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과 2011년 추계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 집구조와 그들의 성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만내외측의 19~20개 정점에서 생물학적 요인과 무생물학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영양염 첨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10년 현장 10개 정점의 표층수를 이용하여 생물검정실험을 수행하였다. 2010과 2011년의 영양염 수평적 분포특성은 내만해역I (정점1~9)과 섬진강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해역II (정점10~1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해역III (정점15~20)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해역별 차이가 명확하였다. 반면, 크기별로 분획된 Chl. a함량은 영양염농도가 낮은 해역으로 갈수록 극미소(Nano와 Pico)크기의 생물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양상은 2010년보다 2011년이 두드러졌다. 2010년 은편모조류가 대부분의 정점에서 85% 이상으로 우점하였고, 2011년에도 은편모그룹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군집중 대부분의 정점에서 50% 이상의 높은 비율을차지하였으나, 2010년의 출현개체수의 1/10 수준에 머물렀다. 은편모그룹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생물군이 규조류 Chaetoceros spp.와 Skeletonema spp.로 나타났다. 생물검정실험에서는 전 해역에서 N첨가군과 NP첨가군의 효율이 대조군과 P첨가군에 비하여 높았고, 특히 현장 영양염농도가 낮게 기록된 정점8과 20의 NP영양염첨가군에서 약 2배의 높은 효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광양만에서 추계 갑작스럽게 높은 영양염이 공급될 경우 Skeletonema spp.와 같은 영양염 흡수능이 뛰어난 생물이 우점할 수 있을 것이며, 성층붕괴와 같은 일정량의 지속적인 영양염공급은 세포크기가 작은 기회성 특징을 가진 은편모그룹의 성장에 유리한 조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600원
        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해만 광역해역에서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수평적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16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밀도와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66종이 출현하였고, 전체의 80% 이상이 규조류의 점유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와 라피도조류순으로 관찰되었다. 규조류의 우점종은 Chaetoceros affinis, C. didymus, C. pseudocurvisetus,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
        4,000원
        4.
        199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산진흥원 소속 부산 851호에 의해 1987~1990년 (4개년)과 1992~1993년 (2개년)의 하계 (7~9월)에 북태평양 (34˚~47˚N, 150˚ E~170˚W)에서 오징어채낚기 (오징어손줄낚시)에 의해 시험조업하여 어획된 6종의 오징어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오징어종류별 어획수충, 해양환경(수온, 염분) 및 어획률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어오징어는 아한대영역의 위도 41˚~43˚N 인 71~80m 수층의 수온 6~11℃, 염분 33.2~33.6‰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2. 갈구리오징어는 아한대영역의 위도 41˚~42˚N인11~20m 수층의 수온 10~12℃, 염분 32.9~33.6‰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3. 살오징어는 아한대영역 및 이행영역의 위도 40˚ 및 42˚N인 11~20m 수층의 수온 15~18℃,염분 33.6~34.0‰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4. 빨강오징어는 아한대수렴선 및 이행영역의 위도 39˚~41˚N인 표층~10m 수층의 수온 16~17℃, 염분 33.7~34.4‰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5. 두줄무늬빨강오징어는 아열대영역의 위도 37˚~39˚N인 11~20m 수층의 수온 18~20℃, 염분 33.8~34.6‰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6. 노랑점빨강오징어는 아열대영역의 위도 36˚~37˚N인 표층~10m 수층의 수온 24~25℃, 염분 34.2~34.4‰‰ 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4,900원
        5.
        1992.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평자장을 건 Czochralski(HMCZ) 방법으로 자장강도(B)와 도가니 회전속도(C)가 실리콘 단결정의 산소편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B=2, 3, 4kG와 C=4-15rpm에서<100> 방향으로 성장시킨 57mm 직경의 단결정들 내의 산소분포는 대체로 축을 따라서 불균일하였고 톱니모양을 나타내었다. 종래의 CZ 방법과 비교할 때, 이러한 산소분포의 불균일성은 위 강도의 수평자장이 결정성장계면으로의 산소전달에 불안정한 요소로 작용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C의 증가는 산소분포의 불균일성의 약화와 산소농도의 전반적인 증가를 유도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B=2kG에서 27-36ppma인 산소분포를 가진 단결정이 프로그램된 C에 의해서 얻어졌다. 소자제조공정을 모의한 열처리 과정에서 HMCZ 실리콘의 산소석출은 종래의 CZ 실리콘의 산소석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불균일하였고, as-grown 상태에서의 고르지 못한 HMCZ 실리콘의 산소분포가 주요 원인임이 밝혀졌다.
        4,000원
        8.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태평양 오징어 유자망어장의 표면수온과 어획량의 변화에 의한 어장의 수평분포를 최근 4개년간(1986~1989)의 주어기(5~10월)에 한국 어업기술훈련소, 국립수산진흥원, 일본 북해도대학, 대림수산(주), 오양수산(주) 등이 작성한 해양관측자료에서 발췌한 표면수온자료와 한국 어업기술훈련소 실습선과 이 어업에 종사한 어선 5척에서 조사한 어획량의 자료를 위도 1˚, 경도 2˚ 간격으로 구획한 해구에 대하여 전질처리한 평균표면수온과 단위노력당어획량을 월별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장형성범위는 5월에는 35˚~40˚N, 178˚~166˚W , 6월에는 36˚~41˚N, 178˚E~166˚W, 7월에는 38˚~44˚N, 170˚E~170˚W, 8월에는 39˚~44˚N, 144˚~180˚E, 9월에는 39˚~44˚N, 144˚~170˚E, 10월에는 40˚~44˚N, 144˚~154˚E였다. 2. 어장의 분산은 5, 6, 10월에는 경도방향과 위도방향의 해구수가 거의 같았고, 7, 8, 9월에는 경도방향의 해구수가 많았으며, 특히 8월은 1년중 경도방향의 분산이 가장 컸고, 어장중심은 5월에는 3888해구, 6월에는 3884해구, 7월에는 4078해구, 8월에는 4154해구, 9월에는 4146해구, 10월에는 4044해구였다. 3. 어획수온과 어획적수온은 5월에는 14.0~18.5℃, 15.0~16.0℃, 6월에는 13.5~18.5℃, 14.5~16.0℃, 7월에는 14.0~20.0℃, 14.5℃, 19.0℃, 8월에는 16.0~21.5℃, 18.0~20.0℃, 9월에는 14.5~22.0℃, 17.0~18.5℃, 10월 14.0~18.0℃, 16.0~17.0℃였다. 4. 평균CPUE는 5월에는 3.2kg/sheet, 6월에는 4.5kg/sheet, 7월에는 4.3kg/sheet, 8월에는 5.1kg/sheet, 9월에는 6.4kg/sheet, 10월에는 5.8kg/sheet였다. 5. 한국정부의 1990년 북태평양 오징어 어업감시계획과 실제의 어장형성범위를 비교하면 5월에는 어장이 형성된 21개 해구 가운데 12개, 6월에는 24개 가운데 7개, 7월에는 25개 가운데 4개 해구에서 조업이 규제되고, 8월 이후의 어장에서는 어업규제수역에 해당되는 해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analyzed diurnal variations in the surface air temperature using the high density urban climate observation network of Daegu in summer, 2013. We compared the time element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diurnal variation of surface air temperature. The warming and cooling rates in rural areas are faster than in urban areas. It is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of surface heat capacity. In addition, local wind circulation also affects the discrepancy of thermal spatiotemporal distribution in Daegu. Namely, the valley and mountain breezes affect diurnal variation of horizontal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During daytimes, the air(valley breeze) flows up from urban located at lowlands to higher altitudes of rural areas. The temperature of valley breeze rises gradually as it flows from lowland to upland. Hence the difference of air temperature decreas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t nighttime, the mountains cool more rapidly than do low-lying areas, so the air(mountain breeze) becomes denser and sinks toward the valleys(lowlands). As the result, the air temperature becomes low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11.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represents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ources and receptors for road traffic noise in apartment complex. Also we suggested that the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in the complex apartment have been derived using a different analysis for evaluating levels of Leq1h by the apartment floor at a given distance from a road in terms of the flow rate, the mean speed of the traffic, and the percentage of the type vehicles in the day and night periods. As a result, the contribution orders of traffic quantity by the type of vehicles showed as followed: light vehicle>medium vehicle>heavy vehicle>motorcycle. Especially, the mixing ratio of entering the road on the heavy vehicle in the daytime wa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in the night. The speed in all types of vehicle is in the range of 41 and 81 km/hr and nois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ay and night-time. The sources of road traffic noise had different variations and uncertainties using a random variable and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sound distribution to receptors by the apartment floor showed S curve between 1st floor and 15th floor With the normality test, the normal distributions using Anderson-Darling Test followed 1st, 3th, 13th and 15th floor in the daytime and all floors except 7th floor in the night (p>0.05). And also, the value of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 obtained in this study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range of floor.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evels of Leq1h on the sources and receptors of road traffic noise in apartment complex must be improved and developed on the guideline of regulation of road traffic no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