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전국 일반계 고등학교 재학생 1, 2, 3학년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 여 학년별 작업치료 인식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학과 탐색의 시기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를 통해, 작업치료의 인식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율적인 홍보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국 17개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5일까지 알게 된 경로, 최소한의 교육과정, 국가고시 필수 여부, 대상자의 연령대, 업무 범위, 취업처와 같은 작업치료 인식도와 작업치료(학)과 지원 및 홍보 방법에 대한 질의와 응답으로 구성된 N사의 온라인 설문지 공유 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총 860부 중 부적절한 응답 153부를 제외한 707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처리 및 분석은 기술통계량을 이용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고등학생의 작업치료 인식의 수준은 48.9%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대상자의 연령대’를 학년별로 구 분하여 분석한 결과, ‘모르겠다’를 선택한 비율이 1학년 177명(32.2%), 2학년 157명(30.3%), 3학년 84명(23.6%)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년별로 분석한 다른 작업치료 인 식도 항목 또한 같은 결과를 보였다. 고등학생이 희망하는 학과 홍보 방법으로는 ‘Social Network Service(SNS)홍보 게시물’이 2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일반계 고등학생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작업치료 인식도가 높아졌다. 이는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위한 학과 탐색을 통해 높아지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충분한 탐색의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고등학생이 희망하 는 학과 홍보 방법인‘SNS 홍보 게시물’을 활용하면 작업치료 인식개선 등의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Two stage-corpora of the newspaper LianHe ZaoBao from 2005-2008 (6678,6564 characters) and from 2018-2020 (3308,2690 characters) were collected and were used for Chinese characters statistics by the Huayu Research Center at Jinan University. Chinese character Species used in the two stage-corpora are 7004 and 6166 respectively. Chinese characters beyond the General Standard Chinese Character List in the mainland are 952 and 621 respectively, and the proportions of off-list characters are 13.59% and 10.07%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non-universal standardized Chinese characters decreased by 3.52 percentage points, indicating that Chinese characters used in the rear stage of LianHe ZaoBao are more consistent with those in mainland China. The Statistics, recording and sort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used in LianHe ZaoBao will help us understand the current Chinese characters ecology in Singapore and understa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Chinese characters between China mainland and Singapore. Based on the survey, we can explore the feasibility, methods and scope of the Chinese characters differences between Singapore and the mainland, as well as the strategies of compiling global Chinese dictionaries and further thinking about cross-border Chinese characters coordination.
목적 : 본 연구는 40세 이상 한국 성인의 수면시간과 안구건조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에 참가한 성인 16,119명 중 성인 2,5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복합표본설계방법으로 평균, 표준 편차, t-검정을 분석하였다. 수면시간과 안구건조의 연관성은 카이제곱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이 안구건조에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학력, 가구소득, 직업, 근무시간대,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 등의 변수를 통제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전체 수면시간은 7시간이었다. 수면시간과 안구건조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건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 한 결과 안구건조는 7시간보다 5시간 이하에서 증가하였다(OR 1.93[95% CI: 1.38-2.71]). 안구건조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증가하였다. 저체중보다 비만에서 증가하였으며(OR 1.89[95% CI: 1.11-3.19]), 음주에서 주 4회 이상이면 안구건조가 증가하였다(OR 2.43[95% CI: 1.42-4.16]).
결론 : 안구건조와 수면시간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적절한 수면시간으로 안구건조를 예방해야 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는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작업치료 인지도 현실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의 인구 밀집지역에서 불특정 일반 대중을 무작위 선정하여 설문조사에 동의한 2,9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먼저 피설문자에게 작업치료에 대해 들어보았거나 알고 있다고 대답한 경우 다음 설문을 진행하고 모르겠다고 대답한 경우에는 설문자가 조사용지에 체크한 후 설문을 종료하였다. 설문내용은 작업치료에 대한 일반적인 인지도 4문항과 작업치료 필요성 4문항으로 구성하여 배포 및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13부를 제외한 최종 2,967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에 대해 들어보았거나 알고 있다는 응답은 252명(8.5%), 그렇지 않다는 2,715명(91.5%)이었다. 연령대와 직업에 따른 작업치료 인지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며 인지한다고 응답한 252명 중 20대(28.6%)와 학생(41.7%)의 인지도가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작업치료가 우리생활에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215명(85.3%)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향후 작업치료의 전망에 대해서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73±.75점으로 상당히 높은 평가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최근 작업치료분야가 예전에 비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는 인지도가 낮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작업치료 인지도 개선을 위한 방향설정과 인지도 제고를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을 희망한다.
본 연구는 반추동물용 섬유질배합사료(TMR) 제조업체 의 사료안전관리 인식 및 사료 중 위해인자 오염도를 조사 하기 위해 138개소 TMR 제조시설을 대상으로 약 10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표는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얻어진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및 신뢰도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TMR 제조시설의 평균 일 일 생산능력은 81.38톤 이었다. 평균 개업연도는 2004년 및 종사인원은 13.7명이었고, 유통경로는 직접거래가 80.4%로 가장 많았다. 사료안전관리 시스템 도입은 사료안전관리의 제도적 여건이 조성된 후 도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사료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사료안 전정보 제공 및 공유가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사료안전성 및 위해물질 관리에 가장 취약한 분야는 곰팡 이 독소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사료 제조과정에서 가장 위험한 위해인자는 쇠, 파편, 흙 등과 같은 이물질로 나타 났다. 사료 중 위험인자 오염도 조사에서 카드뮴, 비소 및 셀레늄은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제품이 일부 조사되었고, 오크라톡신류 및 아플라톡신류는 허용범위내로 조사되었 다. 잔류농약, BSE, 푸모니신 및 살모넬라는 검출되지 않았 으며, 멜라민 및 비단백태질소화합물은 각각 11.35ppm 및 5%로 최댓값을 나타냈다. 규모별 TMR 제조시설의 사료 내 위해인자 오염도는 규모별로 차이가 많았으며, 같은 규 모 내에서도 제조시설에 따라 위해인자의 검출량이 다르 게 나타났다. 또한 소규모에 비해 중규모 및 대규모에서 위해인자 검출량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조사결과 TMR 제조시설의 사료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 기 위해서는 사료안전에 대한 정보제공 및 공유가 정책적 으로 제도화되어야 하고, 사료 내 발생하는 곰팡이 독소방 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사료관리법의 강화와 원료 공급 처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 도입을 의무화할 필 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本稿는 安養市의 一般系 D高等學校 2학년 3개학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漢詩授業의 認識 및 그 敎育的 含意를 분석했다.
학습자들의 본문풀이 결과, 학습지에서 신습한자를 漢字辭典처럼 구성하면 학습자들의 독해력과 창의력 신장에 도움이 되었고, 교사의 설명과 시범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六色思考帽 技法을 적용한 한시의 감상활동 결과, 작품의 분석과 표현기교에 대한 감상의 수준이 높아서, 한시감상에 六色思考帽 技法이 적절했다. 諺文風月은 漢詩의 形式美와 作家의 力量을 체험 할 수 있는 심화활동이었다.
학습자들의 漢詩授業 認識을 I-STATistic을 활용하여 統計分析했는데, 性別이나 授業前 成就 度는 한시수업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변수가 아니었다. 두 번째로 授業前 漢文敎科와 漢詩授業에 대한 關心度는 漢詩授業의 滿足度와 상관도는 낮고 인과관계는 없었지만, 수업후 한시수업에 대한 관심도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기 때문에, 한시수업은 수업전 인식과 수업후 인식의 변화가 뚜렷했다. 세 번째로 협동학습법이 학습자들의 선호모형으로 판단되지만, 適用授業模型에 따른 漢 詩授業 滿足度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수업후에는 感受性 涵養에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 다. 따라서 교육과정상 한시단원은 반드시 수업에 적용해야 될 當爲性이 높았다.
With the changing status of vocabulary, the notion of vocabulary has been broadened from single words to multi-word expressions or units. Many lexicologists focus on vocabulary rather than grammar, and maintain that these lexical units or collocations are the most powerful force i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language. Little action research, however, has been performed to identify the best practices and to aid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in a real classroom. Collocational approaches to vocabulary acquisition view the basic premise of language learning as noticing and acquiring multi-word units like individual words. Focusing on this concept, this research presents practical collocation teaching methods, beginning with a brief definition,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the most commonly occurring collocations. It suggests eight collocation- teaching methods, to be directly used in classroom activities. Finally, implementation of the suggestions presented here will produce more meaningful and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so that the EFL learners acquire knowledge of the English language more communica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