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먼저 전문가 사전인터뷰(골프 프로 7명, 골프 전문가 2명)을 통해 사용된 문항을 확인하 였으며, 요인 간 문항 수는 코칭행동 6문항, 레슨만족 4문항, 지속의사 4문항의 선정 절차를 이루었다. 이 에 2024년 6월 1일~12월 23일까지 충청권에 소재한 골프연습장(12개소)를 선정, 표본추출법 (Non-probablity Sampling Method)을 통하여 불성실 답변자 21명을 제외한 총 181명을 SPSS와 AMOS 21.0(ver)을 활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적 코칭행동과 통제적 코칭행동은 레슨 만족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적 코칭행동과 통제적 코칭행동은 지속의사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슨 만족은 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 해보면, 부분적으로 자율적 코칭뿐만 아니라 통제적 코칭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 역시 인식되어야 할 부분이며, 이는 프로의 레슨을 통해 골프 실력 향상의 목적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골프 프로의 인적서 비스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만큼 그 역할의 소명 의식이 강조되는 부분으로 설명할 수 있다.
        4,000원
        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소년기는 생리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변화를 겪는 매우 불안정한 시기이다. 이때에 게임은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교우관계를 돈독하게 해줄 수 있는 유용한 매체이다. 그러나 게임의 과도한 이용은 오히려 청소년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중학생 자녀의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게임이용특성 중 시간, 기간, 지속정도가 어떠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로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게임이용특성을 매개하여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병렬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SPSS WIN 22.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3.4 매크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진행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중학생 자녀의 게임 과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중학생 자녀의 평일게임시간과 게임지속시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 자녀의 평일게임시간, 게임연수, 게임지속시간은 게임 과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중학생 자녀의 게임 과몰입의 관계에서 평일게임시간, 게임지속시간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중학생의 게임 과몰입을 낮추기 위해서는 개인적 노력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4,000원
        3.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학년,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을 확인하고, 남·녀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에 운동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그리고 운동지속의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4명(남자 197명, 여자 207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고, SPSS 18.0와 AMOS 18.0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변량분석, 신뢰도분석, 타당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과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 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남성의 경우 주당운동시간을 예측하는 설명량은 43.6%이며, 여성의 경우는 37.8%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요인은 다소 차이가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데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차를 고려한 중재 전략이나 프로그램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