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 from biomass residue with conventional steam activation was conducted to find the alternative raw materials for meeting the high demand for low-cost porous material in the desiccant application. In this study, activated carbons were produced from dead camphor leaves using two-step methods at different preparation temperatures. The characteriz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prepared activated carbons have a surface area of 700 m2/g, with 75% of microporosity. The water vapor sorption study reported that the water uptake of camphor leaf-based activated carbons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por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Moreover, from the water adsorption kinetics, it was observed that the rate constant of adsorption was varied at each relative pressure, which can be assumed that the water adsorption mechanism is different at each relative pressure. From thes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the prepared camphor leaf-based activated carbons have a promising ability to adsorb water vapor from humid air.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신체조성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정상집단과 비만집단을 대상으로 신체조성(체중,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최고혈압, 최저혈압)및 신체적 자아개념(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외모, 신체활동, 건강, 자기 존중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을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 간과 시행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 변인 중 체중, 체질량 지수와 허리둘레에서 정상집단과 비만집단 간의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둘째, 신체적 자아개념 변인 중에서는 외모, 지구력, 근력 그리고 신체전반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스포츠 유능감, 신체활동 그리고 자기존중감에서 실험전과 후 긍정적인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 신체적 자아개념의 긍정적 변화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성인 여가스포츠 참여자를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 그리고 스포츠 경험 수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총 20개 종목의 여가스포츠 참가자 1177명(남=568명; 여=609명)이었으며, 이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은 10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형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지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들 종속변인으로 시행된 다변량 분산분석(성별 x 연령 x 경험) 결과는 성별, 연령, 경험의 주효과와 성별과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20대와 40대 그리고 50대의 남성들이 체지방과 건강의 개념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20대와 30대 남성이 여성들보다 신체활동에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나아가, 오랫동안 여가스포츠에 참여한 집단들이 단기간의 참여집단보다 스포츠 유능감, 신체활동, 지구력, 신체전반에 대한 자기-지각수준이 높았으며, 낮은 체지방 수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신체적 자기-개념의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되었다.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PSPP)은 4개의 하위변인(스포츠 유능감, 신체적 컨디션, 매력적 몸매, 신체적 강인성)과 자기-존중감을 중재하는 1개의 상위변인(신체적 자기-가치)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행동(재저사이즈)을 기저변인으로 포함시킨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의 위계적 구조모델(EPSPP)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EPSPP 모델은 재저사이즈 참여가 PSPP 하위변인들에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자기-가치는 PSPP 하위변인들과 자기-존중감의 중재요인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나아가, 재저사이즈가 신체적 자기가치에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PSPP 하위변인들이 자기-존중감을 직접적으로 예언한다는 대안적 모델이 수립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322명(M=27.7)의 여성 재저사이즈 참여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신체적 자기-지각 및 자기-존중감 그리고 운동 행동 수준은 일련의 질문지들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EPSPP 모델이 대안적 모델보다 더욱 적합한 모델지수들을 보이고 있으며, EPSPP 모델의 변인 간 행로계수들은 모두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좀 구체적으로, 이 모델에서 재저사이즈 행동은 신체적 컨디션과 강인성에 강력한 예언력을 보이고 있는 반면, 매력적 몸매와 스포츠 유능감과는 미약한 인과관계를 갖고 있었다. PSPP 하위변인 중에서 매력적 몸매는 신체적 가치를 가장 강력하게 예언하였다. 재저사이즈 참여자들은 실제 자신들의 몸매에 그다지 만족하고 있지 않으나, 매력적 몸매를 가장 중요한 신체개념으로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신체적 자기-시스템의 이론적 기틀과 운동참여 연구의 실증적 관점을 통하여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무용수들의 신체적 자기-지각 및 자기-존중감이 무용수준(프로와 대학)가 무용전공(발레, 한국, 현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어떠한 인간관계를 나타내는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학과 프로무용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302명의 여자 무용수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신체적 유능감, 매력적인 몸매, 신체적 컨디션, 체력, 신체적 자기-가치, 그리고 자기-존중감은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PSPP)과 자기-존중감 검사지(SEI)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다변량분산분석(MANOVA) 결과는 프로 무용집단이 대학 무용집단에 비하여 더욱 긍정적인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과 자기-존중감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몸매에 대한 지각은 프로와 대학무용 집단을 가장 강력하게 판별하는 신체지각 요인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존중감이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 모델의 예상을 지지하였다. 프로 및 대학무용수 모두 유능감, 몸매, 체력, 컨디션 지각은 신체적-자기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신체적 자기-가치는 자기-존중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활동과 자기-시스템을 설명하는 이론 및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