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누구나 초·중·고등학교 정규 교과 과정을 통해 음악의 구성 원리, 음악의 실제와 관련된 여러 가지 규칙과 이론을 배운다. 이러한 이유로 ‘음악의 기초이론’ 하면 어렴풋이 떠올리는 것은 정규 교과과정중배웠던음계, 화음, 조성 등일것이다. 이와같은용어들은‘기초이론’을뜻하는용어임 에 틀림없다. 하지만 ‘기초이론’의 범위는 이를 배우려는 목적과 용도에 따라 의외로 광범위하다. 관련 서적 역시 이를 반영하는 듯 지은이의 집필 목적, 교육 의도, 교육 방향 등에 따라 다루는 내용이 다르다. 음악을 배우는데 있어 기초이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클렌다이닝은 음악 전문가나 음악관련 종사자에게 기초이론의 습득은 그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전문적 지식을 넓혀 준다고 주장한다. 대중문화에 민감한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늘여러가지소리에둘러싸여있다. 우리를둘러싼소리, 음향, 대중음악등을다양한자료로음악의 기초이론과연계시킨다면누구나음악의구성 원리를 좀더쉽게 배우고 즐길수있을것이다. 이에 대한일환으로 이글의본론에서는우리에게익숙한음향과음원에서기초이론이활용된예를발췌 하여분석해보았다. 전공생들을 위하여그리고음악애호가들을위하여‘음악의기초이론’은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이 글이 그 해답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6,700원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nglish as elective subjects for 11~12 grades in Korean high sch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survey including a total of 1,923 participants, consists of 728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984 high school students, and 939 par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nine questions, and which were designed to elicitat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needs on English as the elective subjects in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1) we need the subjects that include 4 skills(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2) bind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ogether will meet the need of students and parents who want to choose conversation-only subjects, 3) on the other hand, bind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together will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s who want to prepare for establishing the academic basis in the future. 4) Various proficiency in English between students requires various level of the elective subjects in high school English.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we need 1) the subjects which deals with 4 skill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concept, and 2) ‘listening and speaking’ subjects and ‘reading and writing’ subjects. And the subjects should have various levels between the highest level to the lowest level.
        6,400원
        4.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by examining physical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for managing advanced optional subjects of physical education, organizing and managing of the subjects, and the reality of class management and evaluation, to reflect pi
        5,700원
        5.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n foreign languages can be offered in the middle schools since 2001,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However, in reality, only five languages have been taken as elective subjects in these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basic directions for choosing elective subjects and its implication, by using statistic analysis about different motives in choosing Spanish. The first chapter begins mentioning some evaluations about Korean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on choosing foreign languages in the middle schools,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second chapter, statistic research method and data collection information ar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are described with SPSS cross tab tables. As a conclusion, the fourth chapter summarizes this study and recommends that elective courses should be chosen by students themselves, neither by school nor by others.
        6,000원
        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was defined by the American Supplier Institute in 1987 as a system for translating consumer requirements into appropriate company requirements at every stage, from research, through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to manufacture, distribution, installation, and marketing, sales and services. Although QFD has complex and tedious procedure to complete, it has now been in use in the world for at least 15 years because QFD enables us to catch a lot of fruitful information on the give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d analyze the trend on the choice of subject course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QFD. The data a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The samples for this study are randomly chosen from the universities in Seoul, Kangnung, and Samchok during 3 months (2000. 3∼20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for service of students but also for opening of courses.
        4,300원
        7.
        200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was defined by the American Supplier Institute in 1987 as a system for translating consumer requirements into appropriate company requirements at every stage, from research, through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to manufacture, distribution, installation, and marketing, sales and services. Although QFD has complex and tedious procedure to complete, it has now been In use in the world for at least IS years because QFD enables us to catch a lot of fruitful information on the give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d analyze the trend on the choice of subject course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QFD. The data a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The samples for this study are randomly chosen from the universities in Seoul, Kangnung, and Samchok during 3 months (2000. 3 ~ 2000. 5)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for service of students but also for opening of subject courses.
        4,000원
        8.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eneral aspects of the selection of science subjects for the enterance examination of college and the factors affecting on tendency of the selection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data of registration records from a preparatory school for examine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the students choose biology and the rest of them chemistry, earth science and physics in order. Secondly, the difference of the tendency of selection of subjects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are not found. Third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the national preliminary enterance examination for college and that of the trial examination in preparatory school is neglibibly small.
        4,000원
        9.
        202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국어 진로 선택 과목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어 관련 직업과 직업에서 많이 요구 하는 세부 전공 요건을 조사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한 후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광고언어학”, “언어와 시각 예술” 요건이 연결 중앙성 값이 높게 나타나 많은 국어 관련 직업에서 동시에 요구하는 요건인 것으로 파악되었고, “광고언어학”과 “신문방송학”이 사이 중앙성 값이 높게 나타나 국어 관련 직업들을 서로 이어주는 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요건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이들 내용과 관련한 과목을 국어과 진로 선택 과목을 신설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선택 과목이 갖추어야 할 ‘위계성’, ‘총체성’, ‘실제성’, ‘완결성’을 다각도로 고려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지만, 국어 진로 선택 과목을 탐색하기 위한 초기 연구로서, 추후 본격적인 국어 진로 선택 과목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10.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인적자원부는 2006년 8월에 고시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1-10학년)에 맞추어 2006년 12월 31일에는 11~12학년 선택과목 개정시안을 고시하였다. 우선 7차 교육과 비교하여 개정시안의 가장 중요한 변화는 과목 명칭의 변화와 함께 시수단위가 8단위 5개 교과목에서 6단위 6개 교과목으로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즉 종래의 “영어Ⅰ,Ⅱ”, “영어독해”, “영어회화”, “영어작문”의 5과목에서 영어Ⅰ,Ⅱ는 통합 4기능을 교육한다는 원래의 목적을 살려 그대로 두고 주로 개별 기능 분야에 해당하는 독해, 회화, 작문을 교사, 학부모를 상대로 광범위한 설문지 조사결과를 토대로 읽기․쓰기Ⅰ,Ⅱ와 듣기․말하기Ⅰ,Ⅱ, 즉 통합기능으로 묶어 6개 과목으로 분리하는 방안을 택하였다는 것이다. 사실 선택교육과정은 7차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교육현장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이로 인하여 시․도교육청과 단위 학교로 하여금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문제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선택교육과정의 기본 체계에 따른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점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그동안 일반적으로 제기된 중요한 문제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대학입시제도에 영향을 받는 고교 교육현장에서 많은 학생들이 심화 선택 과목에 중점을 두지 않고 있으며 학교에서도 다양한 선택과목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둘째, 국가수준에서 지나치게 이완된 형태를 취함으로써 특정 대학의 입시 정책에 의해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식이 결정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학생 선택을 강조했으나 실제 대부분 학교에서는 소수의 교사가 맡을 수 있는 과목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다음와 같은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다. 즉, 선택 대상보다는 선택 주체 위주로 설계되었다거나, 과정 선택보다는 과목 선택형으로 설계되었다는 점, 대입 준비 과정인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일반선택과목의 이수 시기나 분량이 부적절하다는 점, 학생들이 이수 과목들이 대학입시와 직결되어 있다는 점, 학교에서 학생 대상의 요구 조사를 실시하기는 하지만 학교의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학생이 원하는 선택 과목을 충실히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 학교의 교과목 개설은 학생 요구보다 교수 수급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보편적인 견해이다. 선택 주체, 선택 대상, 학생의 학습권 보장, 교사 수급과 배치, 학생 수용 등과 관련하여 안정적인 운영의 틀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학생 선택을 통한 교과목 개설과 운영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박순경 외, 2004). 이 글의 목적은(7차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여 발표된 개정시안의 주요내용과 특징 및 개정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11.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그 동안 체육 교육계의 관심은 체육과 선택 과목의 ‘필수 선택화’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체육과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이론적, 학문적인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진했다. 최근 소수의 선행 연구들을 통해 체육과 선택 과목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지만, 체육과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부족한 현실이다. 체육 교육계에서는 3-4년의 짧은 체육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선택 과목의 한계점을 발견하기 시작하였다. 가장 주목할 만한 한계점은 체육과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이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취지와 정신을 온전히 수용하지 못한 채 개발되었다는 점이다. 일반 선택 과목인 ‘체육과 건강’ 교육과정의 방향과 세부 내용들이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인 체육과 교육과정과 차별성이 없고 체육학 분야의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권민정․김경숙, 2004; 유정애 등, 2004; 유정애 등, 2005a, 2005b). 또 다른 측면의 한계점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체육과 심화 선택 과목의 경우 보통 교과의 과목에 해당되는 교육과정이 개발되지 못했고, 체육 계열 전문 교과의 과목에 관한 교육과정을 선택하여 활용하도록 조치가 취해졌다. 그 결과 일반 고등학교에서는 학생의 배경과 특성에 부합되지 않은 전문 교과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었고, 더불어 체육 교과서 없이 수업을 진행하거나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에 맞지 않은 교과서를 그대로 활용하는 사례가 나타나게 되었다. 2004년도에 조사한 설문 조사(유정애 등, 2004)에 따르면, 97% 이상의 체육 교사와 전문가들은 보통 교과로서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개정에서는 이와 같은 제7차 체육과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 한계점을 극복하고, 보다 바람직한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체육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개정하게 되었다.
        12.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지식이 중심이 되는 산업 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지식 기반의 산업 사회는 기존의 전통 산업에 신기술을 접목시켜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 전반의 고부가가치화 하려는 노력도 함께 추진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교육 과정은 기존 교육 과정의 근본 골격을 유지하면서, 사회적 변화와 학문의 발전 그리고 학교 현장의 요구 등을 반영하는데 중점을 두어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거의 모든 내용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불가피하게 이루어졌다.
        13.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등학교 물리 선택과목 개정 작업은 2006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교육인적자원부 수탁사업으로 수행하였으며,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이를 수정․보완하여 2007년 2월에 고시하였다. 본 글에서는 2007년 2월에 고시한 물리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특징 및 개정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14.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2007년 2월에 개정·고시된 새 국어과 교육과정 중 선택 과목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은 이미 확정되어 고시된 국어과의 선택 과목 교육과정을, 특징과 의의를 중심으로 하여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국어과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새 국어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를 부분적으로 지적하고자 한다. 새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은 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 매체 언어를 두고 있다. 이 선택 과목들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영역을 확장하고 심화하는 것이므로, 선택 과목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의를 살필 때에는 일차적으로 기본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러나 개정된 국어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의 특징은 제7차 국어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더 명료하게 드러난다. 교육과정의 개정은 이전 교육과정과의 차이를 전제로 하며 그것의 수정과 보완을 함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제7차 국어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을 비교의 예로 드는 가운데 개정된 국어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