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명시적 학습에서 암묵적 요소를 최소화시킨 명시적 학습과 암묵적 학습의 운동학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었다. 방법: 36명의 피험자들은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피험자들은 배드민턴 경험이 없는 여자 중학생으로 구성하였다. 과제는 배드민턴 서브라인에서 반대편 코트에 위치한 목표물을 향하여 쇼트 서브를 정확하게 넣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운동학습 효과와 암묵적 운동학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습득단계 3(집단) × 4(분단), 파지단계 3(집단) ×2(분단), 그리고 지연파지검사단계에서 3(집단)×2(분단)에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습득단계에서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이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보다 수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파지단계와 지연파지단계에서도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이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보다 오차 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탁구 백핸드 스트로크 과제를 적용하여 암묵적 학습의 하나인 유사학습과 명시적 학습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교 체육 시간과 스포츠 지도 현장에서 학습자가 운동기술을 수월하게 습득하고 오래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방법을 찾아 적용하고자 한다. 첫째 유사학습 집단은 습득단계에서 명시적 학습 집단과 통제집단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사학습 집단은 파지단계에서 명시적 학습 집단과 통제집단과 차이가 있는가? 방법: 2016년 B시의 G중학교 스포츠 클럽 탁구반을 지원한 1학년 30명이며 연구과제는 탁구 머신기에서 나오는 공을 탁구 백핸드 스트로크로 표적을 향해 리턴하는 것이다. 동질성 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과 분단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를 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습득단계 절대오차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나 가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절대오차, 가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는 각 집단 분단에 따른 주효과와 집단과 분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둘째, 파지단계 절대오차, 가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고 가변오차에서 분단에 따른 주효과가 있었으나 절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에서는 분단에 따른 주효과가 없었다. 가변오차, 반경오차, 방향오차에서 집단과 분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탁구 백핸드 스트로크에 암묵적 학습의 하나인 유사학습이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학교 체육시간이나 스포츠 현장에서 학습자가 운동기술을 학습할 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유사학습이 기존의 명시적 학습 방법의 대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It has been debated that which method of implicit or explicit learning on motor skills is more effective in the field of motor lear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alogy learning as a means of implicit learning in rugby ball catch. Methods: The task was to catch a rugby ball falling without spin from a building about 8m tall. In this study, male middle school students(N=30) who have never played the sport before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analogy learning group, explicit learning group and control group. The analogy learning group was told to catch a baby doll, not a ball, falling from a building and read a news article describing that a person caught a baby falling from a building. They did not learn or receive any information regarding the rugby catching skill, but the participants of the analogy group had to cautiously catch the doll. On the other hand, the explicit learning group was provided with instructions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skill and physical movement, and the participants in this group were asked to catch a rugby ball falling from the building. The control group was given no focus instructions. All participants practiced the task (8 times x 5 blocks) and performed a delayed retention test, delayed transfer test, and crossing task transfer test after two weeks. Results: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explicit instructions and no instructions, the implicit instructions indicated that the analogy learning group enhanced learning on the delayed transfer test. The result means that it might be more beneficial than a direct explicit instruction focusing on physical movements of task itself. Conclusion: Thus, this study provided the evidence of the learning benefits of an implicit instruction for the rugby catching task.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coaches, instructors, and teachers apply a new method when teaching a novice as verbal instructions or directly teaching how to do it are not always necessary.
        5.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암시적․명시적 학습이 배드민턴 서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무선표집된 36명의 여자고등학생으로 이들은 각각 첫째, 암시적 학습 집단, 둘째, 명시적 학습 집단, 셋째,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배치되었다. 연구대상자는 40회의 습득과 20회의 파지 단계 수행을 실시했다. 과제는 실내 배드민턴 코트에서 3.5m 거리 대각선 반대편에 설치된 표적판을 향해 배드민턴 서브를 실시하는 것이었다. 데이터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종속변수는 방향오차(DE), 절대오차(AE), 가변오차(VE) 및 반경오차(RE)이다. 연구의 결과, 수행단계에서는 각 집단 간의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파지 단계에서는 암시적 정보제공 집단이 명시적 정보제공 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절대오차를 작게 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암시적 정보제공 방법이 잠재적으로 운동학습을 향상시키는 하나의 방법 또는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