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haphidophoridae (Orthoptera: Ensifera), commonly known as cave crickets, are a wingless family and considered the most ancient lineage within Tettigoniidea. However, previous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and morphological hypotheses have shown inconsistencies. Although their fossils have been found in Baltic amber, their systematic placement remains unrevealed. This study reconstructed a comprehensive phylogeny integrating both extant and fossil lineages. Initially, we revealed relationships within extant lineages through molecular phylogenetics including all extant subfamilies for the first time. Subsequently, using a cladistic approach based on morphology, we confirmed the systematic position of fossil taxa †Protroglophilinae with a report of a new species. Integrating molecular and morphological phylogeney by total evidence tip-dating, we present the comprehensive phylogeny of Rhaphidophoridae considering both extant and fossil groups.
        4.
        201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laxy clusters are known to host many active galaxies (AGNs) with radio jets, which could expand to form radio bubbles with relativistic electrons in the intracluster medium (ICM). It has been suggested that fossil relativistic electrons contained in remnant bubbles from extinct radio galaxies can be re-accelerated to radio-emitting energies by merger-driven shocks via diffusive shock acceleration (DSA), leading to the birth of radio relics detected in clusters.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such bubble consist primarily of thermal gas entrained from the surrounding medium and dynamically-insignificant amounts of relativistic electrons. We also consider several realistic models for magnetic fields in the cluster outskirts, including the ICM field that scales with the gas density as BICM ∝ n0.5 ICM. Then we perform time-dependent DSA simulations of a spherical shock that runs into a lower-density but higher-temperature bubble with the ratio nb/nICM ≈ TICM/Tb ≈ 0.5. We find that inside the bubble the shock speed increases by about 20 %, but the Mach number decreases by about 15% in the case under consideration. In this re-acceleration model, the observed properties of a radio relic such as radio flux, spectral index, and integrated spectrum would be governed mainly by the presence of seed relativistic electrons and the magnetic field profile as well as shock dynamics. Thu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how fossil electrons are deposited by AGNs in the ICM and how the downstream magnetic field evolves behind the shock in detailed modeling of radio relics.
        4,200원
        8.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nepticulid leaf-mine ichnofossil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ossil leaf of Fagus from the early Miocene Geumgwangdong Formation (ca. 21–14 million years ago) in Pohang basin. This mine trace is characterized by a linear-blotch type with clear centric frass trail of closely and randomly dispersed pellets filling the mine width in early stage. We found traces of possible egg case and exit slit from the fossil. These features are most consistent with those produced by Nepticulidae. Our record represents the only reliably-identified nepticulid leaf-mine on Fagus in Miocene. Nepticulid leaf-mines in Miocene and the leaf-mine fossils from the Geumgwangdong Formation are briefly reviewed.
        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report here the new species, Aphaenogaster koreana sp. nov. first fossil record of alate reproductive female (gyne) Aphaenogaster from Eastern Palaearctic region on the basis of forewing venation and other external morphologies. Single fossil specimen was discovered from the Duho Formation of the Middle Miocene (c.a 15 Ma), Pohang, Republic of Korea. For accurate identification, we selected extant Aphaenogaster species for reference and compared wing venations and body measurements to new species. Furthermore, we suggest previously recorded Aphaenogaster species from Miocene Grubstake Formation of Alaska (UAF-GS23, UAF-GS24) removed from the genus and remained in unplaced species in the Myrmicinae (incerta sedis). Because of similarity between genus Aphaenogaster and Paraphaenogaster which shares morphological similarities, we provide comparison between the new species and the other known gyne Aphaenogaster and Paraphaenogaster. Diagnostic characters for gynes of Aphaenogaster are also provided
        1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ne species of fossil plants were described based on the new material collected from the Hasandong Formation. They are as follows: Thallites yabei, Onychiopsis elongata, Cladophlebis denticulata, C. shinshuensis, C. (Eboracia ?) lobifolia, C. (Klukia ?) koraiensis, Brachyphyllum japonicum, Elatocladus tennerima, and Taeniopteris ? sp. cf. T. auriculata.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Hasandong flora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Nakdong flora. This means that both floras might have flourished under subtropical warm arid climate. This flora contains both the Tetori-type and Ryoseki-type floras. It is considered that the Hasandong flora is a member of the Mixed-type floras that existed in eastern Eurasia during the Late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time.
        4,600원
        1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발자국 및 보행렬 화석의 발굴 방법과 이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공룡, 익룡 및 새 발자국과 같은 척 추동물의 발자국과 보행렬 화석들은 공룡 등과 같은 실체 화석들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특정 방향을 향하여 길게 진행 한 흔적을 남기거나 넓은 층리면에서 발견되며, 평면적인(2차원적인)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발자국 화석의 특성을 반영하여 비교적 넓은 층리면에 보존된 발자국 화석을 발굴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였고, 이 방법을 5곳의 발 자국 화석 발굴 현장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발자국 화석산지에서 공룡, 익룡, 새 발자국과 보행렬 화석들을 성공적으 로 발굴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발굴 사례에 근거하여, 발자국 화석 발굴의 단계별 과정과 세부 사항을 제안하였다.
        5,400원
        12.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청남도 서부에 분포하는 아미산층에서 많은 패갑류 화석이 채집되었다. 이들 화석은 아미산층의 여러 층준에서 밀집된 상태로 산출되며, 아열대 기후의 담수 환경에서 번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미산층산 패갑류 화석은 다음과 같이 3속 4종으로 분류되었다: Euestheria kawasakii, E. shimamurai, Sphaerestheria koreanica, 그리고 Cyclestherioides rampoensis. 그중에서 후자는 이전에 아미산층에서 기록된 종이고, 나머지 3종은 새로이 발견된 종이다. 패갑류 화석에 의한 아미산층의 지질 시대는 후기 트라이아스기로 추정된다.
        4,000원
        1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peatland for estimating the paleo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from its fossils plant and radiocarbon at the Hwayang-ri, Hyeondeok-myeon, Pyeongtaek-city, South Korea. Variety of fossil was collected from the peatland which could discriminated with naked eye and sorted into seeds, leaves, stems from four-stage of standard sieve. During analysis for the large plant fossil within the peatland, the dead plants were largely divided into 3 fossil zones according to its peatland. In the fossil zone Ⅲ(the oldest layer; 6,970~6,070 yr C14 B.P.), the observation of leaves of hydrophyte such as Trapa sp. and stems of Alnus japonica which appeared in wetland means that the environment was influenced by the climate changes such as rainfall increasing and sea level rise. In the fossil zone Ⅱ(the middle layer; 6,070~5,800 yr C14 B.P.), the occurrence of Gramineae, Cyperaceae and Fagaceae indicate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 might be more or less dry by decreasing rainfall and drop in sea level. The fossil zone Ⅰ(the recent layer; 5,800~4,540 yr C14 B.P.) where lots of herbaceous plants, increasing of Fagaceae, decreasing of A. japonica. and distribution of Pinaceae were showed, was inferred to be repeated both dry and wet environment due to human disturbance.
        4,000원
        1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화석목재의 개요와 고식물학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이들을 종합하였다. 한반도에서 보고된 화석목재는 중생대에서 신생대로 갈수록 종수와 다양성이 증가하며 특히 신생대에 급증했다. 전기 중생대에서는 구과류 4속 6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이것은 대동식물군의 약 6%에 해당한다. 후기 중생대의 화석목재는 모두 구과류이며 총 7속 15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이것은 낙동식물군의 약 29%에 해당한다. 신제3기의 화석목재는 16과 21속에 속하는 35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대부분이 쌍자엽식물이고 다른 시대에 비하여 다양성이 가장 크다. 이것은 장기식물군의 약 83%에 해당한다. 신제3기에 화석목재가 급증한 이유는 식물군의 구성이 쌍자엽식물이 많고, 화석층에 목재 화석화에 적합한 화산쇄설암이 풍부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로써 대기 중에 축적되어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킨다. 화석 연료 기반의 전력 생산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상당량을 차지하며, 향후 수십 년간 화석연료 의존도 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기술개발 은 매우 시급하다. 이산화탄소 분리 기술은 크게 전처리, 후처리, 순산소 연소 방식으로 나뉘며, 본 연구 에서는 후처리 제거 공정을 중심으로 제올라이트, 활성탄, MOF 소재의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을 비교하 고, 공정기술에 대해 분석하였다.
        4,300원
        1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충남 보령 일대에 분포하는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아미산층에서 밑들이목에 속하는 날개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다. 날개 화석은 그 맥의 특징에 의해 Mesopsychidae과의 Mesopsyche dobrokhotovae로 분류되었다. 이 속에 속하는 화석 곤충은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며 상당히 번성한 그룹이었다고 추정된다. 현생의 밑들이는 나뭇잎, 식물 줄기 등에 매달려 있거나 습한 환경에서 작은 곤충을 섭식하며 생활한다. 따라서 밑들이 화석의 존재는 후기 트라이아스기 동안 남포 층군이 퇴적될 당시의 서식 환경이 이미 현생의 환경과 상당히 비슷했다는 것을 지시한다. Mesopsyche dobrokhotovae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곤충화석 중 가장 오래된 화석의 하나이며 밑들이 화석으로는 최초의 기록이다.
        4,000원
        1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7년 11월에 천연기념물 제487호로 지정된 화순군 서유리의 백악기 화석산지는 수각류 발자국 보행렬, 식물화석, 건열, 연흔, 수평층리 등 고환경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들을 포함한다. 이 백악기 퇴적층은 하부에 직경 5-40 cm의 다양한 성분의 화산암역을 함유하며, 후기의 화순안산암에 의해 덮인다. 백악기 퇴적층과 동시퇴적된 6시료의 화산암역과 이 지층을 덮는 화순안산암 2시료를 대상으로 전암을 이용한 K-Ar법 절대연대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백악기말의 투로니안(90-70 Ma)에서 신생대 초기인 플라이오세(63.4±1.2, 62.1±1.2 Ma)에 해당한다. 연대측정 결과 백악기 퇴적층의 퇴적시기와 공룡의 활동시기에 대한 최대지질연대는 약 70 Ma이다. 이 연대는 여수 사도지역에서 공룡발자국을 포함하는 백악기층의 퇴적시기(71-66 Ma)와 서로 대비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4,000원
        18.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항 분지 제3기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화석목재의 고식물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부 함탄층의 화석목재는 Ulmus sp., Prunus sp., and Acer sp.의 3속 3종으로, 상부 함탄층의 화석목재는 Taxodioxylon sp.와 Fagus hondoensis (Watari) Watari의 2속 2종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연구에 사용한 표본은 조직의 보존성이 좋지 않아서 종의 동정까지는 어렵지만, 이들은 모두 한국 마이오세 화석목재의 특징적인 구성 요소들이다. 하부 및 상부 함탄층에서 채집한 화석목재의 나이테를 분석하여 얻어진 평균민감도 값은 0.367과 0.370로 비슷하지만, 이들은 0.30보다는 약간 높다. 현재의 두 그룹의 자료만으로 판단하면, 뿌리에 대한 물의 공급은 계절적인 강수량의 변화에 의해 매년 어느 정도 제한을 받았거나 물 공급에 있어 다양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4,200원
        19.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연구 결과와 최근의 야외 지질 조사를 통하여 소청도의 지질 개요와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의 보존 상태를 간단히 소개한다. 분암 지역에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새로운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선착장 부근에서 평행 엽층과 습곡 구조가 발달한 지층의 노두를 발견하였는 바, 이는 소청도의 관문에 위치한 소청도의 중요 지질학적 상징 중의 하나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는 다양하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상원계의 묵천통과 멸악산통에 대비되는 후기 원생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뿐만 아니라 물결 자국, 건열, 빗방울 자국 등의 다양한 퇴적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 천연기념물로서 정밀한 학술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가적인 보존 관리 되어야 한다.
        4,000원
        20.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hid is relatively young group among insects, which radiated contemporaneously with the host plants in angiosperm. Based on recent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the tribe Aphidini has been strongly suggested as a primitive group sister to two other tribes, Macrosiphini and Pterocommatini, in the subfamily Aphidinae which is most diversified aphid group. These ideas have been proposed due to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groups and the relatively simple morphological characters. Our study is aimed to confirm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is primitive group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modern aphids. Firstly, we obtaine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for 59 ingroup species plus 10 outgroup species (6 macrosiphine species, 1 hormaphidine species, and 3 adelgids) based on the combined sequences (2,899 bp) of three mitochondrial genes (COI, COII, CytB) and one nuclear gene (EF1α). The optimal tree topology is obtained by the ML analysis in GARLI 0.95b with Kishino-Hasegawa and Shimodaira-Hasegawa tests in PAUP*4b10, and the posterior probabilities on each node were estimated by MrBayes 3.1.1 under the best fit model (GTR+I+G) tested by MrMODELTEST 3.0. Then, the node ages of the obtained tree were calibrated using the relaxed-clock model implemented in BEAST 1.4.8 and its package programs based on one node fixation of 150 MYA (million years ago) for Aphididae+Adelgidae, and two node constraints as 80-100 MYA for Aphididae crown and 50-70 MYA for Aphidinae crown according to the fossil related publications. As results, we found four major facts on their evolution: 1) Aphidini radiated from the early Eocene in the Tertiary, 2) however, most lineages rapidly radiated during the late Eocene, 3) common ancestor of the subtribe Aphidina maybe fed on herbs or shrubs in asterids, 4) host alternation trait was lately acquired on Rosaceae- or Rhamnaceae-feeding aphid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