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저성장-인구감소 시대를 맞아 발생한 구릉지의 유휴공간을 생태적으로 복원하여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공간으로 창출하기 위한 계획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군산시 해신동 일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계획을 위해 ‘안전한 기반’, ‘생물서식 기반’, ‘지속가능한 유지관리 기반’을 조성하는 전략을 구상하였다. 먼저, 불안정해진 경사지의 지반을 복원하여 안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복원 목표종이 서식할 수 있는 생물서식 기반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LID 계획, 기존 자원을 재활용한 시설물 계획, 그리고 커뮤니티를 활용한 거버넌스 창출 등을 계획하였다.
본 계획은 방치된 구릉지의 유휴공간을 어떻게 생태적으로 복원하는지, 어떻게 야생 동식물에게 새로운 서식환경을 제공하고 인간이 함께 공생하고 지켜나갈 수 있는지, 계단식 지형이 갖는 불리한 특성을 어떻게 문화적인 이점으로 활용하여 복원하는지 등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고립된 3차원 산악지형에서 지형적 영향에 의한 풍속 증가 현상이 전산유체역학 (CFD) 해석을 통하여 검토 된다. CFD 해석에서, 4개의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산악지형 모델이 고려되고, 3차원 산악지형에 대한 지형계수가 풍 방향과 풍직각 방향에 대하여 산정된다. 또한 풍속 증가에 대한 CFD 해석 결과는 경계층 풍동에서의 실험 결과와 국내외 주요 설계기준과 비교된다. CFD 해석 결과, 매우 큰 풍속 증가가 산 정상부에서 발생하였는데, 산 정상부에서 풍속은 48%에서 56% 정도 증가하였다. 풍방향으로 산허리 및 산기슭의 여러 지점에서 풍속이 약간 증가하거나 감소한 반면, 풍직각 방향의 동일한 높이에서는 풍속이 증가하였다. 풍직각방향의 경우, 산 높이의 1/2 지점에 있는 산허리에서의 풍속 증가는 31%에서 50% 정도였고, 산기슭에서의 풍속 증가는 19%에서 27% 정도였다. 본 연구 결과, CFD 해석에서 얻어진 지형계수와 풍동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대략 3%에서 8% 범위에서 차이를 나타냈고, 풍직각 방향으로 산기슭 근처에서의 풍속 증가에 미치는 지형의 영향은 무시할만하지 않았다.
경사지 또는 산지와 같은 복잡한 지형은 기류를 복잡하게 만든다. 이런 복잡한 지형조건은 복잡한 지형에서의 풍속뿐만 아니라 바람의 난류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는 원뿔 산지에서 바람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난류 강도를 고려하였다. 풍동실험을 위해 tanθ가 0.1~0.5까지의 각기 다른 경사를 가진 이상화된 3차원 산악지형을 제작하였다. 풍동실험결과, 경사도가 증가함에 따라 풍상측의 하단부에서의 난류강도는 약간 증가한 반면에 풍하측의 하단부에서 난류강도가 크게 평가되었다. 또한 난류강도는 원뿔형 산지모형의 경사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평가됨을알수있다.
본 논문에서는 풍동실험을 수행하여 3차원 산악지형에서의 풍속할증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3차원 산악지형의 풍속할증현상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풍속할증현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축구조설계기준에서 분류하고 있는 기울기에 준하여 다음의 , 그리고의 각각 다른 경사를 가진 5가지 산악지형모형을 제작하였다. 풍동 실험결과, 다양한 위치에서 풍속할증계수가 평가되었다 풍동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풍속할증영역을 산정해 보면 수평방향의 영역은 산의 전체 지역, 수직방향의 영역은 산의 높이의 3.5배로 산정되었다. 풍속할증현상은 산의 정상부에서 크게 발생하였고, 경사 I은 57%, 경사 II는 75%, 경사 III은 79%, 경사 IV는 81%, 경사V는 61%의 풍속이 증가하였다. 또한 산의 정상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풍방향의 위치보다 풍직각방향의 위치에서의 풍속이 더 크게 평가되었고 풍직각방향의 경사시작면에서 의 풍속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풍동실험을 수행하여 3차원 산악지형에서의 풍속할증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풍동실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건축구조설계기준에서 분류하고 있는 기울기에 준하여 다음의 5.71o, 11.31o, 16.70o, 21.80o, 26.57o 의 각각 다른 경사를 가진 5가지 산악지형모형을 제작하였다. 풍동실험결과 다양한 위치에서의 풍속할증계수를 산정할 수 있었다. 풍동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풍속할증영역을 산정해 보면 수평거리의 영역은 산의 전지역, 수직거리의 영역은 산의 높이의 3.5배로 산정하였다. KBC(2005)의 풍속할증계수와 실험으로 얻은 풍속할증계수의 최대값을 비교한 결과 5.71o의 경사에서 실험값이 30%정도 크게 평가되었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산정한 풍속할증영역은 수평거리의 경우 5.71o~16.70o의 경사에서 KBC(2005)의 풍속할증적용범위를 넘어섰고, 수직거리의 경우 5.71o를 제외 한 나머지 경사에서 KBC(2005)의 풍속할증적용범위를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aize (Zeae mays L.) is a second important crop in the country and it is first staple food in high land region. The national average yield is 2.2 t/ha. About 80% maize areas falls in this region. An introduced fungus Gray Leaf Spot (GLS) caused by Cercospora zeae-maydis has caused yield loss an average of 75%. Genetic resistance has been effective control strategy to manage this disease. The main objectives of this work were to develop, evaluate and identify high yielding cultivars tolerant to GLS. Three sets of trials were conducted in Nepal and Korea. GLS evaluation trial-I consisted of 73 genotypes, GLS evaluation trial-II composed of 38 genotypes and mid altitude hybrid evaluation trial-III consisted of 12 genotypes. Exotic, semi exotic and local germplasm of different origins were used. Among these tested genotypes, tolerant genotypes were Thai 717S31-21-3×[TZMi407 × TZMi211-11- 2-1-1-B-B-B-B-B (5.2t/ha), Pioneer12 × MASynVAR-5 F2 (5.0 t/ha) and MA SynVAR-5 F2 × Thai 919 S3 4-5-4 (4.7t/ha) with GLS mean score 2.7, 1.5 and 1 respectively in trial-I. In trial-II, superior genotypes were KYM33 × TZi3 (7.6t/ha), KYM33 × TZi18 (7.5 t/ha) and KYM33 × P45 (7.4 t/ha) with GLS scores 1.4, 2.4 and 2.5 respectively. Similarly in trial-III, high yielding genotypes were MASynVAR-5 (11.0t/ha), and TZMi407×87036- 9-1-1-1-B-B-B/TZMi102×90113-5-3-2-2-B-B-B-B (9.8t/ha). These hybrids and their parents will use to introgress resistant genes to breed better tolerant maize cultivars for Nepal.
Nammyung(南冥) Cho Sik(曺植 : 1501∼1572), one of the most practical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dynasty, was known to the general pubilc as a poet who loved Chirisan(智異山). Appreciating hi1ls and waters around beautiful Chirisan, he never regarded Chirisan as a simple target of elegant pursuit. While wandering around hills and waters, he did not wirte poems full of only taste and elegance. On the contrary. his pursuit on the reflection of life, the origin of life and contentment with poverty and delight in the Way was well expressed in his poems. The meanings of hills and waters that he described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he and natural scenery became as one body and show an enterprising spirit. Nammyung loved Doorusan(頭流山) and the grandeur of waterway in it and he expresses a valiant spirt using the magnificence of Chirisan. Second, Nammyung did not see hills and waters as only the target of appreciation but he saw the meaning of hills and waters as mirrors that reflect his feelings and society. Not only the beauty of hills and waters he searched his soul through them and turned natural scenery into 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that take people in adversity into account. Third. Nammyung shows his uneasy situation as a wander between conflict of his present situation and longing for hills and waters. Though he was always attracted by hills and waters, he never took himself away from the reality. Here comes discrepancy and conflict. Due to his emphasis on safety and honor, he aspired after nature and harbored himself. He, however, cared about how people lived and tried to take care of them according to Confucian teachings. Fourth, he was expressed as a poet who peacefully wandered aroud and devoted himself into the world of purity and no concern. Though Nammyung lived in poverty. what he pursued was to seek after truth without any public criticism. Hills and waters became pure and ideal space to realize such a life. The hills and waters of Chirisan which laid open to Nammyung was the space where he wanted to live and he materialized his desire in his po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