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largest written Chinese dictionary in the Joseon Dynasty, “Gujin Shilin” contains a wealth of Korean vulgar words. This paper takes the Korean Kanji Words in “Gujin Shilin” as an example, analyzes the Korean common characters used in the entry, and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 characters in the inheritance of “Liushu”, such as associative compounds, pictophonetic characters, and phonetic loan characters, as well as the simplification of the form, the symbolization of the components, and the components of the common characters. The variation law of functionalization and reconstruction of pronunciation and meaning is beneficial to the research on the spread and development of popular characters outside the territory.
        5,400원
        2.
        2019.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존하는 한자구조의 분석이론은 그 유형과 명칭이 매우 복잡하고 많을 뿐만 아니라, 글자를 식별하고 쓰고 듣는 교육에 있어 그 효과를 알기 어렵다. 여기에서 필자는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축을 이용하는 법을 제시한다. 한자 구조를 가로축, 세로축 및 십자 축으로 하고, 한자를 서로 다른 원수 및 층 유형의 글자로 구분하였다. 중국어, 일어, 한국어의 한자 및 베트남 한자에 대한 다양한 시험을 통해 이 분석 방법이 중화권에서 사용되는 여러 한자와 간화자, 일본 한자, 한국 한자 및 베트남 한자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제시한 양축분석법은 한자와 자의 자음의 이해 및 학습에 있어 보다 진일보한 효과를 형성하여 한자 학습의 난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될 것으로 기대한다.
        5,200원
        3.
        2016.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어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는 2자 한자어에 초점을 두어 품사성 특징, 어휘적 성질, 통어적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목적은, 두 언어 모두 한자어의 쓰임이 많고, 각각의 고 유어와 거의 흡사하게 쓰이고 있다는 공통점을 이용하여, 양언어의 학 습자에게 유의한 학습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일본어에서는 ‘한 자어동사’ 혹은 ‘한어동사’라고도 쓰이는데, 이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았 고, 한국어에서는 어종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한자어의 위치에 대해 검 토해 보았다. 나아가, 한자어에 접속되는 여러 가지 어미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자 어가 가지고 있는 어휘성의 특징을 일한 양 언어 간에 비교해 보았다. 물론, 공통점이 있는 반면, 상이점도 많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혼란을 가져오는 부분이 있으므로, 그 부분 또한 명확하게 밝혀야 하지만, 지 면상 금후의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결론을 말하자면, 한국어에서도 한자어의 위치는 중요한 부분을 차 지하고 있고, 한국어교육에 있어서도 반드시 고려되어 지도해야 할 부 분이다. 일한 양언어의 한자어의 어휘적 특성과 지도에 필요한 부분을 명확히 알아보았고, 여기에 대한 지도사항이 절실히 필요함이 인식되어 야 한다.
        4,900원
        4.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現今東亞國家多已逐漸棄用漢字,但漢字對日語而言仍是不可或缺。別說人名、地名等固有名詞,普通的文章也不得不使用漢字。日本跟中國的漢字並不盡相同,日本存在著很多連中國人也看不明白的漢字。有些漢字在傳到日本後,在用法及意思上有了轉變,亦有些漢字是日本人自創的。很多人以為所有漢字都是由中國傳到日本,其實也有近代日本人想出來的漢語倒過來傳到中國。相反,亦有一些漢語是由近代中國人想出來再進而納入日語。回顧二戰後日本在漢字上的政策,公文中可使用的「常用漢字」一直在增加。1946 年常用漢字只有1850 個,在1981 年增至1945 個,到了2010 年更增至2136 個。日本學生從小學一年級就開始正式學習漢字,小學課程大綱中的「学年別漢字配當表」共有1006 個,中學時再學習餘下的常用漢字。日本家長替孩子起名時,除了常用漢字外,還能從「人名用漢字」中挑選。目前「人名用漢字」共有983 個,唯並未指定其讀音,因此有些家長會用一些古怪的漢字起名。那麼學習日語漢字對香港人而言就是易如反掌嗎?華人認為自己比非漢字圈學生更易掌握日語,部分學生相信因為日語包含許多漢字,所有文章的大意都能看懂。事實的確如此︰1) 於上一屆香港中學文憑試日語科,香港考生有 63%考獲A 以上的成績(HKEAA)。2) 日語能力試舊制中最高級別 L1 只要求2000 個漢字的知識,對香港人來說一點也不多。3) 在大學歐美學生與華人學生一起上日語課,會令老師難以控制進度。雖則如此,日本漢字對華人來說並非毫無難度。日本漢字有兩種語音,一個是訓讀,另一個是音讀。訓讀語並不能靠中文的發音推測,須要另外背誦。音讀語雖然源自中國漢字的讀音,但它也不簡單,在不同時代借入的字有不同讀音,一字多音的情況比中文多得很。除此之外,還存在字體的問題。部分日本常用漢字的字體與繁體字或簡體字都不同,但個別學生認為日本常用漢字類似繁體字,經常把兩者混在一起。同理,簡體字與日本漢字的混淆問題亦存在於華人圈的日語學習者中。
        5.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은 4~8세기 고대 조선 (삼국 시대를 중심으로) 시대의 금석문, 목간 경문 등에 잔존하는 "鹽"자 와 이체자 "塩"의 자형의 유무 및 자형 상황을 확인하고, 8 세기 중엽 중국에서 사용되지 않은 이체자 "塩"의 자형이 일본 쇼무의 친필 편 지에 등장하는 경위로, 중국 당나라에서 견당사(또는 그 이전 遣隋使)를 통해 직 접 일본에 한자가 전파된 것이 아니라 많은 이체자(당시의 俗字, 통용자)들이 고 대 한반도를 경유하여, 고대 조선 사회의 문화적 영향을 받아 변형된 자형이 일본 에 전파했다는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논의하였다. 특히 당시 일본 야마토 조정이나 나라 조정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고 추측되는 백제와 신라의 고문 자료에 변형의 흔적이 있는지 집중적으로 살펴 보았다.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