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 조사포닌과 인삼즙액이 인삼 근부패를 일으키는 병원균 Fusarium solani와 Erwinia carotovora의 생장과 증식 및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삼 조 Saponin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F. solani의 대형분생포자의 발아율은 억제 되었으며 500 ppm 이상 첨가시 현저하게 억제 되었다. 2. 토양 추출액은 초기에 F. solani의 포자 발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24시간후에는 무효화되었다. 3. 인삼 조 Saponin의 첨가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F. solani의 포자형성량이 감소되었으며 고체배지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4. 인삼 Saponin을 첨가 했을시 균사생장량은 약간 감소되었으나 농도에 따른 감소율은 인정되지 않았다. 5. 인삼 조 사포닌은 농도가 증가 될 수록 F. solani의 Colony 형성을 억제하였으나 인삼즙액은 농도가 증가될수록 현저하게 F. solani의 Colony수를 증가시켰다. 6. 인삼 조 Saponin과 인삼즙액 모두 E. carotovora의 생장을 촉진시켰다.
        4,000원
        2.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orean Red Ginseng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anti-virus, anti-tumor, anti-inflammation and immune-regulating activity. However, Korean Red Ginseng Crude Saponin (KRGCS) effect on Pulmonary inflammation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KRGCS on pulmonary inflammation in mouse model. Methods and Results : Pulmonary inflammation induced by cigarette smoke condensates (CSC) and lipopolysaccharide (LPS) in BALB/c mice. 100uL (ratio 1:1) of CSC (4mg/mL) and LPS (100ug/mL) solution instilled with intratracheal injection once per a week for 3 weeks in mice. KRGCS was also administered orally a dose of 10mg/kg and 25mg/kg for 3 weeks. KRGCS treatment groups decreased the number of inflammatory total cells in lung tissues a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d the number of neutrophils in BALF dropped more than negative control groups. Additionally, KRGCS reduced the absolute number of CD4+ and CD8+ cells in BALF, and the number of CD11b+ Gr-1+cells in the lung and BALF. Furthermore, we found that KRGCS declined significantly the level of the cytokine chemokine (C-X-C motif)-1 (CXCL-1),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2 (MIP-2),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in BALF. Conclusion : These results that KRGCS has an inhibitory effects on pulmonary inflammation such as COPD, may be a candidate of effective herbal pharmaceuticals for the cure of lung diseases.
        4.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산 및 음성지역의 4년생 인삼재배 농가포장에서 직파재배 5개소와 이식재배 5개소를 임의로 선정하여 직파와 이식재배에 따른 생육특성 및 엑스와 조사포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파재배는 4년근 생존율이 평균 48%로 이식재배의 86%보다 떨어지나 입모수가 평균 96주/3.3m2순로 이식재배의 57주보다 많고 엽면적지수가 커 수량성이 높은 반면, 주당근중은 작았다. 직파재배는 이식재배에 비해 동체의 신장이 양호하나 지근의 발달이 불량하여 동체중의 비율이 높고 지근중의 비율이 낮았으며, 직파재배는 적변 발생율이 적으나 동체와 지근부위의 엑스와 조사포닌 함량이 낮았다.
        5.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종자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1일, 2일 및 3일 빨랐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피복 및 투명 PE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2일, 2일 및 3일 빨랐다. 2. 생근경중은 종자형성계통 군에서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16.7% 증수하였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 군에서는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29.4%, 26.5% 증수하였다. 3. 메탄올엑스함량은 종자형성 계통 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42.60%로서 가장 많았으며, 흑색 PE 피복이37.50%로서 무피복보다 많았으나,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각처리 모두 무피복과 차이가 없었다. 4.조사포닌 함량은 종자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8.25%로서 무피복, 흑백 PE 피복 및 녹색 PE피복보다는 높았으나, 흑색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7.75%로서 흑색 PE 피복이나, 녹색 PE 피복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무피복 및 흑백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다.
        6.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종자형성계통군의 생엽중은 5월30일, 6월30일 및 6월15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 29~12% 무거웠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생엽중은 6월15일, 5월30일 및 6월30일 화경제거 순으로 무제거보다 약21~4% 무거웠다. 2. 종자형성계통군의 생근경중은 5월30일, 6월15일 및 6월30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41~33% 증수하였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생근경중은 5월30일 화경제거가 화경무제거 보다 약 3% 증수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종자형성계통군의 메탄올엑스함량은 5월30일 화경제거와 6월 15일 화경제거가 39.77% 및 39.17%로 6월 30일 화경제거보다 높았으며, 유식물체 형성계통군의 메탄올엑스함량은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4. 종자형성계통군의 조사포닌함량은 5월 30일 화경제거가 7.50%로 무제거 (5.67%)보다 높았으며, 유식물체형성계통군의 조사포닌함량은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7.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길경의 품질평가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crude saponin 함량 변화를 밝히고 고품질 약재생산 및 가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생육년수, 부위, 수확시기, 및 건조방법별로 조사포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rude saponin 함량은 생육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 부위별로는 미부에서 2.74%로 두부 1.65%보다 1.6배 높았으며, 외피가 내심보다 1.8배 높았다. 수확시기별로는 3월과 12월에 수확했을 때가 각각 2.82, 2.74%이었으며 6월과 9월은 각각 2.12, 2.09%이었다. 건조방법별로는 증건했을 때 가 1.65%로 가장 낮았고 양건, 음건, 열풍건 및 원적외선 건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