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shown increased interest in and participation in smart factories in order to survive in market competition. However, many SMEs build smart factories without a systematic review or preparation, which leads to them not being able to use them properly. This study considers the main reason for the low utilization rate of smart factories to be a lack of sufficient reflection of user requirements. Therefore, a method and procedure for deriving the priority of smart factory requirement functions and operating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QFD is proposed as a solution to this issue.
The ILI, developed by the IWA (International Water Association), has been used in many countries as an indicator of water leakage. In Korea, the revenue water has been used as a performance indicator for waterworks although there is an opinion to replace it with the ILI. Hence, it has been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the ILI can replace the revenue water in Korea. The four main operating indicators (i.e., water service population, profit-loss ratio, fiscal self-reliance, and aged pipe rate) of 162 Korean waterworks were compared with the ILI with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Local water authorities with more than 1 million water service population, with more than 60% profit-loss ratio, more than 40% and less than 60% fiscal self-reliance, and more than 20% aged pipe rate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four parameters and the ILI. In the remaining cases, their correlations were little or weak. This means that using the ILI may not be an efficient method to represent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supply system in Korea because of the lack of UARL (Unavoidable Annual Real Losses) data accuracy. To use the ILI in Korea, it will be required to carry out an additional research to accumulate reliable CARL (Current Annual Real Losses) and UARL data in the future.
With the advent of the 4.0 era of logistics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frastructures have been built to receive the same services online and offline. Logistics services affected by logistics 4.0 and IT technology are rapidly changing. Logistics services are developing using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Internet of things, and augmented reality. The convergence of logistics services and various IT new technologies is accelerating, and the development of data management solution technology has led to the emergence of electronic cargo waybill to replace paper cargo waybill. The electronic waybill was developed to supplement paper waybill that lack economical and safety. However, the electronic waybill that appeared to complement the paper waybill are also in need of complementation in terms of efficiency and reliability. New research is needed to ensure that electronic cargo waybill gain the trust of users and are actively utilized. To solve this problem, electronic cargo waybill that combine blockchain technology are being developed.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perational efficiency and safety of blockchain electronic cargo wayb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lockchain-based electronic cargo waybill system and to der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system supplementation.
PURPOSES : In this stud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OC indicator 'threshold' which is needed when evaluating the traffic signal operation status with ESPRESSO in various grade road traffic environment of Seoul metropolitan city and derive suggested value to use in field practice. METHODS : Using the computerized database program (Postgresql), we extracted data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rterial, Collector road)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peak hour, non-peak hour).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validation were perform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to confirm whether the extracted data contains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analysis period of the main and secondary arterial roads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from 14 days to 60 days. For the arterial, it is suggested to use 20 km/h as the critical speed for PM peak hour and weekly non peak hour. It is suggested to use 25 km/h as the critical speed for AM peak hour and night non peak hour. As for the collector road, it is suggested to use 20 km/h as the critical speed for PM peak hour and weekly non peak hour. It is suggested to use 30 km/h as the critical speed for AM peak hour and night non peak hour.
CONCLUSIONS : It is meaningful from a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that it is possible to make a reasonabl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ignal intersection pre-post analysis when the signal operation DB is renewed by breaking the existing traffic signal operation evaluation method.
본 연구는 연안여객선사의 안전관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적절한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을 설계하고 연안여객선 사를 대상으로 평가항목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연안여객운송사업자의 안전관리책임자, 공무원(선박검사관), 여객 선 운항관리자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을 통해 연안여객선사의 자발적 안전관리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5개의 평가항목과 14개의 세부 평가요 인을 선정하고 사전검증 및 테스트를 통해 객관성을 제고하였다. 이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44개 연안여객선사에 대한 자발적 안전 관리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평가항목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 결과와 중대해양사고 비율을 비교분석하여 평가 항목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자발적 안전경영 수준이 높은 업체일수록 중대해양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자발적 안전관리에 무관심하거 나 소홀한 업체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대해양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안전경영지표 평가항목 선정을 통해 연안여객선사 의 안전관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항목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도출하였다. 따라서 향후 안전관리 효율성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소각시설을 규모별, 유형별로 평가하기 위하여 이행지표를 설정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 수는 2012년 기준 전국 184개 중 약 15%인 28개를 선정하였다. 규모별로 대규모 (≥100 t/d), 중규모(50~<100 t/d), 소규모(<50 t/d)로 나누고, 유형별로는 스토커, 열분해, 유동층으로 분류하였다. 이행지표는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으로 대별한 후 각각 6개, 10개, 30개의 세부항목을 설정 하고 5등급으로 나누어 점수를 부과하였다. 평가결과 소각시설 규모별로는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 평가 에서 모두 대규모 시설이 소규모 시설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종합점수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 내어 소각시설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더 높은 평가 점수를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각시설 유형별로 는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을 종합 평가한 결과에서 스토커식(65.3점)이 유동상(59.0점) 및 열분해(58.3 점) 보다 우수한 평가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소각시설 평가시 기술성, 경제성, 환경성 중 경제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병원의 성공적인 개설과 운영을 위한 평가지표가 될 수 있는 성공운영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초석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전문가 패널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1차 조사에서는 4명의 전문가 패널이 전문재활병원 인증제 평가지침을 근거로 예비지표를 만들었다. 2차 조사에서는 전국 주요도시의 대표적인 재활병원에서 24명의 전문가 패널들이 예비지표에 대한 내용타당도 평가에 참여하였고 최종 성공운영지표를 추출하였다. 3차 조사에서는패널들이 성공운영지표의 세부 지표마다 스케일을 정량적·정성적으로 기술하게 하였다. 결과 : 1차 조사에서 예비지표로 51개 항목을 추출하였고, 2차 조사에서 24명의 패널들이 예비지표의 타당도를 평가 한 후 그 중 내용타당도에서 전문가가 합의한 비율이 80%이상의 지표들을 추출하여 최종 성공운영지표로 선정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 30개 항목이 운영지표로 선정되었다. 그 중 효율적인 수가관리와 입원환자관리, 치료사의 높은 치료기술과 이를 위한 교육, 환자에 대한 라포와 친절성이 100%의 합의율을 보 였고, 고가 치료장비와 소아치료 센터가 가장 낮은 합의율을 보였다. 결론 : 재활병원의 성공적인 개설과 운영을 위해서는 평가지표가 필요하며 이번 연구는 성공운영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로써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대상자를 조정하고 다양한 전문인력들이 참여하여 성공운영을 위한 지표를 완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운기업의 안전관리체제 운영 지원과 시스템 운영 모니터링 및 운영성과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안전관리체제 운영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이 지표를 이용하여 안전관리체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이나, 기도입하여 유지 발전시키고자 하는 기업에게 운영 단계별 필요한 지식을 알기 쉽게 종합 수록하여 상시 활용할 수 있는 지침서 내지 컨설턴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체 내부심사 시 및 시스템 운영성과 평가 시 평가도구로 활용하여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지표는 크게 대 기준 11개 항목, 중 기준 33개 항목, 소 기준 44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 화물유통촉진법의 도시물류기본계획은 물류정책기본법의 지역물류계획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그 내용도 지역물류산업과 지역민의 경제여건, 생활여건을 개선 지원해 가는 방향으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조정된 물류정책기본법에서도 아직까지 현실과 지역 상황에 맞는 목표의 설정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계획, 그리고 이 추진계획들을 과학적인 평가 지표를 통해, 평가 및 개선을 피드백 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지역의 물류기본계획들을 검토하고, 향후 인천시가 지역물류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지표개발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효율적인 지역물류기본계획을 운영하고 관리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도보조항로 운영사업자에 대한 경영평가제를 도입하여 사업자 스스로 지속적인 경영개선 노력을 유도하고자 AHP 기법을 이용하여 경영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들 지표는 크게 3가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대기준에는 책임경영부문, 경영관리부문, 사업운영부문, 고객만족부문 등 4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기준에는 책임경영을 위한 노력 등 15개 항목, 소 기준에는 관리자의 경영철학 및 전 직원의 책임경영에 참여도 등 44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지표 배점은 AHP 기법을 이용하여 각 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여 배점한 결과이므로, 실제 업무를 집행하면서 운영선사 및 선박특성을 감안한 항목 간 가중치 조정에 의해 평가지표 기준별 배점 조정이 필요하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와 지하수를 최적 연계 운영하여 장차 다가올 물 부족에 대응할 수 있는 용수 공급 방안을 검토하였다. 최적 지표수, 지하수 연계운영 모형은 용수공급으로 인한 순편익을 최대화하도록 이산미분동적계획법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시범유역으로 양양 남대천을 선정하여 모형을 적용한 결과, 지표수만 사용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것에 비하여 용수공급 신뢰도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