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ethical climate and workplace bullying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working in medium to large sized general hospital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87 full-time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nline communities of nurses using Google Foam from April 22 to April 24, 2024. The average values were 3.64±0.64 (out of 5 points) for ethical climate, 2.43±0.75 (out of 4 points) for workplace bullying, and 3.33±0.95 (out of 5 points) for nurses’ turnover intention. While ethical climate had a no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urses' turnover intention, workplace bullying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urses' turnover intention. Nurses’ turnover intention was influenced by verbal attack, inappropriate task, working department, and educational level. These four variables can explain 53.0%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To prevent the turnover of nurses working at medium to large sized general hospitals, nursing manag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nurses with low educational level and working at comprehensive wards and special wards. In addition, nursing managers should provide communication training to nurses and assign nursing tasks and working departments according to the nurses' abilities and wishes.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정도를 살펴보고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그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에 소재한 200~400병상 종합병원 간호사 1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본 연구자가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및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β=-.321,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β=.389, p<.001), 3단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의 설명력은 45.5%이었다. 이때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는 3단계 β 값이 .203(p<.001)으로 2단계의 β 값 .389(p<.001)보다 작아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매개효과가 있었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크기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값은 -3.694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p<.002).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조직몰입을 높여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function of the general hospital building is to provide medical facilities and service. However, damage to the non-structural elements such as architectural, medical, mechanical and other components will interrupt those functions after the earthquake. E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damage to the non-structural elements is a serious event because i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lives of patien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the certain non-structural elements of general hospital building has the seismic performance to provide hospital medical services after the earthquake. The evaluation is conducted by selecting the non-structural elements used in general hospital which are sensitive to acceleration, such as cooling towers, air handler, MRI and CT. As a result, the non-structural elements located on the upper floor without suitable support method did not meet the performance objective. Therefore, adequate anchorage against the seismic event is required for such non-structural elements that are acceleration-sensitives.
Nowadays, many people are deeply interested in health and well-bei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wed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medical service of seventy eight general hospitals in 2005. The number of its medical service variables was eighteen
The quality of hospital services remains a concern of both the manager and the patient. The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outpatient satisfaction at private general hospitals in Ho Chi Minh City, establishing a scale for measuring them. Some 450 outpatients who were treated in five top private hospitals in Ho Chi Minh city (HCMC) in 2019 – An Sinh General Hospital, Hoan My General Hospital, Columbia Asia International Hospital, FV Hospital, and Vu Anh International General Hospital – were interviewed directly in the last quarter of 2019 to obtain the information. The SERVPERF model, plus the cost, together with the SPSS software, have been used to process information by Cronbach’s alph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five factors influencing outpatient satisfaction at private general hospitals in HCMC, in which four factors affects positively in the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treatment outcome, doctors and nurses’ professional capacity,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the hospital, hospital care, and the treatment time factor affects nega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private hospital in HCMC managers with a number of suggestions to increase the level of hospital service quality, so that increase outpatients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way-finding system on the facility
management in the general hospitals. For this purpose, visiting survey and questionnaire study are carried out for four general hospitals. Based on the results, way-finding system such as sign board is a essential element for patient satisfaction as well as facility management.
본 연구는 근 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는 60대 이상 노인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2012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 지방 소재의 노인요양병원을 내원한 환자 2,500명의 척추 및 상지, 하지, 관절부의 일반 촬영건수 5,042건을 분석하였다. 노인연령은 보로디 연령구분법을 따라 3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병원에 내원한 노인 환자의 대부분이 척추질환과 하지관절질환에 특히 많이 노출되어 있었고. 어깨, 무릎, 요추 촬영 검사 건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연령대별로 1분기 건수가 가장 많았고 2, 3분기에 약간 감소세를 유지하다가 4분기에는 1분기에 비해 감소된 촬영 건수를 나타냈다. 앞으로 더 많은 노인을 대상으로 내원목적과 질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예방대책을 강구하는 노력이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요양병원의 질환예방교육과 더불어 노인행동계획을 세우고 농촌지역의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재분배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상북도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 영상의학과의 MDCT 검사 중 두부, 복부, 흉부 각 10건씩 30건을 대상으로 CTDIl, DLP, Slice 수, DLP/Slice 수를 조사하여 병원 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MDCT의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CT검사의 가장 많은 검사건수를 차지하고 프로토콜이 비교적 단순한 두부 CT를 Helical Scan과 Normal Scan으로 2회 실시하여 영상의 화질, CTDI, DLP, 안구의 피폭선량, 갑상선의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두부CT에서 조사대상 병원의 3분의 2에서 CTDI 참조준위(IAEA 50mGy, 우리나라 60mGy)를 초과하지 않은 A병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 DLP에서 조사병원의 3분의 1은 참조준위 IAEA 1,050mGy.cm, 우리나라 1,000mGy.cm의 권고량 보다 높았고, 3분의 2가 우리나라의 권고량을 초과하고 있었다. 참조준위를 초과하지 않은 A병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Abdomen CT에서도 3분의 1은 CTDI 참조준위 IAEA 25mGy, 우리나라 20mGy보다 높은 119mGy를 보였고, DLP에서는 모든 조사대상 병원이 우리나라 권고량 700mGy.cm보다 높았다. 조사대상 병원 중 모든 검사에서 높은 선량을보인 C병원은 MPR, 3D 검사의 비중이 높아 낮은 pitch, 높은 관전류 검사로 인한 피폭선량이 높았다.Scan 방법에 따른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동일환자의 두부CT를 Normal scan과 Helical scan으로 각각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CTDI 및 DLP에서 Helical CT가 Normal scan에 비해 63.4%, 93.7% 높은 선량을 보였다(p<0.05,p<0.01). 그러나 갑상선의 피폭선량은 Normal scan이 87.26% 높았다(p<0.01). Helical CT의 선속은 종심부와 변연부의 모양이 종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두부CT에서 갑상선은 중심선속에서 벗어난 적은 선량으로 피폭된다. 또한 Helical scan시 Gantry각을 수직으로 사용하였고, Normal scan시에는 Orbitomeatal line에 평행으로 정렬된 Gantry각을 사용하여 Helical scan에서 갑상선은 피폭선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토콜은 식약청의표준준위에 비해 높은 피폭선량을 보여 식약청의 권고량을 지키기 위해서는 낮은 관전류 높은 Pitch의 사용이 요구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Normal scan과 Helical scan에 따른 화질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Normal scan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갑상선의 보호장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였다.이번 연구는 일지역의 CT검사 중 일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므로 CT검사의 전체를 평가하는데 무리가 있었다.그러나 경우에 따라 환자피폭선량의 가이드 권고량을 초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병원 간의 피폭선량 편차도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의학과 의사 및 방사선사는 CT 방사선량을 줄이는 최적화된 프로토콜로 CT검사를 시행해야 하고, 환자의 알권리를 위하여 피폭선량은 공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많은 의사들과 방사선사는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개선을 위하여 CT선량 저감화의 교육프로그램, CT검사에 따른 피폭선량의 공개, 병원의 서비스평가 및 병원인증제 평가항목에 CT검사 피폭선량관리 및 공개항목을 추가 등의 관련기관의 노력과의료종사자가 CT검사에서 행위의 최적화를 실현하는 최선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노력이 필요하였다.
A survey was conducted to 890 radiological technologists working at 44 general hospitals of 16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y to determine their stress level according to regions divided into the capital city, metropolitan area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For this purpose, such factors as their working environment, role playing, job conflict and job burden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gions. The finding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1. In terms of working environment,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the capital city were found to have the least stress(23.46), followed by those in metropolitan areas(24.53)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24.8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gions as for the item 'worry about influence of radioactive contamination(genetic, decisive and plausible)(P<0.001).
2. As for role playing,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small-and medium-sized cities appeared to receive the highest stress(18.25) followed by metropolitan areas(17.71) and the capital city(16.69).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1) according to the regions
3. Regarding job conflict, those who work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urned out to get the highest stress(15.66) compared to those in metropolitan areas(15.35) and the capital city(14.44). In terms of job autonomy,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from the survey in spite of the difference between metropolitan areas(14.87), small- and medium-sized cities(14.79) and the capital city(14.66).
4. Little difference was detected according to the regions as far as the job burden(excessive or too little) was concerned. But their was a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in terms of patient-related factors with the capital city(11.50), small- and medium-sized cities(10.75), and metropolitan areas(10.63)(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