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성 에시드 클로라이드인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클로라이드를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중 합을 통하여 트리멜리틱 부분을 측쇄로 갖는 이온성 공액구조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2-에티닐피리딘과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 클로라이드를 1:1 몰비로 DMF 용매에서 반응시킨 결과 해당 공액구조 고분자를 높은 수율로 합성 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반응 단계에서 만들어진 단량체인 N-치환-2-에티닐피리디늄 염은 별도의 촉매 사용없이도 중합반응이 잘 진행되었다. NMR, IR, UV-visible 등의 분광분석기를 사용하여 합성 고분자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설계한 치환기를 갖는 공액구조 고분자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 고분자의 전기-광학적 특성과 전기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고분자는 자외선 영역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 500 nm까지 넓은 흡수 피크 를 보였으며 PL 최대값은 539 nm에서 나타났다.
벤조다이옥산 기능기를 갖는 새로운 이온성 폴리아세틸렌 유도체를 2-브로모메틸-1,4-벤조디옥산을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4차염화 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2-브로모메틸-1,4-벤조디옥산에 의한 2-에티닐피리딘의 4차염화 반응에 의해 먼저 생성된 단량체인 에티닐피리디늄 염은 별도의 촉매나 개시제 없이도 중합반응이 잘 진행되어 70% 수율로 원하는 이온성 폴리아세틸렌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었다. 여러 가지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고분자 구 조를 분석한 결과 합성 고분자는 벤조디옥산 피리디늄 부분을 갖는 공액구조 고분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 공액구조 고분자는 메탄올, DMF, DMSO, NMP 등과 같은 극성 유기 용매에 잘 용해하었다. 이 고분자는 이온성 피리디늄 부분을 갖고 있는 특성으로, 공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흡습 특성을 보였다. 합성한 고분자의 전기 -광학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비가역적 전기화학적 거동이 산화 피크와 환원 피크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본 고분자는 피리디늄 치환기를 갖는 다른 폴리아세틸렌 유도체와 비슷하게 50 사이클까지 안정적인 산화환원 거동과 1.0V에서의 안정한 산화전류값을 나타내었다.
3-(2-브로모에틸)인돌을 사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4차염화 중합을 통해 새로운 이온성 폴리아세틸렌 유도체 를 합성하였다. 3-(2-브로모에틸)인돌을 사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중합은 균일하게 진행되었으며 비교적 높은 수율 로 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었다(78%). 3-(2-브로모에틸)인돌에 의한 2-에티닐피리딘의 4차염화 반응에 의해 형성된 N-(3-에틸인돌)-2-에티닐피리디늄 브로마이드의 활성화된 아세틸렌 삼중 결합은 별도의 개시제나 촉매 없이도 중합 반응이 잘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여러 가지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중합체의 구조를 확인한 결과 설계한 인돌 치 환기를 갖는 공액구조 고분자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합체는 DMF, DMAc, DMSO 등과 같은 극성 유기 용매에 잘 용해하였다. 중합체는 가시광선 영역인 457 nm에서 특징적인 흡수 피크, 600 nm에서 엣지 파장 을 보였다. 중합체의 사이클릭 볼타모그램은 산화와 환원 피크 사이에서 안정한 비가역적 전기화학 거동을 나타내 었다. 스캔 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 전류량이 증가하였으며 주 환원 및 산화 피크는 -1.3 V 및 1.1 V에서 관찰되었 다.
(아이오도메틸)트리메틸실란을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 중합을 통하여 N-(트리메틸실릴메틸) 피리디늄 아이오다이드를 측쇄로 갖는 새로운 공액구조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이 중합반응은 불균일하게 진행되었으며 중합수율은 95%로 매우 높았지만 생성된 고분자는 중합중 가교화반응으로 대부분의 유기용매에 용해하지 않았다. 합성 고분자의 분자구조를 분석한 결과 이온성 피리딜 치환기를 갖는 해당 고분자가 합성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 고분자의 열적 특성과 몰폴로지 등을 TGA, EDX 등의 분석장비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2-브로모에틸 에틸 에테르를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 중합을 통하여 측쇄에 에테르 부분을 갖는 새로운 공액구조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이 중합반응은 비교적 낮은 온도 조건에서도 균일하게 잘 진행 되었으며 89%의 수율로 해당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었다. NMR, IR, UV-visible 분광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고 분자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설계한 치환기를 갖는 해당 고분자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고분자는 물을 포함한 DMF, DMSO, DMAc, 메탄올 등의 유기 용매에 완전히 용해하였다. 합성 고분자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광발광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3-부티닐-p-톨루엔술포네이트를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중합을 통하여 이온성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합성 고분자의 분자구조는 IR, NMR, UV-visible 분광분석기로 확인하였다. 공액구조 주사슬 고분자의 특징적인 π → π* 전이에 기인하는 약하면서도 완만한 흡수 피크를 800 nm까지 보여 주었다. 합성한 고분자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전기광학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 고분자는 도핑과 탈도핑 사이에서 매우 안정한 비가역 전기화학적 거동을 보였다.
1,2-디브로모에탄을 이용한 2-에티닐피리딘의 무촉매중합을 통하여 이온성 전도성 고분자를 높은 수율로 합 성하였다. 합성한 고분자의 분자구조를 여러 가지 분석장비로 측정한 결과 설계한 N-(2-브로모에틸)피리디늄 브로마 이드를 갖는 공액구조 고분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고분자의 UV-Visible스펙트럼에서는 800 nm 까지 흡수 피 크를 보여주는데, 이는 공액구조 고분자의 π→ π* 전이에 기인한 것이다. 아울러 고분자의 전기전도도 및 전기광학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이 고분자는 도핑과 탈도핑 사이에서 매우 안정한 비가역 전기화학적 거동을 보였다.
목적: 본 연구는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및 6-fluoropyridine-3-carboxylic acid를 사용하여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질을 중합하고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 물질들의 콘택트렌즈 재료로서의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카르복시산 및 불소로 치환한 피리딘을 2가지 이상 첨가제로 사용하여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기본적인 재질인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AA(acrylic acid), MMA(methylme-thacrylate),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그리고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여 공중합하였다. 결과: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348-1.4300, 함수율 33.69~35.84%, 가시광선 투과율 89.6~90.8%, 인장강도 0.2292-0.3344kgf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76.05°~50.95°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실험 결과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및 6- fluoropyridine-3-carboxylic acid를 5% 첨가했을 때 항균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실험 결과,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및 6-fluoropyridine-3-carboxyl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는 기본적인 콘택트렌즈 물성을 만족하였으며 우수한 습윤성과 항균성 및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yridine could be successfully removed in the polyurethane(PU) biofilter inoculated with activated sludge treating industrial wastewater. The elimination capacity for pyridine in the PU biofilter was approximately 27 g m⁻³ h⁻¹ at the tested loading range, The pH value of drainage was increased due to the accumulation of ammonia which was one of the metabolites of pyridine, Four pyridine-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PU biofilter, and they were closely related with Rhodococcus pyridinivorans(98~99% similarity). The specific growth rate of the isolate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pyridine as a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were ranged from 0.038 h⁻¹ to 0.051 h⁻¹.
Diazotization of three aminopyridine such as 3-amino-2-chloropyridine, 5-amino-2-chloropyridine, and 3-aminopyridine were investigated. Preparation of pyridinediazonium tetrafluoroborates were carried out employing two different methods. Diazotization of aminopyridines with a chlorine substituent in the pyridine ring were conducted in acidic aqueous solution with sodium nitrite in 70% and 74% yields respectively. 3-Pyridinediazonium tetrafluoroborate without any ring subsituent was unstable in an aquous solution and the diazotiation of 3-aminopyridine was proceded in an anhydrous methylene chloride-etherial BF3 solution with tert-butyl nitrite in 40% y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