수술 전과 후 측정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원용안경의 기저내방효과와 조절 효과를 보정 한 후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했을 때에는 근거리사위도가 내사위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근거리사위도가 정상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라식수술에 의한 사위도 변화가 안정피로를 유발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적: 라식 수술 전과 후의 사위 측정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이 없고 안구운동과 양안시 기능이 정상이며 교정시력이 1.0 이 상인 20~40세 사이의 40명(남자 17명, 여자 23명, 평균 연령 27.67±6.15세)을 대상으로 자 각식 굴절검사, 원거리 사위도, 근거리 사위도, PD, 계산 AC/A 비를 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 째 각각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는 한 명의 검사자가 실시하였으며 자각식 굴절검사는 시험테와 시험렌즈 세트를 이용하여 단안에서 최고시력을 얻을 수 있는 완전교정값을 선택하였다. 수정 된 토링톤법으로 원거리 3m와 근거리 40cm에서 수직 및 수평사위를 측정하였으며 수직사위 가 있는 경우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수술 전 등가구면굴절력은 -4.72±2.08D, 수술 후 등가구면굴절력은 -0.03±0.16D, 차 이는 -4.69±2.06D였다. 대상자 40명 중 근시가 남은 사람은 10명, 정시가 된 사람은 21명, 원시가 발생한 사람은 9명이었다. 수술 전과 후의 원거리 사위는 0.81±1.75Δ 외사위에서 0.73±1.75Δ 외사위로 0.09±0.41Δ 외사위의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181). 수술 전과 후의 근거리 사위는 2.91±3.91Δ 외사위에서 3.44±4.02Δ 외사위로 0.53±0.91Δ 외사위의 증가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수술 전후 측정된 근거리 사위에 원용 교정안경에 의한 조절 및 폭주 요구량을 보정하였을 때 근거리 사위는 3.59±4.16Δ 외사위에서 3.48±4.02Δ 외사위로 0.11±1.01Δ 외사위의 감소를 보였으며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491). 결론: 수술 전과 후에 측정한 원거리 사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근거리 사위는 수술 후 외 사위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나 수술 전과 후 측정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원용안경의 기저내방효 과와 조절 효과를 보정한 후 동일 한 조건에서 비교할 필요가 있으며, 원용안경에 의한 효과를 보정한 근거리 사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수술 전 양안시 기능이 정상범위이거나 증상이 없는 경우, 수술 후 사위의 변화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웨이브프론트 라식수술에서 파면수차의 수술 전 특성과 수술 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웨이브프론트 라식수술(NAVEX EC-5000 CXⅡExcimer Laser System: NIDEK Co.)을 시행한 50안(27.64±5.2세)을 대상으로 수술 전, 수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의 시력, 굴절도, 파면수차, 제니케계 수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파면저위수차는 6.084±2.313 ㎛, 파면고위수차 0.396±0.092 ㎛, 총파면수차 6.100± 2.307 ㎛이었고, 제니케계수는 파면저위수차에서 틸트수차 0.520±0.255 ㎛, 난시와 디포커스수차 6.052± 2. 325 ㎛, 파면고위수차에서 구면수차 0.115±0.077 ㎛, 코마수차 0.214±0.112 ㎛, 세 조각수차 0.235± 0.087 ㎛, 고위난시수차 0.076±0.039 ㎛, 네 조각수차 0.094±0.042 ㎛이었다. 수술 후 6개월째 총파면수 차는 수술 전보다 3.42배 감소하였고, 파면저위수차는 3.67배 감소하였으며, 파면고위수차에서는 1.45배 증 가하였다. 제니케계수는 난시와 디포커스수차가 4.18배 감소하였고, 틸트수차는 1.29배, 구면수차 1.93배, 코마수차 1.45배, 세 조각수차 1.11배, 고위난시수차 1.75배, 네 조각수차는 1.47배 증가하였으며 세 조각수 차와 네 조각수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술 후 6개월째 파면저위수차는 자동굴절이상도의 구면 도수(r=-0.520, p=0.000) 및 구면렌즈대응치(r=-0.534, p=0.000)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총파면수차도 구면도수(r=-0.457, p=0.001) 및 구면렌즈대응치(r=-0.478, p=0.000)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웨이브프론트 라식수술 후 파면저위수차와 총파면수차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파면고위수차는 유 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구면수차와 고위난시수차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각막 굴절교정수술 전후 각막미란 및 안구건조증에 대한 변화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정량적 검사지표와 Diagnostic corneal surface digital photography를 이용한 Oxford corneal stain grading scheme을 사용하여 이들 검사지표의 변화와 유용성을 분석하고, LASIK 과 LASEK 시술군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굴절교정수술을 위해 내원한 환자 134명 (267안)을 대상으로 한 명의 술자가 LASIK(110안)과 LASEK(157안)을 시행하였고, 수술 방법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술 전과 술 후 7일, 1개월, 3개월 및 6개월에 각각 Tear break-up time(TBUT), Fluorescein stained corneal surface digital photography를 시행하였고, 또한 술 전과 술 후 1개월 3개월에 Schirmer test를 시행하여, 술 후 각막미란 및 안구건조증 검사지표의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Digital photography 에서 Corneal staining은 Oxford scheme을 이용하여 하였다. 안구건조증에 대한 정량적 검사 지표는 두 군 모두 수술 초기에 건조증이 심하였다가 시간이 경과할수록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TBUT와 Schirmer test는 추적 관찰기간 내내 술전 보다 낮았고(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