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1

        10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uyeon’, a new ruminant-palatable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uwon311’ and SB86648〔CMB81A-2149 / Saeolbori // Buheung / Gangbori / 5 / Bera-olbori / Horisee-Buheung // bengei / 3 / Olbori-Daechi-Hagane / 4 / T.beared〕by the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6. Among the cross made in 1996, a promising line, SB961012-B-B-1, showed good characteristics in potential forage yield in the yield trial tested in Suwon in 2001. In 2004, it was designated as ‘Suwon 406’ and placed in regional yield trials at five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04 to 2006, and was released as the name of ‘Yuyeon’. It belong to maturity group Ⅲ and shows erect leaf type and compact spike with types of hoods. Its heading date was Apr. 27, which was 2 days earli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Olbori’ (‘Sunwoo’), and early dough stage, which was May. 30 which was same date of that of the check cultivar. ‘Yuyeon’ showed weaker winter hardiness, but better resistance to lodging, shattering and BaYMV than those of check cultivar. It showed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grade of silage quality than those of check cultivar. The average forage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10.47 MT/ha, which was 1% low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Cattles fed with silage from ‘Yuyeon’ (hood type) showed higher feed concentrate requirement (12.9 kg/day/body) and daily weight gain (1.46 kg/day) than those of cattles fed with silage from ‘Olbori’ (rough awn).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whose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above -8℃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10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ruminant-palatable barley cultivar, Soman (Hordeum vulgare L.), with early maturing, high silage quality and high yield,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B79124〔Bengei-Ginomeo-Buheung-Morsen-Hagane/Gangbori〕and SB77189 〔Samjug/Riso82//Olbori〕in 1994. A promising line “SB941067-B-B-B-45” was selected in 1998. It performed well in the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 for two years from 2002 to 2003. The line was designated ‘Suwon 404’ through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at six sites for three years from 2004 to 2006. Its growth habit was winter type (Ⅲ) with greenish leaves, medium culm and compact density of spike setting. Its heading date and early dough stage were Apr. 23 and May 26 respectively, which were 6 days earlier than those of check cultivar ‘Olbori’. ‘Soman’ showed weaker winter hardiness, but better resistance to lodging, shattering, and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 than those of check cultivar ‘Sunwoo’. It showed 1.7% higher TDN content on whole-crop-silage than that of check cultivar ‘Sunwoo’. Its average of forage yield in regional yield trials was 10.31 MT/ha, which was 4%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105.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Wooho’ was developed by Honam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in 2005. It had good forage characteristics (smooth awn) and showed high forage production in the 5 locations of paddy field. ‘Wooho’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B87125〔Oweol//(SB77011)/SB79124 (Bengei//Hagane/ Bunong) ///Y7213-SD607-CM67-Milyang12〕and SB83024 (1012.2-IB65/Ol//Samheung/Suwon18-Gang) made in 1994. Subsequent selections were made throuhg bulked and pedigree selection methods. SB94104-B-B-B-B-79 was selected for smooth awn and agronomic performance in 2001 and placed in preliminary yield trial. In 2003, it was designated as ‘Suwon 396’ and performed regional yield trials. The average forage yield of ‘Wooho’ were 11.0 MT/ha and 10.9 MT/ha at May 20 and drought stage, respectively. The shattering rate of ‘Wooho’ was lower than that of ‘Ol’. It showed superior forage quality to the check variety when harvest early drought stage. ‘Wooho’ would be recommended as a cultivar of barley for whole crop forage with smooth awn.
        106.
        200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elect the most suitable crop and variety of forage for nutrient quality at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 crop of wheat, barley and rye were grown from Oct. 1999 to June 2000. Paldanghomil variety of rye crop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chemical components in comparison to other varieties of crops used in this experiment. It showed relatively high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low content of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paldanghomil of rye crop was the most suitable variety with high weight and high nutrient quality for forag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 heritabilities of all nutrient quality characters were estimated to be high.
        107.
        200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elect the most suitable crop and variety of forage for productivity at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 crops of wheat, barley and rye were grown from Oct. 1999 to June 2000. Paldanghomil variety of rye crop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productivity in comparison to other varieties of crops used in this experiment. It showed relatively high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 forage yield and dry matter yield. There fore, it was concluded that Paldanghomil of rye crop was the most suitable crop with high yiel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e heritabilities of all characters were estimated to be high.
        108.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노천이장한 경우 발아가 양호하여 단위면적당 입모수가 많았는데, 1992년산 무처리구의 187개/m2 에 비하여처리종자는 292개/m2 였으며, 1991년산 처리종자구는 78개/m2 로 입모가 불량하였다. 2. 생육초기의 생초생산량은 단위면적당 개체수와의 관계가 높았으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서 개체수의 효과는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3. 1차 예취시의 예취높이를 5cm로 하였을 때는 10cm에 비하여 생초수량이 높았으나 2차 예취시의 수량은 떨어졌다. 그러나 총수량은 예취 높이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미국개기장은 번종후 40~50일부터 예취를 시작하여 1개월 간격으로 3~4회 예취가 가능하였으며, 10a당 생초수량은 9~10톤, 건초수량은 1.4~1.8톤 이었다. 5. 예취시기에 따른 미국개기장의 생초와 건초수량은 생육기간 및 생육기간의 적산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 =0.711~0.860). 6. 파종기가 빠르고 예취시기가 이를수록 엽신의 비율이 높았다. 7. 미국개기장은 조단백질 16.32%, 조지방 24.01%, 조회분 11.59%를 함유하고 있어서 다른 화본료 사료작물에 비하여 품질이 좋은 편이었다.
        109.
        199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체용 보리, 밀, 신기호밀의 조사료 생산성 및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올보리, 그루밀, 신기호밀을 공시하여 총체수량, 기관별 구성비, 사료적 가치 및 예취적기를 조사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체수량은 호밀>밀>보리의 순으로 많았으며 총체수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보리, 밀은 출수후 14일, 신기호밀은 21일이었다. 2. 기관별 구성비는 세 품종 공히 출수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이삭의 비율이 늘고 줄기와 잎은 감소하였다. 보리의 이삭 비율은 황숙기에 56 1%로 밀과 신기호밀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3. 사일레지 제조 적정 수분에 도달하는 시기는 보리가 출수후 24-31일, 밀은 출수후 24-35일, 신기호밀은 출수후 25-34일 이었다. 4. 보리의 황숙기 때 조단백, 조지방의 각 10.7%, 4.7%로 밀, 신기호밀에 비하여 높았으며 반면에 보리의 조섬유는 낮았다. 5. 총체수량, 수분함량, 사료가치 및 수도이앙 등을 고려할 때 총체용 맥류의 수확적기는 출수후 23-24일 이었다. 6. 중북부지역에서 답이작 총체용으로는 보리가 가장 적합한 맥종으로 사료되었다.
        110.
        199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숙옥수수를 포함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구성시 조숙옥수수의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만파시밀식재배를 시도하였다. 조숙옥수수로는 Comet80, Comet85, Linda 품종을 이용하였고 만파정도는 수원19호 적기보다 45, 55, 65일 만큼 늦게 파종하였다. 파종밀도는 각 파종기에 대하여 60 20, 50x20, 40 20cm로 밀식정도를 달리하였다. 각처리구의 수확은 8월 29일 일괄실시 하였는데 조숙옥수수의 이러한 처리에 따른 수량구성특성 변화와 조숙옥수수의 촉과작물 작부체계도입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6월 22일까지 파종에서 건물수량은 Comet85, 수원19호 Comet80, Linda 순이었다. 2. 6월 12일까지의 파종에서 수원19호의 이삭비율은 6.7%이었는데 비해 Comet80, Cometss, Linda의 평균 이삭 빈율은 40.3%이었다 3. 조숙품종의 밀식에 의한 건물수량 보상효과정도는 6월 22일까지 파종에서 20x50cm밀도가 20 60cm밀도에서 보다 평균 37.3% 증수하였다. 4. 만파시 Comet85는 수원19호보다 평균 24.1 % 많은 TDN을 생산하였다.
        111.
        198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주조가 우리나라 자연환경조건에서 재배될 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조, 기장, 옥수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1985∼86년에 수원 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 파종, 시험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종합, 요약하여 보고한다. 1. 진주조는 26품종 평균 청취수량이 10.7∼12.8t/10a 생산되어 조, 기장, 옥수수에 비하여 월등히 다수확되었다. 옥수수는 조와 기장에 비하여 증수되었고 기장은 조에 비하여 청취 및 건물수량이 높았다. 2. 진주조 우량교잡종 수원 001는 3회 예취한 청예수량이 14.9t/10a로 옥수수 6.6t/ 10a,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9.5t/10a에 비하여 월등히 증수되었다. 엽면적지수도 3회 예취시 합계 32.4로 옥수수 5.8, 수수/수단그라스 20.8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조단백질함량에서도 진주조의 종실에서는 16.3%로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에 비하여 6∼5% 높았다. 청예용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도 진주조 1회 11.8%, 4회 예취에서 평균 16.1 %로 월등히 높았다. 조지방함량도 진주조 종실 3.8%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나 청예용 식물체에서는 1.3∼1.4%로 옥수수와 비슷하였고 수수/수단그라스보다는 약간 낮았다. 종실의 조섬유함량은 진주조가 1.9%로 옥수수 2.6%, 수수/수단그라스 4.3%에 비하여 월등히 낮았다. 청예용 식물체의 조섬유함량은 진주조 24.4∼26.8%로 옥수수보다 낮았으나 수수/수단그라스와는 비슷하였다. 조회분은 진주조 종실에 2.4%, 청예용 식물체에 10.8∼11.6% 함유되어 있었으며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와 큰 차이가 없었다. 소비율도 진주조가 57.6∼63.4%로 옥수수 46.3%, 수수/수단그라스 47.3∼57.6%에 비하여 높았다. 3. 질소증시에 따라 진주조 자식계통 T 186의 청예수량이 증가되었다.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은 N0∼10kg/10a구에서 5.2∼5.0%, N 20∼40kg/10a구에서 8.9∼8.4%. N 60kg/10a구에서 12.4%로 증가되었으나 조지방함량은 질소증시에 따라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조섬유함량은 27.7∼30.5%로 질소증시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조회분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소화율은 N0∼10kg/10a구의 49.4∼49.7%에 비하여 N20∼30kg/10a구에서는 56.6∼60.9 %로 증가하였으며 N40∼60kg/10a구는 50.2∼55.0%로 약간 낮아졌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