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아고산 지역 상록침 엽수에 대한 쇠퇴 및 고사현상이 확인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탐방로에서도 고사목을 쉽게 관찰 할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며, 이러한 상황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국민적 관심을 받고 있다. 쇠퇴 및 고사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수종은 전나무속 식물인 구상나무와 분비 나무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구상나무는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이라는 점에서 보전가치가 높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연구기관 및 학계에서 구상나무를 둘러싼 생육・ 고사 실태조사 및 고사원인 구명에 많은 힘을 쏟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따른 겨울철 기온상승과 봄철 가뭄이 구상나무 생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고사목의 수령이 100년 미만의 유사한 수령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생태적 수명에 따른 자연사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생태적 수명에 따른 고사 가능성은 그 동안 몇몇 연구를 통해서도 제시되었던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구상나무의 고사 및 쇠퇴를 야기할 수 있는 새로운 원인이 확인되었다. 2018년 4월 세석평전 일대에서 설치류에 의한 구상나무 고사 및 피해 현상이 최초로 확인되었다. 세석대피소 앞에 식재된 구상나무에서 소형 동물의 이빨에 의해 수피가 갉아 먹힌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주변에 설치류로 추정되는 배설물이 모여 있었다. 이러한 피해 사례는 국내 아고산대 상록침엽수 군락 내에서 최초 발견된 사례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구상나무군락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시급히 전후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 일대 설치류에 의해 피해 입은 수목의 위치, 수고, 생육상태 등을 조사하였으며, 주변에서 확인된 배설물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가해의심종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외에 지리산국립공원뿐만 아니라 주요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군락이 분포하는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덕유산국립 공원을 대상으로 유사 피해사례를 조사하였다. 설치류에 의한 구상나무 피해는 지리산국립공원 영신봉에서 촛대봉까지 분포하는 구상나무군락 내에서만 확인되었으며, 52개체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로 구 상나무가 높은 밀도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곳에서 집중 확인되었으며, 성목의 경우 지면으로부터 높이 1.5m 이내, 직경 2cm 이하의 가지에서 주로 확인되었다. 성목의 경우 피해 입은 가지부는 고사하고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가지는 양호한 생육상태를 나타냈다. 또한 수고 1.5m 이내의 어린 구상나무에서도 다수 피해가 관찰되었으며, 피해 입은 어린 구상나무는 100% 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잣나무에서도 가해흔적을 찾을 수 있었지만 대다수가 구상나무를 가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밖에 타 지역에서는 피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피해목 주변에서 확인된 배설물 유전자 분석 결과 대륙밭쥐(Myodes rufocanus)로 확인되었다. 가해현상이 봄철에만 집중관찰된 것으로 보아 먹이원이 부족한 특정시기 생존을 위해 구상나무 수피의 영양분을 섭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대한 명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의심종인 대륙밭쥐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피해지역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시기적 반복성과 입지특성을 조사할 계획이다.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ryopreservation of sperm has become the subject of research for successful artificial insemination technologies. Antifreeze proteins (AFPs), one of the factors necessary for effective cryopreservation, are derived from certain Antarctic organisms. These proteins decrease the freezing point of water within these organisms to below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seawater to protect the organism from cold shock. Accordingly, a recent study found that AFPs can increase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atozoa during cryopreservation.To evaluate this relationship, we performed cryopreservation of boar sperm with AFPs produced in the Arctic yeast Leucosporidium sp. AFP expression system at four concentrations (0, 0.01, 0.1, and 1 μg/ml) and evaluated motility using computer assisted sperm analysis. DNA damage to boar spermatozoa was measured by the comet assay, and sperm membrane integrity and acrosome integrity were evaluated by flow cyt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motility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AFP at each concentration except 1 μg/ml (p<0.001).Although cryopreservation with AFP decreased the viability of the boar sperm using, the tail DNA analyse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addition of 0.1 or 0.01 μg/ml AFP.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live sperm with intact acrosomes showed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0.1 μg/ml AFP (p<0.05), but increased with 1 μg/ml AFP (p<0.001).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AFP during boar sperm cryopreservation can improve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after thawing.
        4,200원
        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백두대간 및 정맥은 연속된 산줄기로서 독특한 산지․분수 계를 형성하며 동․식물 서식지 및 이동로 등 자연 환경적으 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산에서의 삶을 기반 으로 하는 지역주민들에게는 삶의 터전 이상으로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백두대간의 경우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보호되고 있으나, 정맥의 경우 백두대간 과 같이 법률에 의해 보호받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맥이 사람들의 생활권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각종 개발 압력이 백두대간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미 많은 곳이 훼손되어 있는 정맥은 도심화와 산업화가 촉진되면서 비교적 지가가 저렴한 산지를 개발하려고 하는 개발행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더욱 훼손될 소지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맥의 가치 제고와 정맥지역 훼손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정맥지역 훼손지의 현황 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낙동정맥을 비롯하여 호남 정맥, 금남호남정맥, 한남금북정맥, 금북정맥, 낙남정맥, 한 남정맥, 금남정맥, 한북정맥 등 총 9개 정맥에 대한 마루금 등산로 및 정맥지역 주변 또는 정맥의 마루금을 관통하는 주요 훼손지에 대해서 현황을 파악하고 전체 정맥별 훼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대상은 마루금 등산로를 비롯하여 마루금을 관통하거나 또는 마루금을 따라 개설되어 있는 도로, 그리고 마루금으로부터 양쪽 2km 이내의 지역에 있 는 채광․채석지, 골프장, 공원묘지 등에 대해서 조사를 실시 하였다.마루금 등산로 조사의 경우 등산로의 노폭과 침식깊이를 조사하였고, 등산로의 조사 측점은 보측을 통해 약 100m마 다 조사를 실시하였다. 도로조사의 경우 마루금을 도보로 전 구간을 이동하며 조사하였다. 채광․채석지, 골프장, 공원 묘지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마루금 양쪽 2km 이내 지역 에 포함된 훼손지를 위성영상과 지도를 통해 대략적인 위치 를 파악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훼손실태를 파악하였다. 한 편, 정맥 훼손지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훼손 현황을 5점 척도로 정리하였다. 한남정맥의 경우 채광․채석지를 제외한 모든 훼손 유형에 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호남정맥의 경우 모든 유형에 서 점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타 정맥에 비해 훼손의 정도가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훼손이 많았던 한남정 맥, 한북정맥의 경우 정맥의 마루금 주변에 인구밀도가 높 은 지역의 생활권이 인접해 있기 때문에 도로, 골프장, 공원 묘지에 의한 훼손이 많이 발생하였고, 등산로의 경우에도 많은 이용객들에 의해서 등산로의 훼손도 많아 타 정맥에 비해 점수가 높게 분포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채광․채 석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훼손지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는 데 이는, 도심지역에서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를 최대한 억 제하려는 노력과 대규모 개발로 인해 채석지가 발생한 지역 에 대해서는 산지 전체를 제거하는 형식으로 개발이 이루어 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부분의 유형에서 훼 손이 적었던 호남정맥의 경우 비교적 인구밀도가 비교적 낮은 시, 군 지역을 통과하거나 연접해 지나고 있어 타 정맥 에 비해 개발압력이 낮게 나타나 훼손이 적었던 것으로 판 단된다. 각 유형별 훼손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등산로의 경우 훼 손의 차이가 정맥별로 비교적 크지 않았으나 도로와 채광․ 채석지는 비교적 크게 나타났으며, 공원묘지와 골프장은 지 역의 편차가 매우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 등산로의 경우 훼손이 심한 지역일수록 단절된 곳이 많기 때문에 이 상의 결과만으로 평가하기에는 다소 곤란할 수 있다.이상의 결과로 도심화와 산업화가 동시에 발생하는 곳에 서 훼손 압력이 심하게 발생함을 알 수 있었으나 인구가 매우 많은 지역에서 경관을 훼손하는 유형은 오히려 줄어드 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면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의 훼손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특히 인구가 밀집해야 나타나는 골프장과 공원묘지는 매우 낮은 수준으 로 조사되었으나 경관을 저해하는 채광․채석지의 훼손정도 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정맥 내 훼손지의 경우 향후 조사한 데이터를 근거로 각 지자체 별로 훼손지에 대한 추가 관리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특정도서란 사람이 거주하지 아니하거나 극히 제한된 지 역에만 거주하는 섬으로서 자연생태계·지형·지질·자연환경 이 우수한 독도 등 환경부장관이 지정하여 고시하는 도서 (島嶼)를 말한다(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1항). 특정도서는 2000년 47개소가 처음 지정 된 후 현재 총 206개소(2014.02지정) 11,691,139㎡가 지정 되어 있는 상태이고, 14년간 지정 특정도서의 수는 약 4배 가량 증가하였다. 특정도서의 지정 개소수의 증가에 따라 식생의 관리와 복원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다. 과거 서종 철(2004)는 무인도서와 특정도서의 자연생태계관리 현황과 문제점에서 부분적으로 식생의 훼손형태와 관리 부분이 포 함되어 있지만 연구초점이 식생에 맞춰져있지는 않다. 그리 고 과거연구에서 10년이 지난 지금의 특정도서의 훼손현황 을 확인하고 식생훼손의 현황을 분석하여 관리방안을 강구 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지는 경남권역 11지역, 부산권역 3지역, 인천권 역 27지역, 전남권역 50지역, 제주권역 2지역, 전북권역 8지역, 충남권역 13지역으로 총 114지역으로 2006년~2013 년에 실시한 제2차 특정도서정밀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 고, 과제에 참여하지 않은 2006년과 2007년은 기존의 문헌 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총 114개의 특정도서지역을 대상으로 식생훼손을 분석 한 결과 크게 인위적인 훼손유형과 자연적인 훼손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고 세부적으로 조류집단서식지로 인한 식생 단편화, 태풍 및 파도에 의한 염해, 방목가축(염소, 토끼)에 의한 식생훼손, 해안변 쓰레기 및 어구의 집적으로 해안사 구식생의 훼손, 귀화식물의 유입으로 인한 도서 본연의 식 생교란(등대 및 삼각점 공사, 인근 주민들의 왕래), 분재 및 식물 채집으로 인한 식생파괴, 벌채 및 개발, 낚시꾼들의 암벽식생훼손으로 총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현 특정도서 내 식생의 훼손은 귀화식물의 유입이 109건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낚시꾼, 다음으로 분재 및 식물 채집, 해안변 쓰레기 및 어구의 집적(사구식생이 형성되어 있어 생육에 저해 받는 지역만 계산), 가축방목, 태풍 및 염해, 조류집단서식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훼손유형 의 비율은 인위적인 유형과 자연적인 유형이 약 9:1의 비율 을 나타내고 있어 인위적인 간섭정도에 대한 직접적인 관리 가 필요하다. 식생훼손의 유형별 관리방안으로 첫째, 해안변 쓰레기 및 어구의 집적은 파도에 밀려온 해안쓰레기와 인근 주민들이 쌓아놓은 어구에 의해 해안 사구식생의 생육제한이 일어나 고 있는 상태였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주기적인 단속과 쓰레기 제거작업이 요구된다. 현재 지자체별 도서관리의 횟 수는 보통 연간 1회로, 추가적인 예산을 확보하여 관리 횟수 를 늘리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귀화식물의 유입은 도서 전반적으로 1~2종의 외래 종이 분포하였고 그 외 교란이 심한지역 13개 도서는 8~9분 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외래종이 분포하지 않은 도서는 5개 도서에 불과하였다. 비교적 교란이 심한 13개의 도서를 분석한 결과 공통점은 인근 유인도서와의 1km이내(Daum 위성지도 분석) 라는 것이다. 인근 주민들 의 지속적인 왕래로 종자산포가 일어나거나, 식재의 형태등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주기적인 단속과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장에서 진행된 인근 주민의 인터뷰결과 특정도서의 지정여부는 잘 알고 있었으나 그 인식은 평범한 마을 뒷산이나 어획량이 좋은 섬 정도였다. 셋째, 분재 및 식물채집은 인근 주민들에 의해 동백나무, 소사나무, 보춘화, 자란, 섬, 잔대 등 분재채집과, 약초채집, 난초채집이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동백나무와 소사 나무의 분재채집으로 인해 지름 약 2m가량의 구덩이가 오 랜 기간 동안 방치되어 있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 역시 주기적인 단속과 주민교육이 필요하고 과도하게 훼손된 지역에 있어서는 도서 내 종자를 채취하여 심어주거 나 치수를 이식하여 기존의 식생으로의 복원을 유도한다. 넷째, 벌채 및 개발은 몇몇 특정도서 내에 군부대 혹은 석축, 방파제 건설이 일어나고 있어 기존의 식생이 파괴되 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세밀한 환경영향평가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군부대의 경우에는 화단조성이나 식 물채집, 외래식물의 식재를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낚시꾼의 활동은 주로 인근 마을 선주를 중심으 로 갯바위 낚시가 성행하고 있었다. 낚시활동으로 하여금 발생하는 쓰레기나 오물, 그리고 낚시꾼의 이동이 해안암벽 식생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기도 한다. 현재 낚시꾼 규제를 위해서는 선주들의 교육과 실질적인 벌금제도(지역민에게 벌금부과 애로사항) 시행이 필요하다. 여섯째, 가축방목은 주로 토끼, 염소, 흑염소 등이 식생훼 손을 일으키고 그들이 먹지 않은 식물들만이 잔존하여 초본 층식생의 단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토사 유출이 확인되었다. 특정도서정밀조사를 진행하는 국립생 태원을 중심으로 구제가 필요한 도서를 각 지자체에 하달하 여 적극적인 구제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태풍 및 염해는 현재 법고섬, 수리봉, 수시도 등 24개 도서에서 태풍으로 인한 곰솔 및 소나무 등의 고사 또는 염해가 발견되었다, 이는 과도한 염분으로 삼투압작용 에 의해 식물체가 고사에 이르게 만드는 것으로, 태풍이 지 나간 후 각 지자체는 담당 특정도서를 대상으로 관계용수를 살포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여덟째, 조류 집단서식지는 집단번식지의 사유로 지정된 몇몇 특정도서에서 나타나는 식생훼손이다. 철새들의 집단 서식으로 인해 발생되는 분뇨로 과거 식생들이 파괴되었고, 명아주나 담쟁이덩굴, 누리장나무 등과 같이 내성에 강한 종들만이 소수 잔존하고 있다. 대부분은 초본층이 파괴되어 토양유실이 일어났으며 점차 바위섬화 되어 가고 있다. 집 단서식지의 조류들은 대부분 철새들이며 철새들은 산란처 및 은신처, 먹이를 공급받기 위해 일정량의 식생이 필요하 다. 해마다 머물던 도서로 돌아오고 있지만 식생이 완전히 파괴되어 바위섬화 되었을 경우 이들은 유사한 환경의 다른 도서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조류번식기가 지난 후 지정 특정도서의 식생복원 및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정도서의 식생관리는 주로 지역주민들의 인식개선에 대한 교육과 주기적인 단속, 실질적인 벌금적용, 관개용수 활용, 식생복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여기서 또 다른 문제 점은 예산문제와 관계부처간의 소통에서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현재 특정도서의 관리는 각 지자체와 환경부 산하기 관인 유역환경청에서 관리를 하고 있다. 쓰레기수거나 가축 들의 구제 등은 지자체에서, 주기적인 단속 및 소규모 미화 관리 등은 유역환경청에서 맡고 있다. 하지만 부족한 예산 으로 지자체에서는 1년에 각 지자체가 맡고 있는 도서별로 1회 관리를 하고 있으며, 과도하게 많이 쌓여있는 쓰레기들 을 운반할 큰 행정선의 보유 역시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과거 국립환경과학원(현재 국립생태원 이관)에서 진행한 특정도서정밀조사 결과에서 관리가 필요한 부분(가축의 구 제, 해안변쓰레기의 과도한 집적, 염해피해지역)에 대한 관 계부처 간 소통의 부족으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담당 도서내 관리가 필요한 내용의 인지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특별한 관리가 요구되는 사항에 있어 국립생태원을 중심으로 각 관계부처들간의 소통(공문발송 등)과 적정한 예산의 지원 이 결부되어야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이용압력이 높은 서울시 초안산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숲길의 분포와 훼손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도심 내 숲길 정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초안산근린공원 숲길(25,964m)의 훼손 현황 중 노폭 2m 이상 20.3%, 침식 깊이 30cm 이상 36.3%, 훼손이 심한 형태인 나지침식이나 근계노출, 암석노출 구간 47.0%이었고, 환경피해도 등급 IV 이상이 70.6%로 숲길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었다. 훼손이 심한 숲길 노선은 대부분 주능선을 따라 형성된 주요 숲길과 저지대 급경사 숲길, 주요 숲길과 연결된 샛길이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초안산근린공원 숲길의 복원유형을 숲길 확산방지, 숲길 지반안정, 숲길 노면정비, 숲길 폐쇄 후 식생복원, 유지 등 5가지로 구분하였고, 유형별 복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숲길 확산방지는 나지가 노출되어 있는 숲길 폭원 확대를 방지하고, 숲길 지반안정은 숲길 내 침식 및 뿌리노출을 방지하며, 숲길 노면정비는 훼손이 심각한 숲길의 노면을 목재데크, 목재계단, 노면 포장 실시 등을 통하여 보호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4,200원
        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딧물류의 포식성 천적인 칠성풀잠자리붙이의 충태, 온도조건, 먹이밀도 조건 등에 따른 포식량 및 몇 가지 채소작물에서 진딧물 밀도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칠성풀잠자리붙이 3령유충은 17, 22, 및 에서 각각 29.8, 77.9, 133.6 및 155.7마리의 목화진딧물을 포식하였으며,에서 산란전 성충은 73.1마리, 산란중인 성충은 86.6마리, 수컷성충은 69.7마리의 복숭아혹진딧물을 포식하였다. 칠성풀잠자리붙이는 목화진딧물 밀도가 증가하면 포식량도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율은 차차 감소하는 Holling의 기능적 반응곡선 제II형(포화형)과 일치하는 경향이었으며, 칠성풀잠자리붙이 3령 유충은 탐색률이 가장 높고 탐색시간은 짧았다. 칠성풀잠자리붙이의 목화진딧물 제어능력은 고추, 가지, 토마토에서 칠성풀잠자리붙이 난:진딧물의 비율이 1:4, 오이는 1:3일 때 효과적이었다. 또한 칠성풀잠자리붙이 2령 유충:진딧물의 비율이 고추에서 1:30,오이와 토마토에서는 1:20일 때 효과적으로 진딧물 밀도를 억제할 수 있었다. 시설하우스에 고추를 정식한 후 6월~9월 사이에 약제방제 4회 실시한 것과 칠성풀잠자리붙이 난을 3회 접종한 것의 방제효과가 비슷하였다.
        4,000원
        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of assessment program for shock/Fire damage caused by aircraft impacts for NPP(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gulations, the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 potential effects of the impact of a large commercial aircraft. In this study, we set up the practical application procedure to assess the shock/fire damage due to aircraft impacts for NPP in accordance with NEI(Nuclear Energy Institute)07-13 rule set and are developing the aircraft impact assessment program to reduce the effort and improve the accuracy.
        10.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국의 The economist와 우리나라의 재해연보를 살펴보면 자연재해의 발생횟수가 비약적으로 많이 증가하였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자연재해의 영향은 인간에게 여전히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으며, 자연재해가 미치는 피해와 영향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다양한 기상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상현상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전국적이라기보다 지역별로 다양한 피해를 입고 있으며, 많은 피해액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분포 양상과 피해 현황 및 추세를 파악하여 각 지역별로 합당한 지역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8년간 태풍, 호우, 대설사례를 대상으로 인명 피해 및 재산피해의 현황과 추세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도별 피해 분포지도를 제작하여 자연재해 사례별로 피해가 나타나는 지역을 구분하였다. 지역별 재해 피해 추세 및 분포 양상에 따른 지역 구분은 기상현상의 예측과 예방에 대하여 지역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