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이 영양에 의한 충분한 영양분 섭취는 치매에 의한 뇌 인지 기능의 저하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설포라판은 뇌 인지 기능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영양 성분으로, 설포라판이 다량으로 포함된 브로콜리 추출물은 인지 기능 개선 효과가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탈염 용암해수 재배로 제조한 브로콜리 추출물이 뇌 인지 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시험하 였다. 제주도 용암해수는 유용 미네랄 (아연, 바나듐, 게르마늄)이 풍부해서, 용암 해수에서 재배한 작물은 유용미네랄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도 탈염 용암 해수를 사용해서 재배한 브로콜리 추출물의 화학 조성 중 설포라판과 글루코라판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LC-Q-orbitrap 질량 분석기를 사용하였고, 설포라판의 정량 분석을 위해 HPLC 를 사용하였다. 브로콜리 추출물의 신경 세포 사멸 억제 효과와 항 염증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SH-SY5Y 세포를 사용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시냅스 가소성 촉진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SH-SY5Y 세포에서 시냅스 가소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 변화와 아세틸콜린 분해 효소의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실험들을 수행한 결과 탈염 염지하수로 재배한 브로콜리 추출물은 신경 세포 사멸 억제 효과와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하였고, 시냅스 가소성 관련 단백질 발현을 증가 시키고 아세틸콜린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해서 시냅스 가소성을 증가 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 상의 결과들은 제주도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브로콜리 추출물이 치매에 의한 뇌 인지 기능 저하를 억제하는 좋은 식이 영양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800원
        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오래 전부터 오미자와 칠해목은 약용식물로 이용해져 왔다. 오미자의 경우 생리활성 물질인 lignan을 통하여 여러가지 효능들이 연구를 통하여 알려졌으나, 칠해목의 경우 항염증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칠해목의 추출혼합물을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로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된 SH-SY5Y 신경세포에서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산화수소의 처리 농도의 경우, 신경세포 독성 실험을 통하여 100 μM의 농도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또한, 오미자와 칠해목 추출물은 SH-SY5Y 신경세포에서 세포 독성이 없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한 결과, 30% 에탄올 추출물 5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의 최적 효능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각각의 추출물을 다양한 수율로써 6:4, 7:3, 8:2의 비율로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확인한 결과, 오미자와 칠해목 7:3의 비율과 50 μ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나왔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의 최적의 비율과 처리 농도로 사용하였다. Annexin V와 PI를 이용한 SH-SY5Y 신경 세포의 세포사멸을 확인해 본 결과에서도 오지마․칠해목 추출혼합물은 SH-SY5Y 신경세포의 세포사멸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이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SH- SY5Y 신경세포에서 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에 대한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정확한 기전을 파악하기 위하여 In vitro와 In-vivo에서의 후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3.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roke occurs when local thrombosis, embolic particle or the rupture of blood vessele interrupts the blood floe to the brain. -estradiol 17-valerate has been reported to exert neuroprotective effects when administered before an ischemic insult. Recently, the pathophysiology of cerebral ischemia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rat with various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s whether -estrodiol 17-valerate can protect against brain injury. RNA sample were extracted from the hippocampus of female rat, reverse-transcription in the presence of [32p] dATP.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were revealed (Bone morphogenetic protein type 1A receptor, Protein disulphide isomerase, Leukemia inhibitor factor receptor, cytochrome bc- 1 complex-x core P, thiol-specific antioxidant protein). RT-PCR was used to validate the relative expression pattern obtained by the cDNA array. The precis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expression of recovery genes and stroke is a matter of luther investigation.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KOSEF) through the Biohealth Products Research Center(BPRC), Inje University, Korea.
        5.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medicine,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for the treatment of centralnervous system-related symptoms such as tremor, seizure, stroke and epileps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afflower couldinfluence cerebral ischemia-induced neuronal and cognitive impairments. Administration of safflower for 1 day(200㎎/㎏ body weight, p.o.) increased the survival of hippocampal CA1 pyramidal neurons after transient global brainischemia. And neurological functions measured as short term memory. Post-treatment with safflower for 2 times decreasedthe induction/reduction - induced production of neuronal cell loss from global cerebral ischemia. Safflower markedlydecreased neuronal cell death and also caused a decrease in the content of thiobarbituric acid-reacting substances(TBARS) (55.2±9.4µmol mg-¹) and significant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glutathione (GSH) (27.2±5.0µmol mg-¹) inhippocampus. We conclude that treatment with safflower attenuated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and neuronal cell lossinduced by global cerebral ischem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fflower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vascular dementia.
        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참다래 과실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경세포주인 PC12 세포를 이용하여 참다래 과실추출물의 전처리가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신경세포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t-BHP에 의해 유도된 신경세포손상으로부터 세포사멸을 억제하여 세포생존도를 증가시켰으며 세포사멸로부터 형성되는 핵의 농축현상과 단편화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Bcl-2 단백의 발현 증가, Bax 단백의 발현 감소, caspase-3의 활성, PARP 분해 단백(85KDa)감소, ERK, p38 활성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참다래 과실의 추출물은 신경세포증식효과를 통해 신경세포손상으로부터 유발되는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8.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erebral ischemia results from a transient or permanent reduction in cerebral blood flow that decreases oxygen and glucose supply. When the cellular oxygen supply is reduced to critical level, damage to cells and induction of cell death are occurred by excitotoxicity,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schemia remain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but there is no effective treatment that might protect neurons gainst ischemia by interrupting the cascade of cell death. In this study,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are exposed to oxygen and glucose deprivation (OGD) followed by reoxgenation. OGD can mimic the acute restriction of metabolite and oxygen supply caused by ischemia and is widely used as a model of ischemic conditions. SH-SY5Y cells are treated samples at the commencement of OGD to achieve different final concentrations, and cell viabilities were quantified using the measurement of flow cytometry analysis. Of those tested, the extracts of Polygala tenuifolia (roots), Dictamnus dasycarpus (barks), Polygala tenuifolia (roots), Eucommia ulmoides (branches), Eucommia ulmoides (barks), Poria cocos (whole), Sophora flavescens (roots) showed neuroprotective effects, with EC50 values of 4.5±0.6, 7.9±1.5, 10.5±0.7, 18.4±1.9, 19.6±0.3, 21.6±1.9, and 30.7±3.9μg/ml, respectively.
        9.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bjectiv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ascertain whether the memory disturbance following scopolamine administration an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could be evidenced in global cerebral ischemia by evaluating improved cognitive capacity in the rats. Materials and Methods Neuronal cell density was measured by counting viable cells in the left and right CA1 regions of three coronal sections of 30 um. Behavior test; Acquisition deficits after ischemia.. Use passive avoidance test. Results Neuroprotective effect of GB at 100mg/kg is 87.3%. Representative photomicrographs of cresyl violet-stained hippocampal regions of either sham-operated animals(A,B) or animals that had been subjected to 10 min ischemia followed by the treatment with either saline (C,D) or 100mg/kg of Ginkgo biloba (E,F). Boxed regions in A, C, and E are shown in B, D, and F, respectively. The 10 min ischemia caused selective and delayed neuronal cell loss in the hippocampal CA1 region (C,D). In contrast, GB treatment conferred neuroprotection by markedly reducing the number of damaged pyramidal cells in the CA1 subfield (E,F). Scale bar is 100 um. Effect of GB on scopolamine induced memory deficits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At 30 min after trainining trials, scopolamine(1mg/kg i.p.) or the same volume of saline was administered to rats. At 30 min after scopolamine injection, the rats were treated with GB(100mg/kg). Acquisition trials were carried out 30 min after GB treatment. At 24 hr after acquisition trials, the test trials were carried out. Data represents mean ± SEM (n=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