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를 정원식물로 가꾸고 있는 세계 각국의 식재 현황과 노지재배가 가능한 식재한계지대를 구명하기 위하여 현지답사와 전문가 탐문, Georeferencer service, 각국의 주요식물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각종 문헌과 현지 사진분석 등을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서 자라고 있는 무궁화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해발 710m 지점이었고 지금까지 확인된 가장 고위도 지역의 무궁화는 북한의 평양에 식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무궁화의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는 아시아대륙의 식재 한계선은 Shandongsheng(山東省)의 Qindao(靑島), Jinan(濟南), Hebeisheng(河北省)에 있는 Beijing (北京), Shanshusheng(山西省)의 Xian(西安), Hanzhong (漢中), Sichuansheng(泗川省)의 Shengtu(成都), Yunnamsheng (雲南 省)의 Lijiang(麗江), Baoshan(保山), Jinghong(景洪)을 잇는 선의 동쪽이었고 Quangdongsheng(廣東省)의 Taishan(臺山), Hongkong (香港), Zhejiiangsheng(浙江省)의 Ningbo(宁波)를 잇는 선이었다. 대륙의 동해안쪽은 Taiwan(臺灣) 남쪽 끝의 Kaoshung(高雄), 북쪽의 Taipei(臺北), 일본의 Shendai(仙臺)와 북해도를 잇는 선이었다. 3. Europe 대륙에서 가장 북쪽 끝 부분에서 자라는 무궁화는 Sweden의 Stockholm에 식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정확한 위치는 북위 58.4도, 동경 18.0도 지점이었고 서유럽의 경우에는 Portugal의 Lisboa와 Spain의 Valencia, 서남유럽에서는 Greece의 Agion Oros(40.5N, 24.3E)이었다. 4. 중동지역에서는 Syria의 Palmyra (35.0N, 38.5E)와 Israel의 Jerusalem(31.4N, 35.1E), 지중해 연안에는 Slovenia에서 Albania까지 식재되어 있으며 서남아시아 지역에서는 Azerbaijan과 Geogia 그리고 Armenia 등 Cocasus지 방에서 재배되고 있었다. 5. 북아메리카 지역에서는 Canada의 Vancouver에서 Colorado주의 Denver, Kansas주의 Kansas city, Illinois주의 Chicago, Michigan주의 Detroit, New York 주의 Swego와 Burlington, Messachusetts주의 Boston을 잇는 선의 남쪽이었는데 Canada의 Toronto에서도 생육이 잘 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중남미에는 Mexico, Cuba, Haiti, Pueto Rico,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Argentina의 Olavarria(36.9S, 60.3W)에 심겨진 것이 가장 남쪽지역에서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6. Australia에서는 Melbourne으로부터 Gold Coast까지, 그리고 New Zealand에서는 Auckland와 Wellington에 심겨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Africa 대륙에서는 South Africa의 Johannesburg(26.6S, 27.4E)에 심겨져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Africa지역은 앞으로 좀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ed the community structure of insects on thirty varieties of Hibiscus syriacus in Busan and Suwon, Korea. In addition, seasonal changes and damage rates of major insect pest species were investigated. Insect pests were visually observed from the area of H. syriacus plantations. As a result, 16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of 4 orders were observed, while 13 species were classified to insect pests. Among insect pests, hemipterans (6 species) and lepidopterans (4 species) were most diverse groups. During summer season, Rehimena surusalis (Lepidoptera: Crambidae) and Haritalodes derogate (Lepidoptera: Crambidae) were damaged to flower buds and leaves, respectively. In September, nymphs and adults of Plautia stali (Hemiptera: Pentatomidae) were found from flower buds and lea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ixing conditions for Hibiscus syriacus L. chocolate depending on different addition ratios of Hibiscus syriacus L. and examine functionality in order to use Hibiscus syriacus L., which has excellent functionality and symbolizes Korea. To accomplish this, Hibiscus syriacus L. chocolate was manufactured by adding 0%, 2.5, 5, 7.5, and 10% of Hibiscus syriacus L. powder from the ‘Samchulli’ (Hibiscus syriacus ‘Samchulli’, which has reddish pink flower with red eye spot: SKK 14-2-72) variety to a coverture of white chocolate after whic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the amount of Hibiscus syriacus L. powder added to the chocolate increased, the chocolate color became darker, the pH decreased, and the sugar content and hardnes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degree of preference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Hibiscus syriacus L. powder increased to 7.5%.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color and flavor was the highest in the 5% added group, but the overall preference was 7.5% added chocolat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dding Hibiscus syriacus L. powder to chocolate can increase chocolate functionality and preference an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Hibiscus syriacus L. chocolate development.
‘Haeoreum’, a new variety of Hibiscus syriacus was selected from the progenies of artificial breeding between ‘Bulkot’, as a mother plant, and ‘Wonhwa’, as a pollenizer, at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2006.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trials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variety were carried out from 2012 to 2013. Investigat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Haeoreum’ is a simple flower type and has bell shape in open type of corolla. The diameter of flower is about 12.8mm, and the white petals are slightly folded each other. The length of red eye zone is very long, about 26.0mm. Leaf type is in oval shape, and leaf thickness, glossy level and the shape of leaf base is medium, medium and rounded, respectively. Its blooming period each year lasted more than 80 days, and the quantity of bloom is large in normal condition. In addition, it showed faster growth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imilar varieties, about 90cm per growing season in tree height. According to all these characteristics, the new variety ‘Haeoreum’ could be useful for large container plants or street trees.
본 연구는 적단심계 홑꽃인 불새와 평성 품종간의 정역교잡을 통하여 육성된 교배묘를 대상으로 잎의 형태적 특성과 유전적 변이를 고찰하여 좀 더 아름답고 다양한 무궁화 품종의 육성과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신품종 무궁화의 육성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불새 × 평성 교배조합의 평균엽장과 엽폭은 각각 6.09cm와 3.36cm였으며 평균 엽병장은 1.08cm, 평균 어깨폭과 결각 깊이는 각각 1.50cm와 0.84cm로 나타났고, 평균 엽저각도는 98.56˚였다. 조사된 7가지 엽 특성을 기초로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거리수준 5.4를 기준으로 크게 2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평성×불새 교배조합의 조사된 7가지 엽 특성을 기초로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거리수준 4.2를 기준으로 크게 2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으며, Group I 은 2개의 소 Group을 포함하고, Group II는 4개의 소 Group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the development and breeding of new cultivars of Hibiscus syriacus L., which have more beautiful and diverse flower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s and leaves, and genetic variation of the flowers color of two Jeoktanshim-line cultivars, Bulsae and Pyungsung, were crossed each other. The result of the cross between Bulsae and Pyungsung are as follows: Mean flower height and width were 5.35 cm and 7.69 cm, respectively. Mean length and width of petal were 5.43 cm and 3.80 cm respectively, and mean length and width of flower pistil were 4.67 cm and 0.44 cm, respectively. The flower color of all ten individuals was the color of the Jeoktanshim-line, and Pyungsung, and all flower type were I-c type.
무궁화 품종 6계통, 총 68종류를 선발하여 flavonoid 성분을 비교하였다. 2차원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전개 후 13개의 flavonoid가 관찰되었고 spot 5번의 flavonoid 함량이 전체의 50%를 차지하였으며 나머지는 미량으로 관찰되었다. 6개의 group별 spot출현 양상은 각각 차이를 보였으나 group 내에서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13개의 spot 중 1, 4, 6은 flavonol의 특성을 나타냈으며 나머지 10개의 spot들이 flavone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flavone함량 및 분포는 백색계통이나 자주 및 청색 계통에는 많은 양이 존재 하였고 pink와 적색 group에서는 매우 적은 양이 분포하였다. Purple spot들의 flavonoid aglycone은 4’, 5-OH의 aglycone 특성을 보였으며 이들 중 spot 5는 saponarin, 7은 vitexin, 9는 xylovitexin, 11은 rhamnosylvitexin으로 동정되었으며 13은 apigenin-7-O-diglycoside로 추정되었다. Saponarin은 백색무궁화에서 전체 flavone량의 50% 이상을 점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