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립생태원 캠퍼스의 탄소수지를 정량화하 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현장조사는 국립생태원 캠퍼스의 기존 식생 중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서 가장 넓은 면적 을 차지하고 있는 곰솔군락과 밤나무군락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순생산량(NPP)은 상대생장법을 적용하여 측정하였고, 토양호흡량은 EGM-4를 적용하여 측정하였 다. 곰솔군락과 밤나무군락의 순생산량은 각각 4.9 ton C ha-1 yr-1과 5.3 ton C ha-1 yr-1으로 나타났고, 종속영양 생물 호흡량은 각각 2.4 ton C ha-1 yr-1과 3.5 ton Cha-1 yr-1으로 나타났다. 순생산량과 종속영양생물 호흡량을 차감 계산하여 얻은 순생태계생산량(NEP)은 곰솔군락 과 밤나무군락에서 각각 2.5 ton C ha-1 yr-1과 1.8 ton C ha-1 yr-1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곰솔군락과 밤나무군락의 생태계순생산량 지수를 기존 식생에 적용 하고 다른 연구로부터 얻은 여러 식생유형의 생태계순 생산량 지수를 도입 식생에 대입하여 평가된 국립생태 원에 성립된 전 식생의 탄소흡수능은 147.6 ton C ha-1 yr-1로 나타났고, 이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하면 541.2 ton CO2 ha-1 yr-1이었다. 이러한 탄소흡수능은 에코리움으로 알려진 유리온실을 비롯하여 국립생태원 내 여러 시설 을 운용하며 배출하는 탄소량의 62%에 해당한다. 이러 한 탄소상쇄능은 대한민국 국토 전체 및 전형적인 농촌 지역인 서천군의 탄소상쇄능의 약 5배에 해당한다. 현재 진행 중인 기후변화가 지구적 차원의 탄소수지 불균형 에 기원했음을 고려하면, 본 연구에서 시도한 토지이용 유형을 반영한 공간차원의 탄소수지 평가는 기후변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생태원에 조성된 한반도숲은 기후에 따라 우리나라 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식물군락을 그대로 옮겨 복원한 생태 식재림이다. 본 연구는 2013년 4월부터 8월까지 12개 군락 으로 구성된 한반도숲에서 발생하는 외래식물들을 조사하 여 그 현황과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고, 지속적 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외래식물을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 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한반도숲의 외래식물은 총 72종 류로 26과 57속 62종 10변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귀화식 물은 18종으로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큰비짜루국화와 망 초 등 국화과에서 15종으로 가장 많았고 벼과 12종, 콩과 9종 등의 순으로 많았다. 귀화율은 28.1%로 신갈나무군락 (냉온대낙엽활엽수림)에서 가장 높았고 전나무군락(22.0%, 아한대침엽수림), 소나무군락(15.2%, 난온대낙엽활엽수 림),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락(15.1%, 난온대상록활엽수 림), 잣나무군락(12.5%, 냉온대낙엽활엽수림), 졸참나무군 락(11.6%, 난온대낙엽활엽수림), 구상나무군락(11.1%, 아 한대침엽수림), 신갈나무군락(10.0%, 온대낙엽활엽수림) 과 개서어나무군락(10.0%, 난온대낙엽활엽수림), 서어나무 군락(9.8%, 온대낙엽활엽수림)과 소나무군락(9.8%, 온대 낙엽활엽수림), 굴참나무군락(9.6%, 온대낙엽활엽수림) 순 이었다. 한반도숲 전체의 귀화율은 6.7%였다. 도시화지수 는 3.1%로 신갈나무군락(냉온대낙엽활엽수림)에서 가장 높았고 구상나무군락(2.8%, 아한대침엽수림)과 붉가시나 무-동백나무군락(2.8%, 난온대상록활엽수림), 소나무군락 (2.4%, 난온대낙엽활엽수림), 소나무군락(1.7%, 온대낙엽 활엽수림)와 굴참나무군락(1.7%, 온대낙엽활엽수림) 그리 고 졸참나무군락(1.7%, 난온대낙엽활엽수림), 잣나무군락 (1.4%, 냉온대낙엽활엽수림)와 서어나무군락(1.4%, 온대 낙엽활엽수림) 그리고 개서어나무군락(1.4%, 난온대낙엽 활엽수림), 신갈나무군락(1.1%, 온대낙엽활엽수림) 순이었 다. 한반도숲 전체의 도시화지수는 6.3%였다. 외래식물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군락의 유형에 따라 경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활엽수와 침엽수에 따른 경향도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온대낙엽활수림대의 신갈나무 군락, 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다른 군락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온대낙엽활엽수림대의 식물군락들 이 직선상인 한반도숲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외부로부터 의 식물 유입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숲의 식물군락은 생태식재 후 약 1년이 되어 완전히 활착되지 않은 상태이며 가지와 잎이 적어 임상으로의 빛의 투과가 많은 상황이다. 장기적으로 한반도숲의 지속적인 관 리로써 식물군락이 활착하여 수관이 더 풍성해지면 빛에 민감한 외래식물의 발생이 점차 제한될 것으로 사료된다.
        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의 대상지는 경상북도 예천군 상리면 고항리 일원이며 기존의 산업곤충연구소와 연계한 예천 곤충 BIO 생태원 조성이 주 목적이다. 계획의 기본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과 인간이 공존 ․ 공생하며 예천군의 소득기반창출을위한 공간조성을 유도하였다. 둘째, LOHAS 개념에 입각한 공간조성을 유도하였다. 셋째, 기존의 산업곤충연구소와연계한 차별화된 주제공간을 조성함으로서 연계성을 극대화 시켰다. 이상과 같은 본 계획은 낙후된 예천군의 이미지제고 및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역 정체성 강화 및 향후 곤충 BIO 엑스포 행사의 공간적거점지역으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sect fauna in the four insect garden sites of Suwon, Yeongyang, Buyeo and Yecheon from 2005 to 2007. Seasonal population size of insects was largest from June to August in all the four sites. In the four sites, Coleopteran insects were dominant followed by Hemiptera and Orthoptera. Unique education/learning programs are successfully run at the insect gardens based on the three geographic types (i.e. urban, mountainous and rural). These activities will help preserve insect biodiversity in the area and visitors better understand life forms such as insects found in the areas.
        4,000원
        5.
        2009.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6.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생태원을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 곤충의 다양성 변화를 조사하고 기주식물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조성 후 1년 차인 1998년부터 2001년까지 4년간 발생하는 곤충 종을 조사하였다. 식재 4년차인 2001년 4월부터 11월까지 조사된 곤충으로 총 11목 138과 343종 5,744개체가 채집되었다. 곤충의 발생은 4월부터 7월 사이에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으며, 특히 6월 말에 가장 많은 곤충 종들이 출현하였고 딱정벌레목의 곤충이 종 및 개체수에서 가장 많았다. 우점종으로는 딱정벌레목의 등빨간먼지벌레, 나비목의 배추흰나비, 노린재목의 투명잡초노린재 순이었다.
        4,000원
        7.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관광객의 방문동기 유형별로 관광객이 인식하는 사전 중요도와 사후 성취도 간 비교 분석을 통해 광주호 호수생태원의 생태관광 매력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호수생태원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관광객의 기대수준과 만족도가 실질적으로 반영된 생태관광지 매력속성을 도출하여, 차별적이고 세분화된 생태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생태관광지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 결과, 광주호 호수생태원은 자연환경 측면의 생태적 가치, 전망시설, 이용 편의성과 관련된 속성들을 호수생태원의 대표적인 매력성으로 유지 및 발전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반면에 다채로운 자연생태계 체험프로그램, 아동용 자연학습프로그램, 환경해설판 충분성 여부, 안내직원의 전문성 수준 항목은 생태관광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 노력이 우선적으로 집중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자연생태계에 대한 생태탐방인프라, 해설용 안내정보와 관련된 속성은 중요도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성취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과잉 개선 노력이 투입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