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실리콘 잉크의 평판 오프셋 인쇄 적성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에서 실리콘 잉크는 전극 형성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며 고해상도의 패턴을 재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오프셋 인쇄는 스크린 인쇄보다 패턴 형성을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오프셋 인쇄에서 실리콘 잉크의 레오로지적 특성들은 매우 중요하다. 실리콘 잉크를 IGT 인쇄적성 시험기로 인쇄된 인쇄물의 광학 농도, 잉크 전이량, 광택도 그리고 항복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리콘 잉크를 오프셋 인쇄법으로 인쇄가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 하였다. 광학 농도는 신문 용지에서 PDMS 잉크가 일반 오프셋 잉크보다 높았으며 10 poise의 PDMS에서 가장 높게 측정 된다. 실리콘 잉크의 오프셋 평판 인쇄가 가능하면 좀 더 빠른 속도로 방수인쇄나 전자인쇄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flake type hybrid silver powder와 poxy type hybrid binder로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용 실버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실버 페이스트로 그라비어 오프셋인쇄법을 이용하여 30/30㎛(line/space) 를 연속적으로 300장 인쇄가 가능했다. 130℃에서 20분 동안 오븐에서 경화시켰을 때, 선저항은 약 10.4Ω㎝, 연필경도는 4H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터치 패널용 narrow bezel전극으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25% offset high speed frontal impact is the vehicle will crash left 25%(Quarter of the width of the vehicle). 47.6% of drivers killed in vehicle alone and car to car frontal impact occurred in frontal impact small overlap. Study on the occupant protection performance of 25% offset(small overlap) high speed frontal impact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vehicle occupant protection performance, body structure was excessive intrusion into the passenger room and showed such improvement is needed for the design. This is due to a collision risk with the passenger and the solid body increases the risk of injury, showed that improvement is needed. To strengthen the safety of the future, propose improvements on the evaluation results of a statistical analysis and test of the industry and the policy makers.
Among the various roll-to-roll printing technologies such as gravure, gravure-offset, and reverse offset printing,reverse offset printing has the advantage of fine patterning, with less than 5µm line width. However, it involves complexprocesses, consisting of 1) the coating process, 2) the off process, 3) the patterning process, and 4) the set process of the ink.Each process demands various ink properties, including viscosity, surface tension, stickiness, and adhesion with substrate orcliché; these properties are critical factors for the printing quality of fine patterning. In this study, Ag nano ink was developedfor reverse offset printing and the effect of polyvinylpyrrolidone(PVP), used as a capping agent of Ag nano particles, on theprinting quality was investigated. Ag nano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60nm were synthesized using the conventional polyolsynthesis process. Ethanol and 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EGPE) were used together as the main solvent in order tocontrol the drying and absorption of the solvents during the printing process. The rheological behavior, especially ink adhesionand stickiness, was controlled with washing processes that have an effect on the offset process and that played a critical rolein the fine patterning. The electrical and thermal behavi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PVP in the Ag ink. Finally,an Ag mesh pattern with a line width of 10µm was printed using reverse offset printing; this printing showed an electricalresistivity of 36µΩ·cm after sintering at 200oC.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공법을 이용하여 미세 패턴 전극을 형성하였고, 패턴 형성에 대한 블랭킷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블랭킷의 용제 흡수량과 경도의 차등을 주어 실험을 하였다. 그라비어 오프셋은 블랭킷이 얼마나 용제의 흡수와 배출을 적절한게 하느냐에 따라서 연속 인쇄성과 여러 가지 인쇄적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총 4가지의 종류별 블랭킷의 테스트 결과 흡수량이 가장 높고 경도가 가장 낮은 블랭킷이 4가지 블랭킷 중 가장 인쇄적성과 전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nalyzed about influence of the seat back strength on neck injury in low speed rear offset impacts. MADYMO human model with the detailed neck model was used to define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internal forces acting on the cervical spine during rear impact. The analysis of neck motion and soft tissue neck injury(STNI) were studied using the lumped parameter model. Increased strength of the seat back resulted in increased ligament and disc forces. On the other hand, decreased strength of the seat back resulted increased force. It is clear that an appropriate strength of seat back allows to minimize a neck injury.
계량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저서어를 대상으로 에코적분을 행하는 경우, 적분범위의 하한을 결정하기 위해 설정하는 해저기준이나 해저오프셋은, 저서어 자원량추정의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해저부근의 어군에코의 해석으로부터 해저기준의 결정방법과 최적 오프셋에 관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1) 적분층의 폭을 5m로 하여, 적분범위를 1샘플링씩 해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저부근의 S§uba5m/의 변화를 본 결과, 해저부근의 어군에코를 적분하기 위해서는, 적분범위의 하한을 가능한 해저까지 접근시켜야 한다. 2) 에코레벨의 역치로서 해저검출을 행한 경우, 역치가 클수록 해저 검출 불능횟수가 증가하고, 작을수록 해저 오검출 횟수가 늘어 났다. 3) 에코레벨의 최대변화점을 해저기준으로 한 해저검출법은, 그 정도가 매우 높았으며, 나아가 에코레벨의 변동에 대해 아주 안정한 해저기준 알고리 즘으로 적합하였다. 4) 이 해저검출 알고리즘에 의하면, 최적해저오프셋은 해저 기준으로부터 0.4ms이내였고, 이것은 펄스파형과 해저지형에 대한 음향빔에 의존한다.
본 논문은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에 대한 제안을 목적으로 70층 규모의 아웃리거 건물을 대상으로 일반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MIDAS-Gen을 이용하여 계획설계 수준의 구조설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주요 변수는 전단벽의 강성, 프레임의 강성, 아웃리거의 강성, 아웃리거에 접합된 기둥의 강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최상층의 수평변위, 아웃리거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 아웃리거의 최적위치에 대한 기존모델 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초고층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시스템의 최적위치를 찾는데 필요한 구조공학자료를 얻는데 도움이 된다고 사료된다.
본 논문은 바닥 격막을 고려한 코어 및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70층 규모의 초고층 아웃리거 건물을 대상으로 MIDAS-Gen을 이용하여 구조설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해석연구의 주요 변수는 슬래브의 강성, 전단벽의 강성, 아웃리거의 평면상 위치이다. 또한 본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슬래브의 강성과 전단벽의 강성이 바닥 격막을 고려한 코어 및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해석연구의 결과에서는 슬래브의 강성, 전단벽의 강성, 아웃리거의 평면상 위치가 초고층 아웃리거 구조시스템의 최적위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분석하여 나타났다. 그리고 본 논문의 결과는 초고층 아웃리거 구조시스템의 최적위치를 조사하는데 필요한 구조공학자료를 얻는데 도움이 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optimal location of offset outrigger system in high-rise building after a structural schematic design of 80 stories building was conducted, making use of MIDAS-Gen. In this research, the key factors of analysis study were column stiffness, outrigger position in plan and outrigger location in height. For the aim of finding out the optimum position of offset outrigger system in tall building, we studied the lateral displacement in top floor which is the very essential variables in the structural design of high-rise building.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 column stiffness, the outrigger location in plan and outrigger location in height had an effect on the optimal position of outrigger system. Also, it is indica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ful in acquiring the structural design materials for seeking the optimum position of offset outrigger system in tall building.
This research would investigate deeply the operation of an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that is able to move with high acceleration. For the high acceleration performance, the vehicle utilizes the structure of Active Split Offset Casters (ASOCs). This paper is mainly focused on inverse kinematics of the structure, hardware design to secure durability and preserve the wheels’ contact to the ground during high acceleration, and localization for the real time position control.
eLoran (enhanced Long Range Navigation)의 구축을 위해서는 로란시스템 설비업그레이드, 시스템 정보데이터 채널추가, dLoran (differential Loran) 사이트, ASF(Additional Secondary Factor) 데이터베이스 등이 필요하다. 특히 eLoran 송신국들의 정확한 UTC (세계협 정시, Coordinated Universal Time) 동기는 eLoran 시스템의 항법성능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송신국들의 정확한 UTC 동기를 위해서는 송신국의 절대 지연시간 측정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측정된 송신국 지연시간의 변화량을 보정정보로 이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 LORAN-C 송신국(9930M)을 대상으로 수신지점에서의 TOA(Time of Arrival) 산출을 위한 송신신호의 기준시점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지연측정 시스템 및 송출신호 위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포항 송신국의 기준시점을 평가하였다. 측정결과 포항 송신국의 기준점 오프셋은 -2.23μs로 측정되었으며 송신 로란펄스의 위상을 관측한 결과 1 개월간에 약 0.3μs 정도 흐르는 것이 관측되어 로란의 PNT(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활용을 위해 위상 모니터링과 보상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