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position of the upper structure, which can be found in the 3-Dori type buildings in Yang-dong Village, varies significantly from time to time. The upper structure of the Gwan-ga-jeong, known as a house in the mid-Joseon Dynasty, consists of a basic 3-Dori type structure in which a beam is placed under 3-Dori and supported with two flat columns.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tructure of I-hyang-jeong historic house, built in the 17th century, is different in that it has a stud between the two flat columns. The upper structure of Sa-ho-dang historic house, a 19th-century building is different from the upper structure of the buildings of the previous period in that three flat columns were used. As such, the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eriod is closely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Toi-maru, which is mainly explained by the boundary space. In addi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Toi-maru originated from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the pla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n and the composition of the boundary space through various typology of the 3-Dori upper structure distributed intensively in Yang-dong Village.
        4,000원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백산국립공원에서는 멸종위기종복원사업의 하나인 여우 복원사업을 진행중이다. 멸종위기종 복원을 진행함에 있어 안전한 서식지 제공은 복원종의 정착화에 가장 중요한 요수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농업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주민들은 야생동물로 인한 농산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올무, 창애와 같은 불법엽구를 이용하여 과수원이나 밭을 침해하는 야생동물을 차단하고 있다. 이 이유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조수 뿐만 아니라 다른 멸종위기종에게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백산국립공원에서 복원중인 여우의 생태적 특성 상 민가와 농작지 주변에 활동하고 중소형동물로 올무와 창애에 피해를 입을 확률이 더 크다. 실제로 2012년 방사 이후 3개 체가 불법엽구로 인해 폐사 하였으며 7개체는 다리 절단 등의 이유로 회수된 상태이다. 야생동물에게 서식지는 먹이 활동, 교미, 출산, 양육 등 생활사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특히나 멸종위기종 복원에 있어 서식지 안정화는 1차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 1급인 여우의 복원대상지인 소백산국립공원 지역의 불법엽구 수거 실적을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통해 불법엽구 설치 유형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소백산국립공원인 접지역에서 수거한 불법엽구 설치 좌표 112개를 이용하여 설치지점의 고도, 경사, 농경지(논, 밭, 과수원)로 부터의 거리, 주거지로 부터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토지이용현황 등 총 6가지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불법엽구 설치 유형을 도출 하였다. 분석결과 불법엽구가 설치된 지점의 평균고도는 348.4m로 나타났으며 경사는 평균 16.2°, 농경지로 부터의 거리는 평균 109m, 주거지로 부터의 거리는 192m, 도로와의 거리 114m로 나타났으며 불법엽구가 설치된 지점의 토지이용현황은 침엽수림이 44%로 가장 높았으며 과수원 31.25%, 혼효림 11%, 밭 5%, 교통시설 4.4% 등으로 분석되었다. 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위험지역 설정 및 설치 예상지역을 도출하여 불법엽구 근절을 위한 현수막과 홍보 활동을 통해 주민의식을 계도하고 환경청, 지차체, NGO, 지역주민 등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대대적인 불법엽구 수거를 통해 밀렵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es on the pit dwellings in the Joseon Dynasty era have been constantly conducted in the archeology fiel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s. Most of the related researches in the past have been on the classification and chronological record of dwelling types in archeology, but architectural researches on the dwelling history that is connected from the prehistoric age to the Joseon Dynasty era are insufficient.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the excavated pit dwellings of the Joseon Dynasty era and those of the prehistoric age, so pit dwellings were considered to have been used as dwellings for common people until the Joseon dynasty era. This fact is confirmed by the frequency and density of pit dwellings. In this research, what space composition of the pit dwellings that are equipped with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is shown according to the plan types was examined and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process from pit dwellings to Folk houses were analyzed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Folk houses of the Joseon Dynasty era were examined. The Folk house form did not start with the form of the house on the ground but originate from the introduction of Ondol,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to pit dwellings. As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is used, the room and kitchen space are composed in the pit dwelling, and the kitchen is expanded to the one that separates the fireplace for cooking to avoid heating that is unnecessary for the summer season. As the size of the dwelling was getting bigger, the division of the space is made by the pillars that support the interior space. Also, the dwelling is expanded into a single row house and a double row house according to the progress direction of Ondol. In other words, the pit dwellings in the Joseon Dynasty era develops with making up diverse floors through the combination and expansion of Ondol and kitchen according to the dweller’s convenience and life styl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helps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our traditional Folk houses and fills the gap between the pit dwelling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adequately, and traditional Folk houses in the Korean dwelling history.
        4,600원
        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 말 기준의 국내 해양시설 신고 현황을 지역별 및 시설 종류별로 분석하고 국가차원의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여수청에 신고한 시설이 8가지 종류로 가장 다양하였으나 포항청, 대산청 및 제주해양관리단에 신고한 시설이 각각 3가지 종류에 불과하였다. 기름 및 유해액체물질 저장시설은 모든 지방청의 신고 실적이 있고 시설의 수도 가장 많은 종류이며, 여수청과 마산청이 각 38개소로 공동 1위를, 평택청이 11개소로 최하위를 차지하였다. 오염물질저장시설은 마산청이 4개소, 동해청과 목포청이 각 2개소, 여수청, 군산청 및 평택청이 각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선박건조 수리 해체시설은 모든 지방청의 신고 실적이 있는 종류이며, 전국 시설(조선소)의 45%가 마산청과 부산청 관할의 남해 동부해역에 집중되었다. 하역시설은 부산청과 목포청이 각 3개소, 대산청이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은 신고 실적이 없었다. 폐기물저장시설은 울산청이 5개소, 군산청이 4개소, 인천청이 2개소, 여수청이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취수 배수시설은 전국의 65%가 포항지역과 목포지역에 집중되었고, 유어장은 전국의 78%가 마산지역에 집중되었다. 그 밖의 시설은 동해청이 4개소, 마산청이 3개소, 여수청과 평택청이 각 2개소, 인천청과 울산청이 각 1개소였으며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종합해양과학기지는 제주해양관리단이 3개소, 여수청, 울산청 및 군산청 각각 1개소였으나 나머지 지방청에는 신고 실적이 없었다. 해양시설에 대한 국가차원의 관리방안으로는 지방청별 여건을 고려한 관리, 시설 종류별 특성을 고려한 관리, 관계 법령 및 규정의 개정, 해양시설 종류별 이행사항 숙지 및 준수, 국가적 견지의 적극적 관리조치 등을 제안하였다.
        4,200원
        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the setting characteristics of 日type plan building ruins in the Hoe-amsa monastery site, that’s renovated by Zen priest Na-ong(1320-76) in the later Goryeo Dynasty(918-1392),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China, Japan, and Goryeo in that time. The ruins of 日type plan building, located in the east side of Buddha hall ruins, is the ruins of Jungryo(衆寮). It was called as Jeondanrim(旃檀林), and the name can be seen from the record(天寶山檜巖寺修造記) of Yi-saek(李穡, 1328-96). It’s name and the composition of plan is very similar to the Jungryo of Chinese and Japanese Zen monastery in 13th-14thcentury. And from it, we can see that, the priest Na-ong tried to introduce institution of Chinese Zen monastery, which he experienced during the time of study in China. But, the location of Jungryo in Hoe-amsa monastery is deferent from the Zen monastery of China and Japan, and it can be said as the setting characteristics of Hoe-amsa monastery in Goryeo Dynasty.
        4,900원
        11.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dol is a traditional heating system in Korea. After new building type, apartment was introduced from western world around 1960, there have been dynamic changes in heating system in apartment. At first, designers supposed that apartment should match to the stand-up-living-style and the radiator system regardless traditional life style. Dwellers, however, didn't accept such a heating system even though the increase of the use of standing type furnitures such as bed, sofa, table, sink etc. Nowadays, Ondol is facilitated to the entire of the home even to the living room and dining/kitchen which radiator system was supposed to be accepted by designers. This try and error process shows that heating system is not only the physical facility itself, but also the cultural element reflecting the properties of way of life. And also it prove that one culture can not substitute the other culture, but merely conflict, mediated each other.
        4,000원
        1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lan type of traditional folk housing in Jeoun-Nam Province. The building time of these houses is mainly from early 19C to early 20C and about 1,000 houses have been investigated.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1. Small house is composed of kitchen, one or two rooms and Marae(the place of storage and sacrificial rite). Big house has one more room and one more storage in comparison with the small house. Marae and Jeoungjibang(a room which is in front of kitchen) are characteristic rooms of folk house in Jeoun-Nam Province. 2. The plan type varies in Jeoun-Nam Province. '-'type is a main type of layout and it is arranged a kitchen, a big room, a Marae and a small room in order. In the big house, jeoungjibang(the third room) is added. 3. In the southwestern Island area, no room is arranged beside Marae. Marae has characteristic confucian order because it is the place of sacrificial rite. Therefore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other area. 4. In the mountain area such as Gurae, there are some houses which have two rooms arranged up and down in one side; that is, upside is Marae and downside is small room. This type is called Kyump Jip.
        4,800원
        13.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lan type of Korean protestant church architecture underwent changes as following five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First stage - At the beginning of missionary work in Korea, Koreans generally worshiped in missionary houses which were traditional Korean styles. The plan type of these houses was a simple '-' figure. At that time, men and women worshiped separately because of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hey either worshiped in different places at the same time or in the same place at the different time. Second stage - At this stage, men and women started to worship together in the same place. At the beginning of this stage, men sat in the front of the chapel on a rostrum, and women sat behind the men. The plan type of the chapel was a simple '-' or a rectangular figure. Later, they sat separately on the right and left side. There are the visual interceptions which were set up between them. As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increased rapidly, a new type of church architecture appeared. It was a 'ㄱ' figure. At that time the entrances were separated by the sexes. Third stage - At this stage, the visual interceptions disappeared as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became weak. As new churches had been constructed by the plan type of rectangular figure, the visual interceptions weren't set up anymore. Fourth stage - At this stage, the separated entrances were unified as one. But the arrangement of their seats didn't change because of the old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Fifth stage - In the final stage, the plan type of the church architecture was not determined by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but social, economical, technological facts and the influence of the foreign architecture. At this stage, new and various kinds of the plan type appeared such as the fan, round, squared, or oval figure as well as the rectangular figure. Men and women were not classified anymore. They started to sit and worship together in the same place. Also, when men and women sat separately from side to side because of the Idea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men sat on the right and women sat on the left side of rostrum. It didn't applied Confucian ideas but the idea of protestant church; protestant churches have the idea that the right side is more important but it does not in Confucianism.
        5,500원
        17.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한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국내외 환경재해와 전염병에 대한 공포로 웰빙 문화가 확산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웰빙작물정보에 대한 개념정의를 내리고, 소비자가 식품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등을 알고 섭취할 수 있도록 웰빙작물정보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미국, 유럽 등의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과 조사․연구 현황 등 선진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웰빙작물정보 개념의 정의 및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는 방법으로 추진하였다. 웰빙작물정보란 개인의 질병이 없는 상태유지에 필요한 식품영양, 작물의 기능성, 원예치료 등 작물중심의 기능성 정보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국내 웰빙작물 관련 서비스되고 있는 정보는 전문적인 정보로 인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많고 사용자의 접근이 쉽지 않아서 분산적인 서비스로 사용자가 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국외 웰빙작물 관련정보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관련기관과 역할에 관계없이 한 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었고 주요 내용으로는 식품과 영양학분야 최신연구동향, 영양섭취관련 연구방향, 식품소비행동관측과 조사분석 결과, USDA국가영양성분DB, 최근 영양섭취 관련연구 요약정보, 식물성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기본정보 등이 있었다. 웰빙작물정보의 소비자 선호형태 조사를 위하여 서울, 경기 및 대전권역에 살고 있는 도시소비자 350명을 대상으로 직접방문조사 및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연령, 학력, 직업 및 소득수준별 정보수요 차이를 검정하였다. 웰빙 작물정보 서비스 선호도에 대한 조사결과 웰빙작물정보 포털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은 연령, 주거형태, 학력, 직업, 소득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건강식품정보수집과 관련하여 정보수집 용이성, 정보 이해도, 제공정보에 대한 신뢰성은 학력, 소득과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웰빙 관심도, 연령, 주거형태에 대하여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원예활동 및 재배지식은 웰빙 관심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연령, 주거형태, 학력, 직업, 소득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웰빙작물정보제공을 위한 인터넷 포털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그렇다 64%, 매우 그렇다 15%로 응답자의 79%가 인터넷포털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4%는 필요하지 않다고 하였다. 연령대별 시스템 개발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는 60대를 제외하고는 연령대가 낮을수록 시스템 개발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웰빙작물정보 개발 및 운영주관기관은 국가기관이 적합하다가 47%로 가장 높았고 민간기관 29%, 법인체 23%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건강과 관련한 영양식품 섭취 등에 대한 정보제공방법으로는 TV등 방송매체를 통한 방법이 적합하다 61%,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22%, 신문 및 잡지 16% 순이었고 정보제공 정도는 상세하게 66%, 기본항목 중심의 간략하게 29% 등으로 상세한 정보제공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빙작물정보 서비스를 위한 목표시스템은 웰빙작물과 웰빙환경으로 구성하고, 세부항목인 웰빙작물정보는 작물의 기능성, 영양정보 및 My웰빙건강진단에 필요한 항목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웰빙환경정보는 생활환경원예 및 가정원예치료 등으로 구조도를 설계하였다. 웰빙작물정보에는 이용자가 쉽게 검색 할 수 있도록 작물명, 기능명 및 영양 등의 분류에 의해 접근이 가능토록 구성하였으며, 영양정보와 웰빙건강을 연계하여 개인의 영양진단과 분석 및 처방이 가능토록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