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난지형 목초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고 난지형 목초의 재배 한계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전남 장흥, 광주광역시, 전북 김제 및 충남 천안에서 2009년 5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Common”, “자생형(Ecotype)” 품종,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 품종과 클라인그라스 “Selection 75” 품종을 2009년 5월 하순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 소요일은 파종 후 12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동이 가능한 광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의 출수기는 5월 28일경, 바이하그라스는 7월 26일경, 클라인그라스는 5월 30일경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월동성은 전남 장흥 및 광주지역에서는 바히아그라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월동이 가능하였으며 전북 김제와 충남 천안지역은 월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지형 목초의 건물생산성은 모든 시험지역에서 클라인그라스가 6,106~15,331kg/ha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바히아그라스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의 Ecotype이 12.7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DF 함량은 버뮤다그라스 common이 30.42%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TDN)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68.23%로 바히아그라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버뮤다그라스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서 난지형 목초 활용을 위한 재배한계 지역은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월동이 가능한 전남지역까지로 판단되며 연간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는 한지형 목초와 비슷한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보였다. 하지만 기후 온난화 대응 측면과 한지형 목초의 여름철 수량감소로 인한 지속성 저하를 보완 대체할 수 있는 조사료 자원으로서 난지형 목초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 (Brussicu napus L.) was sown at 10 day> interval from Sep. I to Nov. 1. Field-grown palnts were sam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Brassica napus L.) was sown on Sep. 1, 1994. Experimental plots were divided into three replicates u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v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 (Brassica napus L.) was sown by three seeding densities of 5, 15 and 25cm interval among plants 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Dry matter,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of plants grown under or of culture temperature d
경사방향의 차이가 Orchardgrass가 우점된 산지초지에서 목초의 월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원동전 식물체의 초세는 1번초의 생육과 포장생존율 및 월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고 생각된다. 2.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DW/RTAR)은 초세와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낸 반면에, 월동전 개체당 경수, 1번초의 개체당 경수, 개체중, 포장생존율 및 상대경수출현율과는 유의한 정상관을 나타내었다. 3. 월동성은 서>북북서>동남동>남남서 사면의
This experiments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tential winter hardiness of tall fescue varieties based on the data of dry weight of plant per relative tiller appearance rates(DW/RTAR) in mountainous pastures of Taekwalyon area. The results obtained w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cutting heigh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energy production and relation of yields of Italian ryegrass,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swards. It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
본 실험은 가을에 파종하여 월동전 예취 높이를 달리 하였을 때 공식초종의 탄수화물함량변화, 월동성 및 다음해 봄철 수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초종(Italian ryegrass,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을 주구로 하고 월동전 예취 높이 (무예취, 6cm, 15cm)를 세구로 하여 분활구배치 3반복으로 설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종별 예취 높이에 따른 목장내 온도변화는 tall fescue >
본 시험은 사초용(飼草用) 호밀의 파종기와 파종량이 사초(飼草)의 생육특성, 월동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서울대(大) 농대(農大) 사초시험포장(飼草試驗圃場)에서 수행되었다. 본 시험에서 호밀의 파종기(播種期)를 9월 8일, 9월28일, 10월18일로 하고 ha당 파종량(播種量)을 80, 130 및 180kg로 하여 9처리(處理) 3반복(反復) 난괴법으로 실시하였다. 호밀의 초장(草長)은 파종기(播種期)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
GM 유채는 2013년 국내에서 비의도적으로 방출되어 5곳에서 발견되었다고 추정되고 있다. 봄철 경관용으로 전국 지자체에서 유채를 식재하고 유채 축제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2013년부터 본연구진은 국내에서의 유채 화분 비산 에 관한 연구와 환경위해성 평가 가이드라인 기초DB 준비를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최근까지의 GM유채의 국 제적 상용화 현황과 국내 수입 승인 현황이 조사되었다. 2013년까지의 GMO식물의 국내유출 추정 현황을 조사하 과 유채의 유전자 이동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식물학적․농업적 특성이 조사되었다. 유채의 표현형 검증에 필 요한 비교지표를 설정하고 실험방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유채의 재식 깊이별 생존 능력을 측정하여, ‘유달’ 과 ‘영산’ 품종 모두 3cm 깊이에서는 40-65% 정도의 종자 발아율을 보이고, 10cm 깊이에서는 급격이 저하되어 1-17% 정도의 종자 발아율을 보였다. 또한 20cm 깊이부터는 발아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채의 결실 특성 을 조사하기 위하여 ‘내한’, ‘탐미’, ‘탐라’ 품종들을 대상으로 노지에서의 결실율은 96-98%를 보였으며, 바람과 곤 충이 없는 격리온실상에서는 68-78%의 결실율을 보여 격리온실 내에서의 비의도적인 결실 유도 매개를 고려하고 분재배로 생육상태가 노지보다 저조한 상황을 고려하면 대단히 높은 자가 결실율을 보여주고 있다. 비의도적 봄 철 종자 비산으로 인한 결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달’, ‘영산’ 품종을 3월 초에 파종한 결과 ‘유달’은 결실이 가능하고 ‘영산’은 결실 불능인 결과가 나와 품종에 따른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유채의 비의도적 유전자 이동과 잡초화 가능성에 관련한 기초자료 수집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B;ue GM 카네이션 8품종을 개발한 일본 Florigene사는 미국, 네덜란드를 포함한 10개국에서 상용화하고 있다. 국 내에서는 집약적으로 시설내에서 재배되는 화훼류가 유망한 GMO개발 작물이 될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저온성 작물인 Alstroemeria를 이용한 실질적 동등성 평가 지침서를 개발하고자 식물학적․원예산업적 자료를 조사 하였다. Alstroemeria의 노지 월동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재식 깊이별 생존율을 전남대학교 포장에서 측정하였다. 지표면에서 5cm 이내로 가까이 식재된 경우 모두 고사하였으며, 그 이상의 깊이로 식재된 경우 높은 생존율을 보 여, 국내 노지에서의 월동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5월부터 개화하여 정원용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분비산특성을 조사하고자 측정한 1 anther당 화분 수는 대략 25,000-28,000개로 특정되었으며 화분활력은 30-60%로 다양하였다. 화분 발아력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분 발아배지 자당의 농도를 10, 15, 20, 25%로 다양 하게 처리한 결과 배지 내 자당이 가장 낮은 배지(10%)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여 추후 더 낮은 농도의 자당처리 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Alstroemeria의 화분 비산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드그라스를 이용한 포집 후 측정 방식을 이용하여 측정 중에 있다. 2014년도에는 재배적 측면에서 실질적 동등성 평가기준을 위한 실험을 진행 중에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overwintering of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biomass, and inorganic N concentration in soil to verify the adaptability of eight cultivars of hairy vetch into country. Winter survival rate was higher for the hairy vetch cultivars, such as Hungvillosa or Ostsaat, than those of Minnie, Oregon common, and TTF1, which affected amount of biomass of each hairy vetch, with higher biomass observed in Hungvillosa or Ostsaat cultiv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mineral nutrients of each hairy vetch cultivar. Inorganic N concentration in soil was increased at 10 days after mowing by application of Hungvillosa and Ostsaat cultivars that had highly produced N content from the raw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