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ctococcus garvieae is a Gram-positive cocci that has been known to be a fish pathogen, and considered as a low virulence organism rarely associated with human infection. We report a case of acute cholangitis with common bile duct (CBD) stone and bacteremia by L. garvieae bacteremia in a 70-year-old male. The patient presented with epigastric pain and was diagnosed with two CBD stones. Blood culture obtained prior to empiric antimicrobial therapy with ceftizoxime sodium showed growth with Escherichia coli and L. garvieae. The bacteria were confirmed by matrix-assisted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Initial attempt at endoscopic biliary drainage failed, and the patient underwent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and subsequent stone removal. He occasionally ingested raw fish and had a history of gastric ulcer with acid suppression therapy, which could be possible risk factors for L. garvieae infection. This is the first case of L. garvieae bacteremia in acute cholangitis.
        4,000원
        2.
        2022.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ute cholangitis is a clinical syndrome characterized by fever, jaundice, and abdominal pain that develops as a result of stasis and infection in the biliary tract. It can be a life-threatening condition if it is not recognized early. Patients with severe cholangitis may present with hypotension, and mental status changes. The most frequent causes of acute cholangitis are biliary calculi, benign biliary stricture, and malignancy. The most common pathogens isolated are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 followed by Klebsiella species and Enterobacter species). A diagnosis of acute cholangitis requires evidence of systemic inflammation, cholestasis, and imaging with biliary obstruction. Imaging studies may consist of ultrasound,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or endoscopic ultrasound. The mainstay of treatment consists of fluid resuscitation, antibiotics, and biliary drainage. Penicillin/β-lactamase, third-generation cephalosporin, or carbapenem are all acceptable choices for first-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severe cholangitis, biliary drainage should be performed within 24 hours. Patients with severe acute cholangitis require urgent (within 24 hours) biliary decompression.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remains the preferred modality for biliary drainage. In conclusion, acute cholangitis is mostly treatable when recognized and treated early. Recognizing and initiating early treatment leads to markedly decreased patient morbidity and mortality.
        4,000원
        3.
        2019.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9세 여자가 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담관 결석이 의심되는 병변이 발견되었다.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을 하는 중에 간디스토마 성충이 배출되었다. 대변과 혈청에서 간디스토마 충란과 항체가 각각 발견되어 간디스토마 감염증으로 진단하였다. 내시경 시술과 구충제를 복용 후 증상은 서서히 호전되었다. 환자는 간디스토마 비유행지역에 거주하였고 날 것이나 덜 익힌 민물생선을 섭취한 기왕력이 없었다. 대한민국은 간디스토마 유행지역에 속하며 사람들은 조리기구 등을 통한 간접 접촉을 통해서 감염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한민국에서 담관 질환이 있는 환자들을 진료할 때 간디스토마 감염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우리는 문헌고찰과 함께 임상 증례를 보고한다.
        4,000원
        4.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도 과오종과 선천성 간섬유증은 태생기에 간판 기형에 의해 생기는 섬유 낭성 질환에 속한다. 담도 과오종은 증상 을 유발하지 않고 우연히 발견되는 질환이지만, 선천성 간섬 유증은 25%에서 담관염이 발생하고 증상이 발생하면 항생 제 투여부터 수술까지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복부 영상 소견으로 담도 과오종으로 진단하고 경과 관찰하던 64세 남자가 2년간 반복적인 담관염이 발생한 원인을 찾기 위해 시행한 간 생검에서 담도 과오종과 선천성 간섬유증이 병합된 것으로 진단한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
        5.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doscopic snare papillectomy (ESP) for ampulla of Vater tumor (AVT) has been performed successfully instead of surgical ampullectomy (SA) because ESP is a less invasive procedure than SA. Hemorrhage, perforation and pancreatitis are relatively common complications of ESP and other rare complications such as cholangitis, liver abscess has been reported. Recently we encountered a case of acute acalculous cholecystitis after ESP for AVT,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percutaneous cholecystostomy with intravenous antibiotics. We therefor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3,000원
        6.
        2013.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총수담관 담석에 의한 폐쇄성 황달 발생시 일반적으로 담즙정체형 간기능 이상을 보이나 일부 환자에서는 아미노전이효소가 1,000 IU/L 이상 증가되는 간세포손상형의 간기능 이상을 보여 급성 간염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저자 등은 아미노전이효소가 1,000 IU/L 이상 상승하였고 혈청 ALP 검사치는 정상이며 영상검사에서 담관계 질환이 관찰되지 않아 급성 간염으로 진단 후 치료 중 급성 담관염으로 재진단된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