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g, Yoojin. (2023). “Exploring Intertextuality i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Discours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31(4), 99-120. This study explores the intricacies of intertextuality within the conflict dynamics between a mother-in-law and a daughter-in-law. By adopting an intertextual perspective that draws upon the analytical frameworks presented by van Langenhove and Harre (1999) on positioning and Tannen’s (2006) insights regarding recycling, reframing, and rekeying, this study sheds light on a significant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se theoretical concepts, this study aims to unravel the ways in which a Korean mother-in-law engages in the recycling, reframing, and rekeying of arguments related to the expectations of being a good daughter-in-law.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distinct positioning of both the mother-in-law and the daughter-in-law in two conflict themes. The primary focus is on understanding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se conflict themes and analyzing whether the positions of the mother-in-law and the daughter-in-law in one conflict undergo changes when navigating the other conflict.
미학은 아름다운 것, 세련된 취향에 대한 인식이며 미적 판단의 기준이 되는 속성은 철학적 고찰의 기초이다. 사유와 이미지의 전경을 연구하는 예술적 감각적 인식을 통해 하나됨이 달성되는 더 높은 공감 경험을 경험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학은 불교의 명상적 침묵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침묵은 중재적일 뿐만 아니라 종종 이 현대 세계의 핵심까지 고통스럽게 만든다. 고통은 심리적 혼란 및 무력감과 관련이 있다. 현대 영문학은 그러한 사례로 가득 차 있다. 본 연구 논문은 미적 행복을 연구하고 동서양 문화의 통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상황적 침묵에 대한 비교 연구와 세상에 강요된 무력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은둔의 길”이 필요한 이유를 이해한다. 여기서는 텍스트 분석과 문맥적 의미를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W.B 예이츠, T.S. 엘리엇, 필립 라킨 등이 해석의 원천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일본의 고전 미인 작품인 가모노초메이의 호조키와 기타 미학적 분류는 침묵 속에서 미학을 이해하는 일차적 수단이다.
본 연구는 상호텍스트성 동화활동의 유아교육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학이론에서 현대적 개념으로 적용되고 있는 열 린 텍스트관점을 적용하는 것은 동화를 읽어간다는 의미보다 독자가 동 화의 주인공과 만나는 것이다. 또한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독자와 책의 만남을 친밀하게 지속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이러한 과정에 서 독자는 새로운 삶의 세계에 대한 의미를 발견하고 그 발견된 것에 대 해서 깊이 성찰하는 활동을 병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260여 개의 언어로 번역되고 전 세계 1억 부 이상 판매되며 현재까지도 많은 독자들의 사랑 을 받고 있는 생텍쥐페리의 대표작인 『어린 왕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상호텍스트성으로 분석한 결과, 『어린 왕자』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것, 둘째, 어 른과 어린이가 살아가는 세상이 다르다는 것, 셋째, 세상은 보이는 세상 과 보이지 않는 세상이 있다는 것, 넷째, 어린이를 어른의 세계관으로 대 하면 안 된다는 것, 다섯째, 어른과 어린이는 함께 성장하는 상호텍스트 성 관계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화활동의 유아교육적 의 미와 적용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임지선의 비올라 협주곡 《새로운 길-윤동주를 기억하며》에 대한 서사적 분석이다. 그러한 분석의 기반으로 필자는 해튼의 제스처론과 마이클 클라인의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서사 이론에 바탕을 두었음을 밝히는 바이다. 필자는 먼저 이 곡의 구조적 분석에 있어서 크게 세 파트로 나눈 후, 이를 다시 여섯 개의 섹션으로 나누었다. 각 파트마다 음악적 제스처들을 설정하고 임지선이 각 파트에서 차용한 곡들과 음악적 제스 처에 부합하다고 여겨지는 윤동주의 시들을 상호텍스트로 설정하여 음악적 제스처들과 연관된 내러 티브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필자가 구조화한 이 곡의 내러티브는 슬픔, 저항, 희망이다.
William Blake, regarded as one of the great Romantic poets, was a prolific painter, printer, and engraver as well. Yet, he did not receive due credit for his work during his time. For a long time, his graphic art and literature were treated in isolation from each other; literary critics focused only on his poems and art historians on his engravings or paintings. Recently, attempts to see his work, particularly his illuminated books, as a “composite art” or as a synthesis of word and image have increased. I will also consider his work as a kind of open text in a poststructuralists’ notion, which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them and encourages readings as textual performance. In this paper, I will first show how Blake differentiated himself from other painters, engravers, and publishers by devising his own way of creating and printing illuminated books. Next, focusing on his earlier work, Songs of Innocence and of Experience, I will briefly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his illustration and the content of his poems. Finally, I demonstrate how Songs makes for unique reading in which the reader is an ongoing participant in its textuality, crossing between words and words, and words and images. The adven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with it an increase in mass publication, and the distinction between fine art and designs or craftsmanship was yet to be clarified. Against such distinction, Blake created a unique method of "relief-etching", through which he combined text and engraved illustration on a single copper plate and hand-colored the prints. Each copy thus remains a unique work of art. His illuminated books envision interdisciplinary and multimedia text and question the modern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hierarchies between poem and painting, painting and engraving, art and literature. In the images of Songs, we see Blake’s profound interest in Gothic art as “divine” work. For example, he persisted in using firm outlines that were characteristic of Gothic art. Like other Romantic poets, Blake believed the imagination and God’s spirit to be manifest in outline rather than color. The letter was regarded to be appealing to the sensuality of the eyes. On the other hand, the poems in Songs reflect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and synthesis in which “innocence” might be wedded to “experience,” as its subtitle Shewing the Two Contrary States of the Human Souls implies. Songs is, however, not to be read by isolating the poems from the illustrations. In the introduction of Songs of Innocence, Blake proposed the intricate and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speech, writing, and painting. The title page also suggests that children are not merely passive learners imitating the nurse’s reading but active readers-seers who may better understand Blake’s illuminated books. Further, this paper, after the examination of a few poems, attempts to show that the images do not necessarily illustrate the poems and can rather create a link between different parts of the text. This rejects the traditional critical hierarchy of word over image. Blake’s work indeed opens up an infinite vortex, that is, the textuality, as Roland Barthes or other post-structuralists might call it, and invites us to participate as active readers.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ather esoteric search wondering if the two masters of letters across the recent West w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commonly lived in marginal countries, were schooled in English-speaking cultures and interested in the ultimate and overwhelming themes on 'maximalism' that mainly tends to put value on life and death, eternity and transcendence. This moment that the sublime mission of critics practices concreteness of obscurity recurs to us. Yeats tries to represent the motives stemming from myths and legends, while Borges pursues the representation of fantastic states missing in library, labyrinth and maze, which means their sympathetic embodiment of 'bricolage' on permanence. And through doubt of inertia realized in use of language and creation of works, Yeats practices 'automatic writing' and 'theory of mask' for the objectification of his works which results in construction of reality, while Borges does 'self-reflexivity' which shows us deconstruction of reality as broken mirror in favor of sarcastic criticism of writing. For the political positions of their biographies, the master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ir prominent careers and activities in which Yeats served the senate and resisted the British empire and Borges contributed to professor of a state-run university and stood against the Peron regime. Henceforth, some conjunctional and disjunctional points on intertextuality between the two masters can be inferred from their views on Buddhism and poems. In the respect that we, who can't be creators of texts but their agents, only drive violent 'assemblage' of code to camouflage Things, the suggestion that the immortal poem of Sowol's, "Azalea," imitated "He wishes for the cloths of heaven" and "The Lover Mourns for the Loss of Love" of Yeats's is reasonable and natural, and it can be deduced that Sowol didn't duplicate Yeats's poems but borrowed masochistic imagery from them, which reminds us of T. S. Eliot's declaration that only the first rank poet unnoticeably can steal other poets' works. On the other hand, Borges, through the parodized "Pierre Menard, Author of the Quixote," shows us the meanings of the text changeable with transitions of generations. Accordingly Sowol's poems tacitly responds to Yeats's poems, while Borges straightforwardly transcribes the original work in view of self-reflexivity. That Yeats's response to Shen-hsiu's and Hui-neng's Zen poems indicates that Zen can free people from the abstract mode of life fettering them is in contrast with Borges's reaction to Buddhism that 'a parable of arrow' and the high monk, Bodhidharma's insight de-constructing his pupil's faith of self-verification searching for his authentic mind only leads to meaningless groping of life. Although the masters's views seem different, virtually they are equal in the sense that life is nothing but some limited play in mood of 'tragic joy,' which is just like recognition of nothingness. Even if the entire works of Yeats's and Borges's can't be read, we can sense their themes converged under keynote of 'maximalism.' For pursuit of a Utopia, Yeats yearns for it, but Borges denies it. In recognition of reality and fantasy, Yeats tries to overcome reality through fantasy, while Borges thinks of reality as fantasy. Their positions on woman are extremely different in that Yeats exposes masochistic symptom, while Borges manifests 'carpe diem' mourning a beauty's fate finally encroached by the beast of time. For the ultimate theme of God, Yeats longs for unity with God, instead, Borges views God 'langue' as cultural and linguistic structure. Concerning cataclysm of civilization, the masters are of the same opinions in that Yeats asserts cyclic patterns of civilization to move from the one pole to the other pole and Borges songs a Nietzschean circulation. They show us considerably wide contrasts concerning recognition of eternity since Yeats yearns for immortal existence, while Borges views human beings ephemeral existences. In conclusion, intertextuality functioning an essential principle of life becomes the ground to deconstruct the boundary between authors and readers and shatters the absolute icons of authors and canons, since the moment we unfold texts before us, we often tend to indulge into illusion reading precisely them rather than 'misreading' them and recognizing reality caused by automaticity of linguistic structure. However, to avoid or lessen the contradiction or irony in the reading community, we can enjoy the horizon of split or inter-subjective meanings produced by diverse walks of readers with eradicating 'transcendental signified' of canon. After all, Intertextuality can be the background of De-construction, simultaneously serves the ideology of 'pragmatic theory' for texts not to be the origins or totalities of Things but to contribute to this and that aim of life.
엘리엇과 울프는 인간의 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한다. 바로 올랜 도의 올랜도와 황무지의 타이리시어스가 주인공이다. 올랜도는 남성 이었다가 여성의 몸으로 변신하지만 러시아 공주 사샤에 대한 사랑을 간직하고 남성의 마음을 지난 여성으로 양성적 존재가 된다. 울프는 친 구였던 비타 셱빌과 그녀의 가문을 모델로 하여 342년을 살아가는 올랜 도의 이야기를 판타지 형식으로 그렸다. 비타가 여성이어서 가문을 잇 지 못하고 상실하자 울프가 올랜도에서 올랜도의 아들이 대를 잇는 결말로 그녀에게 위로를 주었다고 한다. 가부장적인 사회의 고정된 성 역활에 대하여 해방된 올랜도는 자유로운 여성 작가로 살아가게 된다. 반면 황무지의 타이리시어스는 여성의 젖가슴을 달고 세상을 관찰하 는 예언자의 역할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가 느낄 수 있는 것은 여성들 의 고통스런 절규를 바라보기만 하는 역할이다. 하지만 엘리엇은 여성 성을 대표하는 화자를 통해 성폭행으로 얼룩진 세상의 공포를 보이고 남성들에 대한 철저한 제비/응징/복수를 외친다. 하지만 체스/전쟁판처럼 세상은 폭력과 복수가 반복되는 아수라장/황무지일 뿐이었다. 유사한 상 황에서 울프는 올랜도를 통해 양성의 이해, 결혼, 진정한 사랑으로 이분 화된 세상을 바로 잡고자 한다. 이처럼 젠더의 개념으로 분석해보면, 마 치 문제지와 답지처럼 올랜도와 황무지는 상호텍스성을 지닌 판타 지의 정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교육(학)연구의 이해지평 확대와 새로운 연구방법의 제안이다. 작게는 기존 내러티브 연구의 편협, 편중성을 극복하여 내러티브 분야의 학술담론과 연구방법의 확충을 도모하는 것이다. 적용한 연구방법은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텍스트해석학이고, 해석범위는 공자와 레빈슨(Levinson)의 저작들이다. 내러티브와 상호 텍스트성(intertextuality)의 연결을 통해 내러티브 연구의 확대 가능성과 필요성을 발견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핵심내용은 내러티브와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연구자의 체계적인 인식관심을 바탕으로 성인 생애발달 내러티브의 객관성을 논의한 공자와 레빈슨의 담론 에 대하여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성인발달 내러티브에 대한 ‘서사적 정체 성’의 상호 연관성 측면에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자의 생애발달 내러티브와 레빈슨의 그것은 시대적인 간극에도 불구하고, 대동(大同)과 공통체성, 개인과 국가 등과 같은 몇 가지 준거를 설정하여 살펴본다면 현대적 의의를 충분히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동양과 서양이라는 지리공간과 사상의 다양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근본적으로 자연과의 지속 가능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수립하고자 한다는 점은 공통점으로 발견된다. 셋째, 동양 유교의 집단주의 사회에서 ‘배려’의 도덕성(일종의 배려 윤리)을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형과 서구의 개인주의 사회에서 ‘정의’의 도덕성(일종의 덕 윤리)을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서양 모두 인간의 통합적 발달을 이상형으로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방법 확대 차원에서 이루어진 상호텍스트성과 내러티브의 만남에 대한 시론을 통하여 첫째, 인간교육은 전 생애 그리고 삶의 모든 공간에서 이루어고, 둘째, 방법론을 넘어서는 윤리적 성취를 목표로 하는 교육이 강조되고, 셋째, 교육의 본질이란 누구든 전 생애를 거쳐 부단한 자기수양을 통한 존재의 초월적 깊이에 점점 다가가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을 토대로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의 교수-학습이 필요하다는 주장의 타당성에 대해 비고츠키와 브루너의 이론에서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비고츠키와 브루너는 모두 교육장면에서 학습자의 능동성과 주체성, 이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한 표현과 생성 능력을 중시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사용의 효용성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비고츠키는 내면화와 관련하여 외면화의 교육적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브루너는 내러티브 사고를 바탕으로 한 내러티브의 생성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 교육은 수용중심 수업환경에서 생산중심으로, 듣기․ 읽기 교육에서 말하기․ 쓰기 교육으로의 변화와 연계가 필요하다.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재구성하여 생성해 낸 지식과 삶의 이야기는 말하기와 쓰기 등의 표현활동을 통하여 교육적으로는 물론 문 화사회적으로도 그 타당성을 얻을 수 있고,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평가 와 피드백이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향후 학교교육(schooling)은 이러한 관점을 적극 수용하여 모든 수업장면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 재구성과 생성 활동에 대한 교수학적 고려와 학급장면에서의 실제적인 운용이 필요할 것이다.
스마트폰의 발달로 게임 플랫폼이 확대되면서 <팩맨>, <스페이스인베이더>와 같은 고전게임이 스마트폰으로 이식되었다. 고전게임이 재조명되는 이런 현상은 게임뿐 아니라 영상미디어의 영역까지 확장되었는데, 이는 고전게임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게이머들에게 이슈가 되었지만 게이머의 경험과는 다른 시선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아 아쉬움을 남겼다. 본고는 영상미디어에서 게이머의 경험을 재현하지 못하는 이유가 게임과 영상미디어 사이의 상호텍스트성에 있다고 보고, 잘 된 상호텍스트의 사례로써 <Pixels>를 분석하였다. <Pixels>에 사용된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한 결과 단순 표상 나열이나 패러디 외에 게이머만이 알 수 있는 요소들을 인용, 요약, 짜깁기, 풍자적 희화하여 게이머들의 경험을 재현하였고, 비게이머들에게도 종래에는 보지 못했던 신선한 연출로 대중성을 고려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