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의 두 주요 축제인 '하이서울페스티벌'과 '서울세계불꽃축 제'를 중심으로 축제와 도시 브랜딩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해관계자 역할 의 중요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공 주도와 민간 주도 축 제의 특성, 정부의 역할과 규제가 축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축제가 서울 의 도시 브랜딩에 기여하는 방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접근법을 채택하여 46명의 축제 관계자 및 참가자들과의 심층 인 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주제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축제의 소유권과 운영 방식이 축제의 성격과 도시 브랜딩 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의 역할과 규제 수준이 축 제의 창의성, 자율성,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축 제는 서울의 도시 브랜드 강화에 기여하고 있으나, 정치적 변화에 따른 도시 브랜드 슬로건의 잦은 변경이 일관성 있는 브랜드 구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넷째, 축제의 문화적 콘텐츠가 도시 브랜드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이 축 제의 성공과 도시 브랜딩에 핵심적인 요소임이 드러났다. 연구의 결과는 축 제와 도시 브랜딩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도시 브랜딩을 위한 축제 활용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특히 이 해관계자들의 역할과 협력 방안을 분석함으로써, 축제의 성공적인 운영과 도 시 브랜드 강화를 위한 통합적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국내 수출중소기업의 시장지향성, 브랜딩역량, 신제품개발역량 및 경쟁우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가 수출하는 제품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상공회의소의 DB를 바탕으로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07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다. 경로분 석을 실시한 결과, 시장지향성은 신제품개발역량 및 수출경쟁우위를 제고하였으며, 신제품개발역량은 경쟁우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나 브랜딩역량은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유형에 따른 변수 간 관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제품개발역량, 브랜딩역량 그리고 경쟁우 위에 대한 시장지향성의 긍정적 영향력은 산업재 수출기업보다 소비재 수출기업에 대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 나, 경쟁우위에 대한 브랜딩역량의 영향력은 소비재 보다 산업재 수출중소기업에게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한 산업재와 소비재 기업 모두에 신제품개발역량은 수출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중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수출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재생을 위한 플레이스 브랜딩 구축으로 도시 활성화를 위해 차별화된 플레이스 브랜드 개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공사례를 토대로 각 도시마다 지니고 있는 문화상징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 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시 재생은 쇠퇴하고 낙후된 구도시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없애고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재활성화 를 추진하는 사업이다. 도시재생이라는 도시발전 전략을 통해 이루어진 효율적인 브랜딩 구축은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 고 방문자와 거주자를 포함한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레이스 브랜딩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플레이스 브랜딩 전략을 도입하여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이미지 구축 과정이 필수적이다. 플레이스의 핵심 가치를 찾아내고 그 가치들을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합시킴과 동시에 그 가치를 증대시키 는 적극적인 전략이 요구되며 이러한 이미지 구축 과정에서 문화상징요소의 활용이 필요하다. 플레이스 브랜딩의 가치는 지역의 문화상징요소들의 상징화와 구체화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지역 및 도시 브랜드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차별화된 플레이스 브랜딩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상징요소들을 파악하고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여 선택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지역 고유의 역사성, 특수성, 상징성의 문화를 활용 한 플레이스 브랜딩 전략구축이 있어야 한다.
소닉 브랜딩은 소리를 활용하여 브랜드 가치를 창조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닉 브랜딩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브랜드 정체성의 청각적 요소인 소닉 로고는 보통 비주얼 로고와 함께 쓰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닉 브랜딩의 형태이다. 소닉 브랜딩이 중요한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거의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 공명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소닉 브랜딩에 대한 신경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15명의 오른손잡이 참가자의 뇌 반응이 3T MRI 장비를 통해 스캔되었고, 청각 자극 없이 여러 장의 브랜드 로고 사진(광고에서 소닉 로고와 함께 제시되었던 비주얼 로고 사진 20장과 광고에서 소닉 요소가 없었던 비주얼 로고 사진 20장)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소닉 요소가 없었던 비주얼 로고에 비해 소닉-비주얼 로고가 청각 심상과 관련된 뇌 영역(예를 들어, 상측두이랑)의 활성화 증가와 연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닉-비주얼 로고에 대한 브랜드 친숙도, 광고 친숙도가 높을수록, 이러한 영역의 활성화 정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identify and develop improved management practice and competitive edge through co-branding which has been adopted extensively in the States. There is no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 of co-branding. The term has been used interchangeably with labels such as brand alliance and composite branding. This study is exploratory in nature and at best a pilot study as few academic research are found dealing with actual cases between hotels and restaurant companies in Korea. Through related literatures reviews and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sight as to the methods and activities of co-branding and a framework to help industry professions identify co-branding opportunities to enhance the productivity.
A study of the comparison of custo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at McDonald's two types of outlets is presen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est correlation among selection attributes,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of customers patronizing two types of Mcdonald's restaurants - stand alone and co-branded, as Mcdonald's is known to be actively participating in co-branding with discount stores such as E-Mart. In order to measure customer loyalty, benchmark scores from customers showing extreme satisfaction are compared to the mean scores of total sample customers at each outlet. Meeting or exceeding benchmarking scores does not automatically bring in and create loyal customers but in doing so will certainly help build up strong customer relationship which will create additional loyalty. Marketers should be well aware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o exist between these two groups of customers and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se findings in opening up new outlets or renovating existing out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