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혹진딧물의 포식기생자인 콜레마니진디벌의 기능반응을 온도별(15, 20, 25, 30°C) 복숭아혹진딧물 밀도를 달리하여(2, 4, 8, 16, 32, 64, 128마리) 평가하였다. 모든 온도 처리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은 제 3 유형의 기능반응을 보였다. 30°C에서 공격률(0.0043 day-1)은 높았지만 처 리시간(0.9268 day)은 다른 온도보다 길었다. 추정된 처리시간은 온도가 15°C에서 25°C로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콜레마니진디벌의 24시간동 안 최대 공격률은 15, 20, 25, 30°C에서 29.1, 31.9, 59.3, 25.9이었다. 온도처리별 복숭아혹진딧물 기생률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가장 높 은 기생률은 15, 20, 25, 30°C에서 복숭아혹진딧물 32, 32, 16, 32마리에 대해 0.52, 0.54, 0.57, 0.40이었으며 25°C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의 기생 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복숭아혹진딧물의 생물적 방제원으로서 콜레마니진디벌의 효율성을 여러 온도조건에서 평가하였다.
        4,000원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response of aphid parasitoid, Aphidius colemani Viereck (Hymenoptera: Braconidae), on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Hemiptera: Aphididae) at four different constant temperatures (15, 20, 25 and 30℃). Seven host densities (2, 4, 8, 16, 32, 64, and 128) were used during a 24-h period. A type III functional response for A. colemani was fit separately at each constant temperature. The estimated handling times at 15, 20, 25, and 30℃ were 0.85, 0.61, 0.41 and 0.88 day,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aphids that were parasitized showed the similar characteristics curve at four different constant temperatures.
        3.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의 포식 기생자인 콜레마니진디벌의 기능반응을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별(400, 600, 1000ppm) 복 숭아혹진딧물 밀도를 달리하여(2, 4, 8, 16, 32, 64, 128마리) 콜레마니진디벌 한 마리를 24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각 이산화탄소 처리에서 콜레 마니진디벌은 제 3 유형의 기능반응을 보였다. 600 ppm (0.015 day)과 1000 ppm (0.014 day)에서 추정된 처리시간은 400 ppm에서 추정된 결 과(0.017 day)보다 짧았다. 이산화탄소 농도별 복숭아혹진딧물 기생률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기생률은 400, 600, 1000 ppm 에서 복숭아혹진딧물 16, 32, 32마리에 대해 0.57, 0.61, 0.70이었다.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콜레마니진디벌의 기능반응에서 공격율에는 영향 을 주지 않았지만 처리시간에는 영향을 주었다.
        4,000원
        4.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진디벌류의 우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업 현장에 방사된 콜레마니 진디벌의 평균 우화율은 37.2%였으며, 우화율 제고를 위해 그늘막을 제공한 처리구에서는 54.4%, 그늘막과 수분을 공급해 준 처리구에서는 63.1%의 우화율을 확인하였다. 진디벌 방사 시, 그늘막과 수분을 공급해 준다면, 무처리보다 1.69배 높은 성충의 출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콜레마니진디벌의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LED 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4개의 LED 광원(385, 405, 450, 및 660 nm)을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Y자관 시험에서 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385 nm LED 광원만 콜레마니진디벌에 대한 유인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3개의 LED 광원(385, 405, 및 450 nm)과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비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450 nm > 385 nm > 405 nm 광원 순으로 유인효과가 높았으나 450 nm와 385 nm 광원간 유의차는 없었다. UV-A에 속하는 385 nm LED 광원은 피부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제외하였고, 최종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광원으로 선발하였다.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우화기구에 적용한 결과, 87.4%의 높은 유인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천적 품질관리에 유 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콜레마니진디벌 머미는 처리한 온도조건(6, 8, 10 및 12 ± 1℃) 중, 8℃에서 저장 10일 까지 50% 이상의 우화율을 보였다. 머미 우화율이 가장 높았던 8℃에서 콜레마니진디벌 머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기생된 기장테두리진딧물 머미 수를 조사한 결과, 저장 후 진딧물 기생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13일 이상의 저장할 경우 평균 기생율이 20%를 넘지 못하였다. 머미 상태로 저장기간 3일부터 10일까지는 기생율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콜레마니진디벌 성충은 3일 이상의 저장은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성충태로의 저온저장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치 형성 후 2일차 된 예쁜가는배고치벌 고치를 6, 8 및 10 ± 1℃ 에서의 저장 기간에 따른 우화율을 조사한 결과, 8℃에서 가장 높은 우화율을 나타냈으며 최대 63일까지 저장이 가능하였다. 8℃ 조건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란기주인 담배거세미나방 2, 3령 유충의 치사율과 고치 형성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최적 저장기간은 2주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Aphidius is the most commercially available species in greenhouse control, especially for aphids. Although twelve species were recorded in Korea, we collected 7 species including 2 unrecorded and 1 unidentified species. We aligned 16 sequences, except for duplicates, from 31 individuals of 14 species including GenBank sequences, and made phylogenetic tree based on Neighbor-Joining method. Surprisingly, 3 species were clustered into a clade and some species was not monophyletic. In this study, we reconstructed phylogenetic tree of Korean Aphidius species using COI marker, and compared them with GenBank sequences. In addition, we try to experiment a new marker and check its ability of discrimination.
        1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the studying of effects of matrine and azadirachtine against Aphidius colemani, it was conducted to test the toxic effect of ecofriendly materials. Matrine and azadirachtine are active ingredient of the most commonly used eco-friendly insecticidal materials against insect pests. The effects of materials are investigated by spraying solution to mummies and adults in laborartory condition (Temp: 25℃; 16L:8D; RH: 50-60%). Each materials was diluted and treated with 5 concentrations, 10 wasps for each replications and 3 replications for each concentration. Fitness of A. colemani was assessed by measuring survival rate, emergence rate, longevity and fecundity. Wasps adults were used for experiments within 48 hours after their hatching. Emergence rates were checked for 12 days after spray to mummies of A. colemani, and survival rates were checked at 24 and 48 hours after vial test for adult parasitoids with 10% sugar solution. Adult wasps were exposed to dry residue of material for 24 hours. Longevity was monitored every 12 hours and fecundity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mummies produced by A. colemani adults.
        1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ne species of the genus Aphidius (Hymenoptera: Braconidae: Aphidinae) is recognized in this study. The genus Aphidius is a large braconid group distributed in the European, Palaearctic and Oriental regions, which includes currently 61 species in South Korea. This genus mainly parasitizes aphids. In this study, Aphidius transcaspicus Telenga, 1958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Historically, Aphidius transcaspicus is complexed with Aphidius collemani species complex. Descriptions, diagnosis distribution and illustration are provided.
        1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Aphidius is one of the largest groups of aphid parasitoids. Aphidius colemani is most common and commercially available for the aphid control. Recently, the mummies of Rhopalosiphum padi were collected from barley banker plants in Yecheon.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identified its parasitoid as A. transcaspicus, which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A. colemani. Interspecific variation of both COI and ITS2 between two species was 5.13 and 10.73%, respectively. Intraspecific variations of both COI and ITS2 of A. transcaspicus was 1.85 and 4.96%, respectively. We assume the barley banker plants for A. colemani were contaminated by A. transcaspicus. Thus, precise identification of natural enemies is required for more effective pest control.
        18.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hidius colemani has been used as commercially available natural enemies for the aphid control. However, some siblingspecie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their morphology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parasitic characteristics. Recentlywe identified overwintering parasitoids inside the aphid mummies at the pepper greenhouse in Yecheon. The nucleotidesequence analysis identified as A. transcaspicus which is morphologically similar with A. colemani. Those genetic differencesof COI and ITS2 sequences were 4.36-4.84% and 2.65-5.84%, respectively. While A. colemani is useful for the controlof Aphis gossypii and Myzus persicae, A. transcaspicus parasitize various species belongs to the genera Hyalopterus, Melanaphisand Rhopalosiphum. Thus, precise diagnosis of natural enemies is required for the successful pest control.
        19.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진딧물의 내부기생벌인 Aphidius transcaspicus는 산업화된 A. colemani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기생하 는 진딧물 종류가 서로 간에 다르다. 즉, A. colemani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에 효과적인 반면 A. transcaspicus는 Hyalopterus, Melanaphis 그리고 Rhopalosiphum 속의 진딧물들을 기생하며 특히 H. pruni(복숭아가루진딧 물) 방제에 효과적인 천적으로 보고되어있다. 이 종은 지중해, 소아시아, 트랜스코카시아, 중앙아시아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보고된 바가 없다. 2016년 3월에 예천에서 채집한 기생벌을 형태적 및 유전자진단법으 로 비교하였다.
        20.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hidiinae in Braconidae includes more than 400 species within approximately 60 genera worldwide. Species of Aphidiinae are mostly known as solitary koinobiont endoparasitoids specifically associated with aphid hosts, and some of them are used for biological control. In the present study, two aphiniine species are newly recognized from South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tudy: Aphidius rhopalosiphi de Stefani-Perez 1902 and A. uzbekistanicus Luzhetzki 1960. Although It was very difficult to discriminate two species morphologically, we cleary identified them by using COI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DNA Barcode sequences. Here we present their morphological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barcoding result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