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not only determined the preference of fashion brand distribution channels of active Korean and Chinese seniors who became major consumers in the fashion industry, but also analyzed the effect on these preferences and choices of distribution channels depending on person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Data was collected by a professional survey firm. SPSS 24.0 and AMOS 24.0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EFA, reliability analysis, CFA, SEM, and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e offline channel was revealed as the preferred fashion distribution channel for active Korean and Chinese seniors; the second most popular was the online channel. The results of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reve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seeking emotional consumption via the offline channel; the effect was only evident for active Korean seniors. A difference in seeking emotional consumption via preference for online channel also existed, but only for active Chinese seniors. For these reasons, marketers targeting active Korean seniors will be effective to not only offer brand information by fashion display to let seniors understand the fashion brand, but also to have brand events to form positive emotions toward the fashion brand. Moreover, targeting active Chinese seniors will be necessary to transmit brand sensibility by utilizing metaverse marketing comprising various factors, so that consumers can enjoy the fashion brand.
다채널 소매상은 전자상거래의 발전에 의거하여 점차 형성되었다. 정보기술의 발전이 점차 다채널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통합 마케팅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채널소매상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통합, 마케팅 및 정가 등 문제에 직면한다. 본문은 4Ps 마케팅 이론 및 구조방식 모델 구축에 근거하여 다채널 소매상의 오프라인 및 온라인 협동마케팅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출발점으로 삼아, 제품·가격·마케 팅과 서비스가 온라인 및 오프라인 합동마케팅에 대한 영향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마케팅전략을 세워야한다. 4개요소 중 영향이 제일 큰 게 가격이고 그 다음은 제품· 세일과 서비스이다. 제품의 품질이 높으면 높을수록 가격도 높아지고, 세일마케팅이 어느 정도는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서비스도 소비자의 구매의향을 어느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다채널 소매상이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전략을 세울 시 합동 마케팅을 견지하고 제품품질과 가격선 정 전략을 방향으로 하되 세일과 서비스는 보조로 진행하여 소비자의 구매의향을 높여야 한다. 본문의 연구방법과 연구결과는 다채널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 전략연구에 방법 참고와 이론 근거를 제공한다. 동종업자 기업이 마케팅전략을 세우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동종업자의 양성 발전에 촉진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besides the conventional retailers, has led to a new form of distribution channel, namely home sopping through the telephone, TV, catalog or the Internet. The conventional and new distribution channels have different transaction costs perceived by the consumers in the following perspectives: the accessibility to the product information, the traffic cost and the opportunity cost for the time to visit the store, the possibility of ‘touch and feel’ to test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 delivery time and the concern for the security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Difference in the transaction costs between the distribution channels results in the different selling prices even for the same product. Moreover, distribution channels with different selling prices necessarily result in different business surpluses. In this paper, we study the multilateral bargaining strategy of a manufacturer who sells a product through multiple distribution channels with different transaction costs. We first derive the Nash equilibrium solutions for both simultaneous and sequential bargaining games. The numerical analyses for the Nash equilibrium solutions show that the optimal bargaining strategy of the manufacturer heavily depends not only on the degree of competi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channels but on the difference of the business surpluses of the distribution channels. First, it is shown that there can be four types of locally optimal bargaining strategies if we assume the market powers of the manufacturer over the distribution channels can be different. It is also shown that, among the four local optimal bargaining strategies, simultaneous bargaining with the distribution channels is the most preferred bargaining strategy for the manufacturer.
In this paper, we study the bargaining strategy of a manufacturer who sells a product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To do this, we derive and analyze the equilibrium solutions for both simultaneous and sequential bargaining games. The result shows that the optimal bargaining strategy heavily depends on the size of the online distribution channel’s loyal custom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tail prices of the online and the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It is also shown that, in some cases, the online distribution channel has incentive to downsize its loyal customers and its retail price for a better bargaining outcome.
The introduction of Mobile channel and subsequently-created various customer(individual, enterprise) needs to accelerate Mobile business.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key process for introduction of Mobile channel, analyzing solutions in Mobile business firms and defining characteristics of Mobile channel which have influenced business process in enterprise. To-Be process of Mobile channel in distribution industry is suggested by defining the key business process and sub processes
1인 가구 및 핵가족의 증가 등의 소비구조의 변화와 농식품 유통의 다각화로 유통채널별로 적합한 농식품의 포장재가 중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물류형태에 따른 포장재 재질과 포장 디자인의 이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접유통 농가와 간접유 통 농가 112호를 중심으로 2015년 3월 27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제곱(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H1. 유통 채널별로 포장박스를 구별하여 제작하는 것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설이 채택되어서 간접유통 농가집단 보다 직접유통 농가집단이 포장박스 제작을 유통채널별로 보다 더 구별하여 제작하고 있었다. H2. 포 장박스 제작 시 중요 결정요인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정이 채택되어 간접유통 농가집단과 직접유통 농가집단은 제작 시 중요결정 요인은 유통채널별로 구별하여 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 통채널의 다각화에 따른 포장재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택배 물류의 농식품은 소비자가 직접유통 중에서 물류시스템이 더 복잡한 전자상거래로 구입이 많기 때문에 좀 더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고, 비택배 물류의 농식품은 마트 나 상점에서 구입하기 때문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규정을 준수하여 제작되어져야 한다. 둘째, 직접유통의 경우에는 소비 자와 생산자의 상호 신뢰와 면대면을 통해서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장 디자인을 크게 부각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간 접유통의 경우에는 소비자와 생산자의 상호신뢰가 형성되지 않았거나 미흡하기 때문에 포장 디자인을 통한 상품의 우수성 을 강조하여 포장 디자인을 차별화해야 한다. 셋째, 유통채널에 따른 포장재 표기방식에서 부각해야 할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농식품의 유통채널에 따른 포장재 재질과 포장 디자인의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여 향후 농식 품 포장의 선진화에 바탕이 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