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 있는 대상의 선호도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원리인 내적 편향 원리와 규범적 관점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연구하는 데에 있다. 개별 개체의 친숙도가 규범적 관점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또한 고려 하여 친숙도 수준에 따른 두 선호도 원리의 작용 양상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중 대안 선택 과제를 활용한 행동 반응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친숙도 수준(높음/낮음)에 따라 각 8개의 단일 개체를 실험 재료로 하여 내 적 편향 원리 준수 여부와 규범적 관점 준수 여부를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내적 편향 원리를 준수한 상태에서 개체 가 제시된 경우가 내적 편향 원리가 위배된 상태로 개체가 제시된 경우보다 더 선호되었다. 선호 판단에 걸리는 반응 시간 또한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규범적 관점 준수 여부는 선택 빈도 및 반응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개체의 친숙도는 선호도 판단과 관련된 의사 결정에 간섭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체 선호도 원리 중 내적 편향의 강도가 규범적 관점에 비해 더 우세하며, 단일 개체가 제시될 때 그에 대한 선호 판단에 있어서 그 개체가 가진 속성보다 시각적 문맥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는 것을 시사한다.
2012년 기준 국내 사망률 중 흡연 관련 질환이 과반수를 차지하는 등 국민의 건강과 신체적 피해가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금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강도 높은 금연 캠페인, 비흡연 구역 확대, 공포나 위협소구를 이용한 금연공익광고 등 다양한 금연 정책을 펼치고 있다. 영상미디어를 통한 금연 주제 TV공익광고는 감성적 소구에서 위협적 소구 등 다양한 표현 기법을 활용하여 수용자의 태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공익성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주제 TV공익광 고는 일반 상품광고와는 달리 공공의 이익이나 사회문화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금연 주제 TV공익광고는 담화나 표층에서 표출되는 메시지와 심층에 존재하는 의미가 어떻게 구조화되는지 추출하여 궁극 적인 금연 주제 TV공익광고의 의미작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구조가 거대화되면서 시각표현에 있어 커뮤니케이션과 코드화라는 기호작용은 중요한 연구 분야라 할 수 있다. 디자인은 시각(비주얼)적 측면인 조형 요소와 정보(메시지)적 측면인 표현하는 대상의 논리적 해석을 통해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과 디자인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영화포스터는 영화와 관객 사이를 이어주는 커뮤니케이션의 교량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에게 공통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이다. 영화의 함축적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광고에서 표현되는 이미지가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으며 그 대상의 시각화 발상과 의미작용에 대한 사례 분석은 대상의 일반적 표상과 기호과정에 관한 선행연구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영화포스터에 나타난 가면을 대상으로 공통된 의미를 도출하고 영화포스터 표현에 있어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과 전략적인 기의를 만들기 위한 기호작용에 대한 향후 연구의 기초 분석이라 할 수 있다.
Lim, Ji-Ryong & Young-Soon Kim. 1999. The Integration of the Signification and the Semiosis. Studies in Modern Grammar 18, 129-196. This study handles two important semiotical concepts, i.e., signification and semiosis, within the framework of theoretical semiotics. We have called the academic field `semiotics` as a science of signs, which consist of two elements like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According to Saussure (1916) and Hjelemslev (1943), the signified means a mental meaning and the signifier means its material. In general, the signific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connection of mental meaning with its material and the semiosis as the process of signs. For Peirce (1931/1935) the semiosis means the action, of signs which must be interpreted. The signification and semiosis seem to be not conceptional differentiated, but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is study we attempt to find out the clear interaction between the signification and the semiosis. Moreover, on the basis of this interaction we propose the integral semiotic program for the communication, which is composed of signification and semi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