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41.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호텔 옥상정원의 이용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관점에서 수행하였다. 호텔 옥상정원이 조성된 3곳을 선정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조사․분석하였으며 향후, 리노베이션 계획에 있어 필요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용자 만족도 분석결과, 녹지공간의 수목량과 수종종류에 있어 도심지에 위치한 C, P호텔은 인천 H호텔보다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물에 있어 파고라, 벤치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휴게시설물에 대한 보완 및 설치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리에 있어 시설물 청결성에서 도심부에 위치한 C, P호텔의 만족도가 낮아 유지관리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 선호도 분석결과, 휴식공간을 중심으로 문화체험, 운동 등의 복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녹색공간 조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테마공간의 유형에 있어 유채, 튤립, 장미, 코스모스, 매화를 테마종으로 사계절 색이 화려하고 장식적인 공간 연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물에 있어 벤치, 파고라에 대한 휴게시설의 추가적 요구도가 높아서 옥상정원이 갖는 휴식기능의 주요목적과 연계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호텔 옥상정원 이용자들의 관점에서 만족도, 선호도에 기초하여 향후, 옥상정원의 조성이나 리노베이션시 적용가능한 방안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호텔 옥상정원 내 적용가능한 테마, 문화체험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장식적이면서도 녹색 휴게의 장으로서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42.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 식물원・수목원 총 10개소를 대상으로 이용자의 행태 분석과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식물원・수목원의 이용객들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공립 및 사립 식물원・수목원의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이용자를 고려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행태 분석에서 이용자들은 상대적으로 입장료가 낮은 공립에 대한 방문 횟수가 더 잦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접근을 위해서는 원거리(3시간 이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립 식물원・수목원을 찾는 이용객이 공립에 비해 두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 동기, 목적에 있어서 지인 소개로, 휴양을 위해 이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용자 만족도 평가에 있어서 종합 만족도는 50%이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소 만족도 평가에서 대상지 특성은 전체적으로 사립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접근성, 공간구성, 동선 측면에서 공립보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지관리에 있어서는 공공시설적 측면에서 사립이 공립보다는 만족도가 약간 낮게 나타나 복지시설을 위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안내시설, 식물표찰, 시설물 안전성 등의 세심한 관리에 있어서는 사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서비스 측면에서 입장료 부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사립에서 입장료 및 안내원 친절도에 있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조사 결과, 이용자들은 휴양형의 고급여가문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과거의 낮은 입장료, 대면적의 일률적인 관람코스에서 벗어나 창의적이면서 다양한 체험과 휴양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질적 녹색여가생활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 만족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의 만족도 현황에 따른 단순 비교, 분석에 의해 도출한 결과로서 종합 만족도와 소 만족도들간의 구체적인 상관성 및 우선영향인자 추출 등에 따른 객관적 지침 마련에 있어 한계점을 갖는다. 향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운영, 관리방안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우선인자를 적용, 보완한 후에도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적재적소의 특화된 수준 높은 휴양 및 교육 문화가 정착되어져야 할 것이다.
        43.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상녹화는 부족한 도심내에 녹지를 제공해줌은 물론 현대인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해줄 수 있는 장소로 창출되어 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오피스 건물의 옥상녹화 도입시, 효율적인 이용방안을 위한 구체적인 조성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옥상녹화가 조성된 오피스 건물 중 4곳을 선정하여 이용자들의 선호도 및 만족도를 조사ㆍ분석하였으며 효율적인 이용활성화를 위한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조성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용자 선호도 조사결과, 식재식물에 있어 꽃, 열매, 잎 등의 관상가치가 높은 관목 중심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녹지와 휴식공간이 절충되어져 있는 정원형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휴식・녹지공간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조성형태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바닥포장재에 대한 선호도를 보면 식생을 포함한 바닥소재, 지압보도에 대해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이는 녹지면적과 운동, 휴게 등의 이용면적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적 조성방안의 중요성을 제시할 수 있겠다. 이용자 만족도 조사결과, 각 대상지별로 풍부한 녹지량을 선호하지만 꽃, 열매, 잎 등의 관상가치가 높은 키 작은 관목 중심 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옥상녹화 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벤치, 자판기, 수경시설, 운동시설 등의 휴게・여가・경관감상・운동 등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적 기능의 녹색공간 조성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밀화된 도심에서 옥상녹화는 생태적, 환경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이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피복 중심의 녹지 차원에서의 조성에는 한계가 있다. 녹지가 가지는 생태적, 환경적 측면의 효과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주는 긍정적인 기능과 효과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옥상녹화 조성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피스 건물의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해 이용자들의 선호경향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오피스 건물의 효과적인 옥상녹화 및 적극적 이용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방안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본 논문의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건물의 특성에 적합한 녹화구성요소, 이용자들의 요구사항에 부합된 프로그램을 적용, 다기능적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nceptional structure betwee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acility, natural resources and view, staff service of recreation forest had positive effect on visitor's satisfaction. Reservation system, accessibility, and usage fee of recreation forest was not related to visitor's satisfaction. In addition, visitor's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visitor's loyalty such as revisiting intention and word of mouth. As a result, managers of recreation forest need to enhance visitor's satisfaction, to improve rate of revisiting intention and to incite word of mouth through building management strategy.
        4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조가 지하에 매설되어 배관이나 배선이 노출되지 않고 바닥면에서 물이 분사되는 형태의 분수인 바닥분수는 일반적으로 공공 정원의 광장에 도입되어 수경관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분수가 가동되지 않을 때에는 광장의 기능을 하는 다목적 옥외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용후 평가를 통하여 바닥분수를 위한 효과적인 설계와 관리 방안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진주 남가람 공원 중앙광장에 조성된 바닥분수가 도면 및 현장조사, 관찰, 인터뷰,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의 행태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평가되었다. 이용자의 주요 행태는 ‘물놀이’, ‘더위 식히기, ’분수 감상‘, ’산책‘이었다. 바닥분수의 이용은 남가람 공원 중앙광장의 전체 이용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용 만족도는 ’안전성‘, ’안전 관리자의 배치‘, ’용수의 음용 적합성‘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분수의 기능적 적합도‘, ’용수의 정기적 교체‘, ’놀이 공간으로서의 적합성‘이었다. 바닥분수에서의 개선 및 보강 사항으로는 ’미가동 기간 중의 프로그램‘, ’안전 시스템의 보완‘, ’프로그램 분수‘ 등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도가 높았다.
        47.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of Upo wetland ecotourism website, Upo Wetland Cyber Ecological Park.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specifically, the desire to revisit and :recormnend it to others. The four factors were ecotourism contents, design, system charaderistics, and trust. It was found that four factors, i.e., ecotourism contents, design, system characteristics, and trust were significantly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n tum affected revisit and word of mou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management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4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spital garden is a type of healing garden or therapeutic landscape as it can offer vital opportunities to contact with nature and have influence upon the mood, stress level, and well-being of users especially patients in need of physical and mental heal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uide the future planning and design of hospital garden built on the rooftop environment through a Post-Occupancy Evaluation(POE). The roofgarden at Asan Medical Center was evaluated with regards to user's cognition and satisfaction by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sers' main behaviors include 'talking', 'resting', 'walking or exercise', 'change of mood', and 'smoking'. The hospital roofgarden was perceived as convenient, and simple space. Factor analysis showed space-images represented by eight factors, 'convenience', 'usefulness', 'maintenance', 'extensity', 'identity', 'crowding', 'privacy', 'complexity'. Rooftop environment was valued for natural setting in artificial construction and users responded affirmatively to 'accessibility', 'view', and. 'fresh air', which were revealed to b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Changes for the garden such as 'more green shades', 'more seatings', and 'smooth pavement' were requested by users. l11ese research findings make some suggestions; it is necessary to furnish shaded seats for passive behaviors and smooth pathways for a walk or a light exercise. Hospital garden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various visual and functional experiences for patients. Natural shades like tree or pergolas are more desirable than artificial shades giving comfort to the hospital users. For patients and nonsmokers, separated smoking area in the hospital roofgarden would be helpful.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