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Motor imagery is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an action without overt movement or muscle activation. However, few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motor imagery training effects as an objective assessment tool in patients with early stroke.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on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SEP) and upper limb function of stroke patients. Design: A quasi-experimental study.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strok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receive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for 30 minutes, 5 times a week.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n additional task of motor imagery training (MIT) 20 minutes per day, 5 days a week, for 4 weeks. Both groups were assessed using the SSEP amplitude, Fugl-Meyer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MA UE) and Wolf motor function test.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SEP amplitude and FMA UE than di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IT effectively improve the SSEP and upper limb function of stroke patients.
Background: Although studies on physical motor learning through motor imagery training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tudies on its effectiveness are still considered insufficient.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and balance training on static balance of asymptomatic adults in their 20s.
Design: A quasi-experimental study.
Methods: Thirty-six adults in their 20s who passed the tandem stance test were randomized to the motor imagery training group (MIG, n=12), motor imagery with balance training group (MIBG, n=12), and balance training group (BG, n=12). Each group underwent their respective interventions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nd changes in static balance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race lengt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IBG than in the MIG and BG (P<.05),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race length in the MIBG was observed after the intervention as compared to the baseline (P<.05). Furthermore, a significantly lower velocity was observed in the MIBG than in the MIG and BG (P<.05), and a significant reduction of velocity in the MIBG was more observed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baseline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or imagery training enhance static balance in healthy college students.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마비측 상지 기 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K의료원에 외래 치료 중인 4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대 조 실험을 하였다. 두 집단은 전통적 재활치료와 함께 실험군은 상상 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를, 대조군은 일반적인 전기자극치료를 회당 30분간, 주 5회, 6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Fugl-Meyer Assessment (FMA)와 Manual Function Test (MFT)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6주간의 중재 후 실험군의 FMA, MFT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1). 2) 실험군의 MBI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개인위생과 옷 입기 항목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반면 대조군의 경우 약간의 점수 향상은 있었지만 모든 평가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기능적 전기자극치료에 비해 뇌 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손의 움직임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how imagery training program influence students' motor
skills in high jump and how various teaching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to improve students' motor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ninety studen
We evaluated whether group locomotor imagery training-combined knowledge of performance (KP) lead to improvements in gait function in community dwelling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Ten adults who had suffered a hemiparetic stroke at least 6 months earlier participated in group locomotor imagery training-combined KP for 5 weeks, twice per week, with 2 h intensive training. Dynamic gait index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group locomotor imagery training-combined KP. However, times for the timed up-and-go test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after the training. Group locomotor imagery training-combined KP may be a useful option for the relearning of gait performance for community dwelling individual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s of subliminal music with balance imagery training on balance and concentr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5 seniors in an undergraduate school in Korea. The subliminal music with balance imagery training intervention was carried out for 20 minutes. Other interventions were also carried out for 20 minutes. 12 seniors(Group A) listened to subliminal music with balance imagery training, 12 seniors(Group B) listened to subliminal music, 11 seniors(Group C) received balance imagery training, and 10 seniors(Group D) had no intervention(Control group). The grid test is related to measured levels of concentration intensity. Romberg one legged standing test was carried out for 30 secon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one-paired t test and one way ANOVA using the SPSS Windows 12 ver. program.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ncentration levels of Group A and C improved, and balance levels of Group C and D improv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concentration between Group A and B, Group A and C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istening to subliminal music with balance imagery training may be useful in managing concentration in seniors. So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further concentration on improving education on music with balance imagery training.
목적 : 운동학습은 신체적인 연습과 경험의 결과로 동작에 대한 기술 습득의 과정으로 표현된다. 최근 정신적 훈련을 통해 운동 기술의 습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열반응과제를 통하여 실제 훈련과 정신 훈련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50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정신 훈련군, 실제 훈련군, 대조군으로 무선적 배치하였다. 측정된 시열반응과제는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는 네 가지의 색깔에 대응하는 반응패드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최대한 빨리 정확히 누르도록 하고, 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정신 훈련군과 실제 훈련군은 정신 및 실제 훈련을 하루 30분, 2주 동안 훈련하였고, 훈련 시간은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결과 : 이요인 반복 측정 공분산 분석의 집단 간의 주 효과 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집단×훈련 전·후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5). 또한 사후 검정에서 정신 훈련군과 대조군, 실제 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훈련 후 대조군에서의 시간의 감소보다 정신 훈련군과 실제 훈련군에서의 과제 수행 시 시간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정신 훈련군에서 실제 훈련군과 같이 운동 학습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정신 훈련은 효과적인 운동학습을 위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운동제어와 인지학습을 시켜야 하는 재활 영역에서 뇌손상 환자에게 학습을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정신 훈련을 채택할 수 있으며, 마비측의 실제 훈련을 수행하기에 어려운 상황에서는 정신 훈련이 더 효과적일 수 있고, 실제 훈련과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상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심상훈련에 따른 농구 자유투 자기 효능감의 변화와 수행력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천시 S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140명을 무작위로 뽑은 8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각 피험자들은 다시 제비뽑기를 통해 심상훈련집단에 20명, 신체훈련집단에 20명, 신체·심상병행집단에 20명, 그리고 통제집단에 20명으로 각각 무선 할당하였다. 먼저 각 집단은 농구 자유투 자기 효능감 질문지에 답하고, 농구자유투 수행력을 검사한 후 8주간의 실험처치를 하였다. 심상훈련집단은 신체적 긴장이완, 선명도 조절력 연습, 농구 자유투 시각화 훈련을 30분씩 주 3회 실시하였고, 신체훈련집단은 실제 농구 자유투 훈련을 30분씩 주 3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신체·심상 병행훈련집단은 심상훈련 15분, 실제 농구 자유투훈련 15분을 주 3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심상훈련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는 위인전을 읽도록 하였다. 사후검사(post-test)는 사전검사(pre-test)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집단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차가 발생시 Tukey의 사후검사(Post-hoc Test)를 실시한 결과, 심상훈련과 신체훈련을 병행한 집단은 농구 자유투 자기 효능감과 수행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