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반 노동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가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무소진에 대한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과 또 다른 직무요구(조직정치지각)와 직무자원(상사 지원)의 3차항 상호작용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일반 노동자 17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은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소진에 대한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 조직정치지각 및 상사의 지원의 3차항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① 조직내 불공정한 정치적 환경이 높은 환경에서 직무요구(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가 낮고, 직무자원(상사의 지원)이 높은 집단에 속한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② 그러나 불공정한 정치적 환경에서는 상사의 지원이 적극적이더라도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이 높은 경우에는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③ 또한 불공정한 정치적 환경에서는 상사의 지원이 낮은 경우에는 업무 후 모바일 기기 사용과 관계없이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직무소진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④ 조직 내 정치적 환경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사의 지원과 관계없이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소진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5,700원
        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서직 여성노동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와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이 일-가정 갈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무요구와 결과변인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에 대한 조절효과를 종합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현직 비서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비서직 여성노동자 13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 여성노동자가 지각하는 높은 직무요구는 일-가정 갈등에 정(+)의 영향을 보였고, 생활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은 일-가정 갈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생활만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직무요구와 일-가정 갈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직무요구와 일-가정 갈등의 부정적 효과는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직무요구와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퇴근 후 모바일 업무활용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5,800원
        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safety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type trait in Korean Air Force. Based on the responses from 722 respons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eared as follow; 1) role overload effects positively and role ambiguity effects negatively on intrinsic safety motivation. 2) role conflict effects negatively on extrinsic safety motivation. 3) role ambiguity effects negatively on intrinsic safety motivation in B-type than in A-type trait.
        4,000원
        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resources and safety particip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afety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47 employe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eared as follow; 1) job demands factors(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effect negatively on safety participation. 2) job resources factors(autonomy and social support) effect positively on safety participation. 3) safety self-efficacy moderates positively 3 relationships-between role conflict and safety participation, between role ambiguity and safety particip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afety participation.
        4,000원
        5.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resources and safety compli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47 employe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eared as follow; 1) two demands factors(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effect positively on safety compliance. 2) job resources factors(autonomy and social support) effect negatively on safety compliance. 3)job burnout effects negatively on safety compliance. 4) job burnout mediates between 4 job demands/resources(role ambiguity and role overload, autonomy, social support) and safety compliance.
        4,200원
        6.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 코치의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인 변인을 밝히려는 연구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직무요 구-자원(JD-R) 모델에서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 측면을 밝히려는 동기적 과정을 적용해 관련변인을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자원과 업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직무자원과 직무요구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를 지도하는 코치 1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칭업무에 부합되게 수정된 직무자원, 직무열의, 직무요구, 업무만족도 등 4가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시작으로 신뢰도 분석, 구성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매개모형 분석과 조건부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직무자원은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업무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직무자원이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직무요구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 열의는 코치업무의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과도한 직무요구가 발생하 면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들의 번아웃과 직무열의에 대한 통합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과학 연구분야에서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적용되어온 직무요구-자원 모델(JD-R)을 운동선수 코치에게 적합하게 설정하고 관련 변인 간 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 1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치 번아웃, 직무열의, 직무자원, 직무요구, 이직의도, 직무만족도 등 6가지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최종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측정모형분석과 팬텀변수를 활용한 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 요구는 번아웃을 경유하여 직무만족도와 부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요구는 번아웃을 경유하여 이직의도와 긍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원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번아웃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직무자원은 번아웃을 경유하여 이직의도와 부정적인 관계,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직무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에서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과 직무열의는 각각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대한 긍정 및 부정적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