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Interest in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fter the addition of cardiac rehabilitation as a benefit item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2017. However, few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characterized cardiac rehabilitation in Korea. Objects: To assess the national epidemiological data on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Korea from 2017 to 2023. Methods: This study analyzed MM453, a prescription code for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database. The data reviewed included the total number of cases per year and the number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prescriptions per 100,000 people, along with sex and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Results: The number of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prescriptions in Korea increased from 4,443 in 2017 to 15,646 in 2023 (252.1% increase in 7 years). The incidence per 100,000 person-years rose from 8.64 in 2017 to 30.22 in 2023. The number of males undergoing therapy increased from 3,183 (incidence: 12.35) in 2017 to 11,276 (incidence: 43.53) in 2023. The number of females undergoing therapy increased from 1,260 (incidence: 4.91) in 2017 to 4,370 (incidence: 16.89) in 2023. The highest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therapy from 2017 to 2023 was observed in the 60s age group (patients: 4,747, incidence: 9.17), followed by the 70s, 50s, and > 80s age groups. Conclusion: From 2017 to 2023, the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rehabilitation therapy in Korea increased consistently. The therapy is approximately 2.6 times more common in males than that in females and is predominantly administered to individuals in their 60s, followed by those in their 70s, 50s, and 80s and above.
안전한 해양플랜트 운용을 위해 장비 성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양플랜트의 특성상 장비 성능평가를 위해 정기적으로 계측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육상으로 운반해야한다. 이로인해 성능평가 주기가 길어지고, 다음 성능평가가 시행되기 전까지의 장비의 성능 저하 정도를 알 수 없어 장비의 고장을 방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육상이 아닌 해양플랜트 내에 온보드(on-board) 형태의 장비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플랜트 내에서 장비 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가시화하는 장비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초기 단계로, 장비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요 장비의 태그 데이터를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장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한 데이터를 해양플랜트 내에서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 온보드 형태의 장비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공시된 545종의 위험유해물질의 국제 해상운송위험물 코드를 포함한 다양한 물질 고유번호들을 수집하고 물질정보와 위험성에 대해 조사한 후, 이미 개발된 미국, 일본, 유럽형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해상 운송되는 국내 HNS의 물질정보와 폭발성과 부식성을 포함한 거동특성에 대한 자료를 취합한 한국형 위험유해물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육상 환경위주의 위험유해물질의 데이터베이스의 문제점과 혼합물 위험유해물질의 물질정보의 부재를 포함한 해결해야할 문제점을 보고하였다. 해양유출사고에 대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국내 해양환경에 맞는 기본모델을 구축하고 추후 확장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e New Vacuum Solar Telescope (NVST) is a 1-meter vacuum solar telescope that aims to observe the ne structures of active regions on the Sun. The main tasks of the NVST are high resolution imaging and spectral observations, including the measurements of the solar magnetic eld. The NVST has been collecting more than 20 million FITS les since it began routine observations in 2012 and produces a maximum observational records of 120 thousand les in a day. Given the large amount of les, the effective archiving and retrieval of les becomes a critical and urgent problem. In this study, we implement a new data archiving system for the NVST based on the Fastbit Not Only Structured Query Language (NoSQL) database. Comparing to the relational database (i.e., MySQL; My Structured Query Language), the Fastbit database manifests distinctive advantages on indexing and querying performance. In a large scale database of 40 million records, the multi-eld combined query response time of Fastbit database is about 15 times faster and fully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NVST. Our study brings a new idea for massive astronomical data archiving and would contribute to the design of data management systems for other astronomical telescopes.
This study aimed at construction of text and graphic database for moment-rotation curves of partially restrained composite beam-to-column connections. key words The M-θ data or figures under monotonic or cyclic tests are made as text files. Also, Eurocode 3 classification is added to the M-θ curve to verify as semi-rigid connections. For structural analysis, linear rotational stiffeness or nonlinear M-θ curves are transformed three-parameter power model. Although this database has some limitation, it will be used for further PRCC researches and tests.
본 연구는 국립기상연구소에서 생산한 기상자원지도 및 기상정보의 원시자료로부터 Web2.0기반의 기상자원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 목표로는 (1)기상자원 DB의 공간정보화, 통계적 정보 제공에 적합한 DB 서비스 개발 (2)사용자 경험 중심의 RIA 서비스 개발, (3)기상자원 KML 배포 서비스 웹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참여와 기상정보 콘텐츠 창작환경 조성에 있다. 이를 위해 풍력과 태양광 관련 기상자원지도와 원시자료를 이용해 GeoDB 및 웹서비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결과로서 구축된 기상자원 GeoDB 및 웹서비스가 Web2.0 패러다임을 지향하는 지에 대해 그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산생산된 기상자원 공간/통계 정보 및 RIA서비스는 입지분석, 의사결정지원, 창작활동 등 여러 응용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We have designed data processing server system to include data archiving, photometric processing and light curve analysis for KMTNet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Outputs of each process are reported to the main photometric database, which manages the whole processing steps and archives the photometric results. The database is developed using ORACLE 11g Release 2 engine. It allows to select objects applying any set of criteria such as RA/DEC coordinate and Star ID, etc. We tested the performance of the database using the OGLE photometric data. The searching time for querying 70,000,000 records was under 1 second. The database is fully accessed using query forms via web page.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의 지진피해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항목들을 정의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을 제시하였다. 도로교 지진피해평가를 위한 정보요소는 크게 구조물 관련 정보와 위치관련 정보로 구분하였다. 구조물 관련정보는 도로망에 위치한 교량의 지진피해를 예측하는데 필요한 도로교의 취약도 곡선 정보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위치관련 정보항목인 도로망의 데이터구조는 상세한 교차로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GIS 데이터구조를 보다 세분화하여 정의하였다. 고속도로망에 위치한 110개의 교량을 대상으로 시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제시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도로망의 신속한 피해복구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에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함을 보였다.
Many enterprises are performing the effective database applications with VAN(Value Added Network) or WAN(Web Added Network) . But it is very difficult and expensive. So we suggest low-cost database system within long distance area through personal computers. This system is very powerful for flexibility. It may be estimated it's value highly because they develop the program without high programming skill. This study would be used between company with company and/or between branch with branch, for example, customer claim information, inventory information, product order etc. It is important not importing document but importing data in document. Then end-user can accomplish analysis and decision-making with their own database. It would enhance productivity in many enterp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