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elect appropriate inorganic materials, and find the best mixing formula to secure fast curing time and enough initial strength, and then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the asphalt mixtur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ddition of the compound manufactured by the determined blending ratio. METHODS : The breaking time and reactivity between seven kinds of inorganic minerals, and the selected recycled aggregate and emulsified asphalt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best initial curing strength for the mixtures. Then, three inorganic materials were chosen as the materials that provide good breaking time and reactivity, and the best mixing formula for the three materials was determin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mpound manufactured using the mixing formula was analyzed by energy dispersive x-ray system method. Finally, indirect tensile strength (ITS) test was performed (for two days) at room temperature to determine the proper amount of additives that will provide the best initial strength.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e reactivity test, the best mixing formula (A:C:G = 60:30:10) for the three selected inorganic materials with short braking time and high reactivity was determined. The four types of cold reclaimed asphalt mixtures for ITS testing were manufactured by adding the inorganic material compounds at 0%, 3%, 5%, and 7%, and the ITS values were measured after two curing days. The ITS values at 5% and 7% were 0.308 MPa and 0.415 MPa, respectively. The results of quality control tests (Marshall stability, porosity, flow value, etc.) at 5% and 7% satisfied the specification criterion for the cold recycled asphalt mixtures. CONCLUSIONS : The selected inorganic materials (A, C, and G) and the best mixing formula (A:C:G = 60:30:10) accelerated the reaction with emulsified asphalt and shortened the curing time. Depending on the inorganic material used, the breaking time and reactivity can be directly related or unrelated. This is because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recycled aggregates, infiltrated foreign matter, and chemical reactions between the inorganic materials and other materi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proper materials and the best mixing formula when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ly used materials such as recycled aggregates, inorganic materials, and emulsified asphalt.
        4,000원
        3.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라포나이트계 무기물 소재를 이온교환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케이트 층내에 술폰산기를 도입시켰으며 이를 이용하여 복합막을 제조한 후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층상구조를 가지는 라포나이트의 도입을 통하여 메탄올 투 과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술폰산기의 도입을 통하여 프로톤 전도도가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사용된 대표적인 무기물인 solid acid가 첨가된 복합막의 경우 고온에서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내며 친수성이 강해지는 장점을 나타내지만 물에 녹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phosphotungstic acid(PWA)의 이온전도성을 증가시키며 물에 용해되는 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리카 입자를 sol-gel법을 이용하여 술폰산기와 아민그룹을 도입시킨 입자를 제조한 후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SPAES)고분자에 첨가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으며 특성평가가 이루어졌다.
        5.
        2012.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inorganic-organic hybrid material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not only for their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but also for their flame retardant properties.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organic-inorganic hybrid insulating materials using inorganic fillers and polyurethane foam with different foaming conditions have been investigated. The addition of 1.5 wt% water to polyurethane as foaming agent shows the best foaming properties. The pore size was decreased in the foaming body with increasing of the CaCO3 addition. The apparent density and thermal conductivity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aCO3 addition.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CaCO3 powder, the flame retardant property is improved, but the properties of thermal conductivity and apparent density tend to decrease. When the addition of fine particles of CaCO3, the apparent density and thermal conductivity were increased and, also, with the addition of coarse particles over 45μm in size, the apparent density and thermal conductivity were increased as well. In this study, the adding of CaCO3 with average particle size of 27μm led to the lowest thermal conductivity and apparent density. After evaluation with different inorganic fillers, Mg(OH)2 showed the highest thermal conductivity; on the other hand, CaCO3 showed the lowest thermal conductivity.
        4,000원
        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리막 공정은 에너지 절약형 분리공정으로 전통적인 증류 분리공정과 비교하여 높은 선택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액상 혼합물 분리의 대체 공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제올라이트 막을 비롯한 무기분리막은 유기분리막의 단점을 보완하고 혹독한 조업조건에서도 운전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최근 기존의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단점을 보완하고 더욱 향상된 분리성능을 위한 새로운 무기분리막 재료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Kalsilite는 Si/Al 비율이 1로써 기존의 4A 제올라이트와 같이 친수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며 세공의 크기가 4A보다 더 작은 0.36 nm로 분리막으로 제조 시 가스분리, 물/유기물 혼합물에서 물의 선택적 분리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i : Al : K : H2O = 1 : 1 : 8 : 60의 원료 포성 비율을 사용하여 kalsilite 분말을 경제적으로 수열합성 할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였으며. 최적의 합성조건인 합성온도 300℃, 합성시간 6시간으로 kalsilite를 합성할 수 있었다. XRD 분석을 통하여 kalsilite임을 확인하였으며 입도 분석 결과 평균입도는 2.73 μm이었다. 증기흡착 결과 kalsilite는 유기물보다 물에 대한 흡착능력이 큰 친수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7.
        2007.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용 후 핵연료의 금속전환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용융염을 고형화하는 방법으로 실리카 함유 무기물을 이용하여 폐용융염을 열적, 수화학적 안정한 화합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리카 함유 무기물(SAP)은 일반적인 sol-gel process로 합성되었으며, 및 로 구성된다. 제조된 SAP을 에서 폐용융염과 반응시켜 각 금속염화물에 대한 반응특성 및 열안정성을 조사하고, PCT 침출시험법을 이용하여 수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LiCl은 와 로, CsCl는 CS-aluminosilicate와 로, 는 로, 는 로 전환되었다. 9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금속염화물의 전환율은 였으며, 까지 열감량은 1wt%이하로 TGA(Thermo Gravimetric Analysis)로 확인하였다. Cs 및 Sr의 침출속도는 로 매우 높은 내침출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AP으로 명명된 안정화제(stabilizer)는 금속염화물로 구성된 폐용융염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SAP을 이용한 폐용융염의 고화처리방법은 후속적인 안정성의 검증과정을 통하여 폐용융염의 최종처분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적인 고화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4,000원
        8.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복합체의 균열을 자기치유 할 수 있는 자기치유 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일환의 기초 연구로써 자기치유 캡슐 용 코어재료에 무기계 기반 코어재료를 적용하기 위하여 액상형태의 무기 소재를 기반으로한 코어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무기계 기반 코 어재료는 캡슐화를 진행하기 전에 무기계 기반 코어재료를 직접 시멘트 복합체에 적용하여 균열부의 균열수복 성능뿐만 아니라 시멘트 복합 체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평가결과, 무기계 기반 코어재료는 압축 및 부착강도 향상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부착, 내흡 수, 내투수 및 동결융해 저항 성능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하여 자기치유 캡슐용 무기계 기반 코어재료를 적용할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시멘트 복합체의 성능 및 차후 진보화된 자기치유 캡슐기술의 기반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sulation materials used for building save energy and can be classified into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Organic insulation emits toxic gases in a fire annd has lower water resistance. Inorganic insulation is heavy and has poorer thermal performance than that of organic material.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fire resistance of lightweight inorganic insulation foaming material made of waste glass powder.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norganic material performed well with low density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for an insulation material. Foam insulation material manufactured from glass powder was sufficient as a fire-resistant product.
        1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was examined water resistant performance of cementitious composites applying inorganic liquid type core material as part of 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inorganic liquid type self-healing capsule. Results of assessment, inorganic liquid type core material have shown that with a water resistance performance.
        1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use of natural raw material and an inorganic binder such as vermiculite, perlite board prepared by using the inorganic was to prepare a switchboard ca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mpression strength of a board made of the inorganic material to the pre-study evaluation therefor.
        1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석조문화재 보수물질로서의 적용을 위해 무기질 바인더를 시험하였다. 순수 무기질 바인더와 첨가제를 배합한 3종을 시편으로 제작하였고 거창화강석에 무기질 바인더 시편들을 부착시켜 무기질 바인더가 암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무기질 바인더와 반응시킬 pH 4.0과 pH 5.6 수용액을 국내 강우의 산성도와 함유이온을 토대로 제조하였다. pH 8.0 약알칼리수와 pH 6.85 탈이온수를 준비하여 산성수의 대조군으로 적용하였다. 물반응 후 무기질 바인더 시편의 무게 감소는 시편의 종류에 따라서는 컸지만 물의 산성도와 상관성은 적었다. 순수 무기질 시편의 압축강도가 가장 컸으나 물반응 후 감소율이 가장 크다. 큰 흡수율은(6.72-12.44kg/m2˙t1/2) 무기질 바인더로부터 용출된 이온 함량과 상관성이 크다. 모든 액성의 수용액이 무기질 바인더와 반응 후 pH 9.0-10.0로 변화하였으며, 수용액에서는 무기질 바인더에서 용해된 Mg2+와 K+이 다량 검출되었다. 용해된 이온들은 수용액 내 음이온들과 결합하여 높은 용해도를 지닌 MgSO4˙nH2O 및 KNO3와 같은 백색염을 형성하였다. 암석강화제와 발수제를 처리한 무기질 바인더 시편에서는 이온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14.
        201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유리계 그라우팅 공법은 침투주입 그라우팅으로 자주 적용되고 있으나, 시간경과에 따른 내구성 저하와 환경에 부정적 영향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이에 마이크로시멘트계 무기질 재료의 ENG 공법이 이러한 물유리계 그라우팅 공법의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우수한 침투성을 목표로 하여 개발되었다. ENG의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체적변형시험, 용탈실험, 일축압축실험, 실내 투수실험 및 현장투수실험 그리고 중금속검출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체적변형, 용탈량, 일축압축강도는 물유리 공법보다 월등히 우수하였으며, 투수실험에 있어서도 차수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중금속 검출량도 미미하여 환경에 부정적인 효과도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