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sought to conduct a fundamental investigation in order to test and evaluate the thermal performance of an aluminum stick curtain wall system. In terms of the thermal performance index, the infiltration rate of air tightness, thermal transmittance of the heat insulation property and temperature difference ratio of condensation resistance were experimentally measured. The research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of all, a database for the test report of the curtain wall was compiled and existing design criteria with respect to the evaluation method and standard of transparent building components such as curtain wall, window and door were analyzed to produce the specimens. Secondly, four different types of curtain wall specimens were created through investigating the curtain wall database. Thirdly, standard tests of thermal performance were carried out for airtightness, thermal performance and condensation resistance. As a result, the curtain wall specimens with low-e triple glazing covered by an aluminum capture system showed high thermal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curtain wall specimens including low-e triple glazing with a 4-sided structural sealant glazing system. Air tightness of all types of curtain wall specimens satisfied level 1 standard for air tightness. It was found that a curtain wall which consists of a one track frame has difficulties meeting the residential standard of thermal performance with regard to thermal transmittance and condensation resistance.
최근 국내 지진 발생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진 발생시 건물 주요 구조부에 대해서는 내진설계 및 내진 구조기술이 적용되어 지진에 대비하고 있으나, 비구조 요소인 커튼월과 창호에 대해서는 내진에 대비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 내진성능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커튼월을 개발하기 위해 동적 지진파 인가 시 커튼월이 파손 없이 대응 가능한 지진 변위 대응 패스너를 적용하여 동적 내진성능실험을 통해 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동적 내진성능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3축 이동형 패스너를 활용한 커튼월이 실제 지진파에 대응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진 발생빈도가 급증하면서 초고층 건축물에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고층 건물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이 구조물의 주요 구조요소 뿐만 아니라 외부 패널의 파손으로 유리 외장재가 낙하하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비구조 요소에 대한 2차 손상 방지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는 기존 건축물 외부 패널이 가진 문제점에 대하여 실대형 시험과 유한요소 해석을 토대로 구조적 성능을 분석하고 취약부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층간 분리형 커튼월 모듈과 이동형 패스너를 적용한 커튼월 모듈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커튼월과 비교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외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커튼월시스템을 대신할 수 있는 공법으로, 유리를 지지하는 케이블에 초기장력을 도입하여 건축외장재에 작용되는 풍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케이블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고층건축물 기준층 에 적용할 수 있는 상하로 연결된 수직 일방향 케이블시스템에 케이블의 초기장력과 설계하중에 대한 변위를 예측할 수 있도록 구조 해석과 실물크기의 실험을 통해 케이블월 시스템의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구조설계 프로그램인 MIDAS-Gen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초기장력 및 구조거동을 해석하였고, 구조실험에 나타난 최대 처짐 값은 케이블구조 국제허용 처짐인 AAMA 조건에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해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 값이 실제 외장재 크기에 동일한 하중조건으로 작용한 구조실험 결과 값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로, 제안된 케이블월 시스템을 건축외장재에 사용할 경우 구조성능은 충분히 확보될 뿐 만 아니라 개방성이 확보되고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s of primary anchor assemblage through a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Primary anchor unit may be used as one of the connection devices between ALC panel curtain-wall and RC slab or main frame of a building. From the analytical resul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yield strength, initial stiffness and maximum strength are obtained and compared with test results.
본 연구는 Primary Anchor의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구조적 성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Primary Anchor Unit은 ALC 패널 커튼월과 RC 슬래브 또는 주골조 사이에 연결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항복강도, 초기강성과 최대 하중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구하고 자세히 비교분석하였다.
The curtain wall design process of Korea can be mainly divided into Basic DWG phase performed in architectural design phase and Shop DWG phase performed in the curtain wall design phase. The designing in such process (the process of going over to Shop from Basic) is being performed mainly by the outcome. So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between subjects because the decision making or flow of information gets accomplished as one-way. Especially, because the curtain wall designing accomplish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gets performed without reflecting the engineering technology, it causes many problems in the design phasesuch as change of design or delay of decision making. In order to make an improvement on such problem, it is estimated that the existing one-way designing can be improved into the one based on cooperation by enabling the exchange of decision making details between concerned parties in the curtain wall design phase in this study and ultimately proposes a curtain wall design management system which enables generation and alteration of information on curtain wall products, information gathering and sharing of information, etc by materializing a design system of simultaneous engineering concept.
The curtain wall performance test is mainly carried out to prevent any problems that may occur after the installation by checking whether there is a problem beforeh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middle and large type construction. Since it is tested under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by applying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many problems are found, and the biggest purpose is to improve the problems of design and construction through testing and to install better quality window products.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sealant products distributed in Korea were exposed to the outdoor exposure zone of the Seosan outdoor exposure test site, and compared with the curtain wall performance test of the product and the degradation of the product after 12 months outdoor exposure.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apply the performance evaluation to the product comparison evaluation after exposing for more than 2 years.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norton tape and boundary sealant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structural sealant glazing(SSG) system. A total 3 specimens were made and tested under four point loading conditio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norton tape and boundary sealant considerably affect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SSG system.
최근 지어지고 있는 건축물은 구조적인 안전성과 사용성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미려한 외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건물의 외장재로 석재 커튼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석재마감공법은 건물의 중량화를 비롯한 시공성과 보수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시공시의 소음 진동 등에 의해 민원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공성,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보조 고정 홀을 통해 석재 패널의 부분보수가 가능한 언더컷 앵커 방식의 석재 커튼월 시공공법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시공성 및 경제성분석과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풍압 및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공법이 기존공법에 비해 향상된 시공성과 경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성능 평가결과 외장재로서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1990년대~2011년 시공 중이었던 건축물의 커튼월의 단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외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부위별 온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유리면이나 단열층이 있는 표면보다 커튼월의 프레임 (멀리온 및 트랜섬)의 온도는 동절기 외부 평면의 경우 6℃~10℃ 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프레임에서도 앵커유닛이 있는 부위가 다른 프레임보다 2℃~3℃ 더 높게 나타나 보다 큰 열 손실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t insulator materials can be classified inorganic and organic. The organic material is due to toxic gas emission, when a fire occurs. And it has lower water resistance. The inorganic material is heavy and worse thermal performance than organic materials.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inorganic foam panel for using industrial by-products materials and performance evaluation by mock up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