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 의미감은 조직구성원의 주요 심리적 및 행동적 결과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핵심 변수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일 의미감은 단순히 주관적인 평가를 넘어서, 개인의 가치, 관계, 목적의식 등 다양한 심리적 요소와 연계되는 다차원적 구성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 의미감을 일반요인과 세부요인으로 구성된 bifactor 구조로 모형화하고, 각각이 대표적인 조직관련 변인들인 조직몰입, 이직의도, 번아 웃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풀타임 근로 자 4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 석 결과, bifactor 구조는 적절한 모형 적합도를 나타냈고, 일 의미감의 일반요인은 정서적 조직몰입 증가, 이직의도 감소, 번아웃 완화 등 모든 조직결과변인에 대해 안정적인 예측력을 보였다. 반면, 세부요인들은 각 결과변인에 대해 상이한 방향성과 유의미한 추가 설명력을 보여주었으며, 일부 요인은 오히려 부정적 인 효과를 나타내는 등 복합적인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 의미감이 단일한 정서적 경험이 아닌 다양한 심리적 자원들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복합적 구조임을 시사하며, 각 하위요인이 구성원 태도 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일 의미감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확장함과 동시에, 조직 내에서 보다 정교하고 실질적인 의미감 기반의 인사전략 수립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및 실천적 의의를 가진다.
        5,500원
        2.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rowing trend of companies using digital platforms for internationalization has raised the important issue of how companies on such platforms develop unique abilities, but few academic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field. This study develops a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drivers and outcom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organizational generativity on digital platforms. This study explores how companies effectively convert and integrate resources for generativity, and further improve firm performance during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companies’ big data analytics capability, customer agility, platform openness, and network centrality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generativity. Furthermore, organizational generativ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is study ultimately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3.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ganizational agility is a firm-wide dynamic capability to cope with rapid, relentless, and uncertain changes and thrive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of continually and unpredictable changing opportunities. A conceptual model is drawn up, based on the literature and a previous qualitative inquiry, to identify agility enablers that help organizations to sustain in dynamic environments. Further, the model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gility and firm performance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this relationship.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is assessed by means of a quantitative study using a survey methodology. A data set consisting of 348 German-based companies is analysed on a business unit level as well as for the organization as a whole. Partial least squares path modeling (PLS-SEM) results reveal that four dimensions (organization, innovation, people and knowledge management), comprising various agility enablers, positively influence organizational agility. Moreover, results indicate that organizational ag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odearted by environmental dynamism.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nature of the agility construct and provides guidelines how organizations can achieve an agile alignment. It further emphasizes the need for managers to integrate agile practices in order to outperform competitors in hypercompetitive and turbulent business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