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3.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NS 사고 후 활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침 개발을 위해 국내외 HNS 사고 후 해양환경영향평가 및 모니터링 관련 사례를 검토하였다. 그 첫 단계로 해양생물 및 서식처를 중심으로 하는 HNS 사고 후 모니터링 및 해양환경영향평가 지침을 개발하였고, 의사결정자 및 작업실무자들에게 적합하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이조성에 동결 건조한 krill (Euphausia superba) meal을 첨가 하였을 때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유리지방산(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식이조성은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GC군(krill meal 미함유)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10.0%, 20.0%, 30.0%의 krill meal 급여군을 각각 G10군, G20군, G30군으로 구분하였다.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흰쥐의 NEFA와 BUN 농도는 krill meal 급여군(G10군, G20군, G30군)에서 대조군(GC 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된 결과를 보였고, creatinine과 uric acid 농도는 G10군에서는 GC군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G20군과 G3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전해질 농도에서 total calcium (T-Ca)은 G20군과 G30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인(Pi) 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4,000원
        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HNS 중 하나인 질산(HNO3)의 유출사고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1) 식물플랑크톤(Skeletonema costatum)을 이용한 성장저해시험, (2) 무척추 동물(Brachionus plicatilis, Monocorphium acherusicum), (3) 어류(Cyprinodon variegatus) 및 (4) 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를 이용한 급·만성 독성시험을 질산의 유출로 인한 (1) pH 변화와 사고 후 질산에서 해리된 (2) 질산염(NO3-) 농도의 변화에 대해 각각 수행하였다. HNO3를 이용한 pH 변화에 대한 독성시험 결과, M. acherusicum이 무영향농도(NOEC), 최저관찰영향농도(LOEC) 및 반수영향농도(72h-EC50) 값이 각각 pH 7(0.3 mM), pH 5(1.1 mM) 및 pH 5.2(1.4 mM)로 가장 민감한 영향이 나타났다. NO3-에 대한 독성시험의 결과, B. plicatilis의 만성독성시험(개체군 성장률시험)결과, NOEC, LOEC 및 96h-EC50 값이 각각 5.9 mM, 11.8 mM 및 32.6 mM로 가장 민감한 영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질산 유출사고로 인한 해양생물의 독성영향은 pH의 경우, 선박의 최단 인접지역을 제외하면 그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며 질산염의 경우, 해양생물의 생존 및 번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농도는 일반적인 사고해역에 현실적으로 존재 할 수 없는 농도로 판단된다.
        4,000원
        9.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2를 해양에 격리 처리하기 위해서는 CO2가 해양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CO2의 해양생물영향실험에 있어 연체동물의 이용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로, 먼저 문어에 적합한 마취농도를 확립하고,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케뉴레이션 방법 및 문어가 케뉴라를 탈착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 방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1) 문어에 적합한 마취제는 5.25% MgCl2 6H2O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문어로부터 혈액채취를 위한 케뉴라 삽입 부위는 배대동맥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케뉴라 보호를 위하여 플라스틱 넷트로 만든 구속 쳄버를 이용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대기중 CO2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CO2를 해양에 격리 처리하고자 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안은 해양생물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따라 그 실현가능성이 결정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O2 해양격리 처리와 관련하여 수행되어온 연구들을 정리하고, CO2 농도가 높아진 해양환경에서의 해양생물 특히 어류를 대상으로 수행된 최근의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CO2 농도의 증가는 어류에 있어 산염기조절, 호흡순환기적 조절 등과 같은 생리적 기능에 영향을 끼치고 결국 어류의 폐사를 초래할 것이다. CO2가 해양생물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천해어종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어 왔으나 향후의 연구는 천해어종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CO2가 실제로 격리 처리되는 심해에서 CO2에 대한 생물들의 응답에 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4,000원
        11.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EM and SAF appication on contents change of fatty acids and organic acid of perilla(Perilla Frutescens Britton). Contenst of squalene in perilla leaves on control and KEM/SAF treated were 3.39 mg and 4.22 mg, respectively. Therefore the squalene quantity of KEM/SAF treated leaves was 24.2% more than that of control. A total 6 fatty acids in perilla leav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Percentage of the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in perilla leaves were 20 and 80%, respectively. Contents of phytosterols in perilla leaf such as campesterol and sitosterol were 2.0 and 20.0 mg, respectively. Therefore sitosterol content was 10 fold more than that of campesterol. The KEM/SAF application on perilla leaf was effective on the change of squalene or phytosterol contents. However effect of that was negligible on the change of fatty acid content.
        12.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Korean effective microorganism(KEM) and seafood amino acid fertilizer(SAF) application on apple on functional substances of fruit. Vitamin C in fruit of control and KEM/SAF treated were 29.3 and, 39.8 ㎎, respectively. Also active oxygen scavenging ability of those treatments measured with DPPH method were 40.6 and 54.1%, respectively. Vitamin E contents of those treatments were 2.51 and 2.50 ㎎, respectively. Sitosterol, a phytosterol, contents of those treatments were 4.79 and 5.41 ㎎, respectively. Proportion of sugar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the fruit of control were 36.1, 15.3 and 17.8%, respectively. Those of the fruit of KEM/SAF treated were 45.9, 13.2 and 18.8%, respectively. Malic acid contents of control and KEM/SAF treated fruits were 53.7 and 43.8%, respectively.
        13.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gicidal bacterium was isolated from sea water during the declining period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and this bacterium had a significant algicidal activity against C. polykrikoides. In this study, algicidal bacterium was identified on the basis of biochemical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16S rDNA sequences. The algicidal bacterium showed 98.6% homology with Micrococcus luteus ATCC 381T. Therefore, this bacterium was designated Micrococcus luteus SY-13.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of the algicidal bacterium was 25℃, initial pH 8.0, and 3.0% NaCl concentration. M. luteus SY-13 is assumed to produce secondary metabolites which have algicidal activity. When 10% culture filtrate of this strain was applied to C. polykrikoides (1.0 × 104 cells/㎖) cultures, over 98% of C. polykrikoides cells were destroyed within 6 hours. The culture filtrate of M. luteus SY-13 exhibited similar algicidal activity after heat-treatment at 121℃ for 15 min. While algicidal activity remained in filtrates with pH adjusted to 8.0, loss of algicidal activity occurred when the pHs of filtrates were adjusted to over 9.0 or heat-treated at 121∼180℃ for 1 hour. M. luteus SY-13 showed significant algicidal activities against C. polykrikoides (98.9%) and a wide algicidal range against various harmful algal bloom (HAB) species. However, there was no algicidal effect on diatom and marine livefood organisms except Isocrysis galbana. These results suggest that M. luteus SY-13 could be a candidate for use in the control of HA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