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aemangeum has a dry surface characteristic with a low moisture content ratio due to the saline and silt soil, so the vegetation cover is low compared to other areas. In areas with low vegetation cover, wind erosion has a high probability of scattering dust. If the vegetation cover is increased by cultivating crops that can withstand the Saemangeum reclaimed environment, scattering du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flow rate at the bottom.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fine dust and scattering dust by cultivating winter forage crops on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hile growing 0.5 ha of barley and 0.5 ha of triticale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as monitored according to agricultural work and growth stag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PM-10, PM-2.5, and PM-1.0 were monitored on the leeward, the windward and centering on the crop field. As a result of monitoring, PM-1.0 had little effect on crop cultivation. the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increased according to tillage and harvesting, and tillage had a higher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than that of harvesting.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of crops, the effect of suppressing scattering dust was shown, and the effect of suppressing scattering dust was higher in the heading stage than in the seedling stage. 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suppressing scattering dust other than the effect of land cover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know about the generation and suppression effect of scattering dust according to crop cultivation.
본 연구는 조사료 종류와 수확시기에 따른 linoleic acid 함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재 배되는 주요 목초 및 사료작물에 대하여 3번의 수확시기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전체 19종의 목초 및 사료작물 이 조사대상 이었다. 대상작물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 되는 8종의 화본과 목초(Perennial ryegrass, Reed canarygrass, Tall fescue, Timothy, Bromegrass, Kentucky bluegrass, Orchardgrass and Wheat grass), 6종의 두과목초 (White clover, Red clover, Sweet clover, Crimson clover, Alfalfa and Hairy vetch), 그리고 5종의 월동 사료작물 (Italian ryegrass, Barley, Rye, Oat and Rape)에 대하여 3번 의 수확시기를 두었다(5월 8일, 5월 19일 및 5월 28일). 화본과 목초 중에서는 Reed canarygrass와 timothy가 가장 높은 linole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고 남방형 목초인 bromegrass가 가장 낮았다. 모든 초종은 5월 19일 조사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5월 28일 조사 시 가장 낮았 다. 두과목초는 화본과 목초보다 linole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5월 19일 수확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사료작물 중에서는 유채가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호 밀은 높은 수준이었다. 조사된 전체 조사료에서 수확시기 가 진행됨에 따라 linoleic acid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육종, 품종의 선택 및 재배관리를 통하여 CLA 전구물질인 linoleic acid 함량 을 변화시켜 반추가축 생산물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은 조사료와 농후사료비율(조:농비)에 따라 low forage (LF)구 및 high forage (HF)구로 나누어 Holstein 착유소(초산) 10두를 각 5두씩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LF구는조:농비가 37:63로 BIRG 사일리지와 혼합건초를 포함한조사료의 급여량을 줄인 반면 농후사료를 다량 급여하였다.HF구는 조:농비가 62:38로 농후사료 급여량을 줄인 반면BIRG 사일리지와 혼합건초를 포함한 조사료를 다량 급여하였다. 평균 조사료섭취량은 LF구 7.1및 HF구 13.0 kg으로 HF구에서, 평균 농후사료 섭취량은 LF구 12.3 및 HF구7.9 kg으로 LF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총 사료섭취량은 LF구 19.4 및 HF구 20.9 kg으로 HF구에서 높은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CP,TDN 및 NEL 섭취량은 두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없었다(p>0.05). 실제 산유량은 LF구 26 및 HF구 23.9 kg/d으로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LF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FCM은 LF구 22.8 및 HF구22.3 kg/d 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HF구에서유지방 함량은 높고 MUN 함량은 낮았다. 우유의 C14:0,C16:0 및 C16:1n7 함량은 HF구가 LF구 보다 유의적으로높았으나(p<0.05), 그 외의 우유지방산은 두 처리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와 같이 급여사료 중 BIRG 사일리지와 수입건초와 같은 조사료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다량급여 하여도 착유소(초산우)에 필요한영양소 충족이 가능하여 산유량의 감소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Manag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grazing ruminant diets could lead to meat and milk products t㏊t have higher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centrations, but forage fatty acid dynamics must be more fully understood for a range of forages before grazing systems can be specified. The fatty acid profiles of 23 different forages, including grasses, legumes and wild forage plants were determined. Linolenic(C18:3, 41.1~58.6% of fatty acid), linoleic(C18:2, 10.1~27.4% of fatty acid), and palmitic(C16:0, 9.8~18.0% of fatty acid) acids were the most abundant fatty acids in all species, together representing ~96% of the fatty acids present. Concentrations of fatty acids declined as plants developed, but the fraction contribution of each fatty acid to total fatty acids remained relatively stable over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