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고등학교 「금융과 경제생활」의 개발 절차, 기본적인 개발 방향과 주안점 등을 다루고 있다. 개발 과정에서 연구진 내부 회의는 물론 각론 조정팀, 현장 교사, 전문가의 검토 과정, 폭넓은 여론 수렴 등의 과정을 거쳤다. 주요 개발 방향은 학생들의 삶과 연계한 교육과정 구성, 성취기준 및 학습량 적정화, 안정된 금융 생활에 필요한 역량 강화로 잡았고, 개발의 주안점은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맞춤형 금융교 육, 범교과 학습 주제 및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 반영, 융합 선택 과목의 취지를 반영한 통합적 접근 및 중복성 배제였다.
Recently the rapid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make both university and every each department should have to renovate and adjust all of the educational components. The most dominant and issuable chan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is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which was certified by the KABEA(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only two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accredited recently. Though The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that Accreditation, there is few research and analysis on educational change. So it is very important that research on the curricular constitution and change of the curriculum for considering the its own effect and influenc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urricular constitution, change and course fulfill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afte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based o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e analysi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change will help develop sustainable curriculum and give more guideline for identifying the core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The method of analysing that in this research has adopt the social network analysis(SNA) and automated software tool which is the most dominant technique in contents analysis including the Krkwics and Pajek. The SNA is evaluated that most popular, rigorous and firm methodology for analyzing, examining and revising some concepts or objects in the context of seman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atio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class has been decreased but still the most fulfilled course. And English mediated class has been avoided though that sort of the class has been increased. In the view point of course fulfillment, it has been potential and inefficient problems that some classes that including financial related and accounting related class would not been accomplished appropriately. The findings of a graduate depth interview which has been done about 4 years for understanding that student show that there’s some recognition gap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staff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fisheries business still somewhat low and even worse the chance of recruitment also unsteady.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따른 전문대학교내 사회복지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체계화하고, 사회복지과의 학문적 정체성을 지속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작되었으며, 사회복지과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2011년 1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한국전문대학교교육협의회에 정회원으로 등록된 수도권 사회복지과를 대상으로 개설된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각 전공별 이수과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과 재학생으로 하여금 사회복지 전공을 기본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보육교사 등 다른 자격을 취득할 경우,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이수학점이 강화되는 경향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요구된다. 해결방안으로 사회복지자격과정만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방법이다. 혹은 초과학점을 교양과목으로 대체하거나 계절학기, 보육과정이 개설된 학과와의 협조를 통하여 대신할 수도 있다. 보육전공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건강가정사 등 다른 전공을 개설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初等學校에서 이루어지는 漢字漢文 교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려면 국가 수준에서 敎育課程을 제정하고, 敎科의 性格과 目標, 학습할 內容 體系의 준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필자는 다음과 같이 초등학교 한문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를 수립하였다. 초등학교 한문은 漢字와 語彙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言語生活에 活用하는 데 필요한 道具 敎科이며, 漢字와 語彙 및 漢文 短文의 학습을 통하여 우리의 傳統文化를 이해하고 계승하며, 漢字文化圈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이다.이와 같은 교과의 성격에 따라 초등학교 한문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는 다시 內容의 領域과 領域別 內容으로 具體化하였다. 초등학교 한문 교육과정의 내용은 漢字, 語彙, 漢文, 文化로 영역별 체계를 範疇化하고 그에 따른 하위 영역을 두어 構造化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한문 교과의 성격, 목표, 내용이 상호 統一的으로 連繫되도록 한 것이며, 아울러 중학교 한문 교과와의 연계도 고려한 것이다.
2002학년도부터 시행되고 잇는 제 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학습을 요구하고 있으나 교사가 실제 사용할 교수학습과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할 수준별 교수학습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학습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과학관련 태도와 학습 성취도 및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등학교의 수준별 학습의 운용형태에 따라 두 가지 형태의 교과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하나는 수준별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사용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수준별로 학생들을 분반하여 학습하는 형태이다. 이들 중 동시에 학습하는 형태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2) 수준별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학생들은 이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동시에 수행되는 수준별 학습에 대해서는 좋은 인식을 주지 못했으며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서는 우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직 교육과정 수업에 대한 분석 준거 틀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진행된 수업에서 학생들이 학습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영역과 학습하기 용이한 영역을 조사하여, 교직 교육과정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지역 3개 대학에서 교직 교육과정 수업을 수강한 학생 96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설문 결과에 대한 보다 유의미한 해석을 위하여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교육과정 수업에서 다루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기초 영역은 다른 내용이나 영역으로의 전이가가 높은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한다. 둘째, 교직 교육과정 수업의 교육과정 개발 영역에서는 실제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절차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직 교육과정 수업의 수업 내용 선정에 있어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의 가치성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에 유의하여 수업을 진행하면 학생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육실습 연계 대학 강좌를 수강한 예비화학교사의 실습수업의 특징을 사례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실습 사전교육이 예비화학교사의 교육실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실습 연계 대학 강좌의 실습 사전교육은 현장 과학교사의 수업 동영상을 보고 논의하는 모델링 단계와 CoRe(Content Representation)와 수업지도안을 작성한 뒤 마이크로티칭을 하는 개발 단계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예비화학교사 P의 실습수업과 마이크로티칭 수업, 그리고 강의 녹화 자료 및 면담 녹음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예비화학교사 P는 실습수업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좋은 과학수업의 특징이 많이 드러나는 수업을 하였다. 교육실습 연계 대학 강좌의 실습 사전교육에서 현장 과학 교사의 수업에 대한 논의를 통해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안목을 형성하고, 수업 설계 능력과 실행 능력을 신장시키며 심리적인 준비를 한 상태로 교육실습 참여할 수 있었던 점이 예비화학교사 P의 실습수업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교육실습과 연계된 대학 강좌의 현장성 있고 실제적이며 체계적인 실습 사전교육이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