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davurica Pall. leaves in order to evaluate thepossibility as a natural biomaterial. The 80% ethanol extract and its subsequent fractions of Rosa davurica Pall. leaves wereprepared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The extraction yield was 33.4, 36.6, 25.2, 18.7, 5.8 and 5.8% in etha-nol extract, aqueous, butanol, ethyl acetate, n-hexane, chloroform fractions,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 fraction(661.38㎎/g), butanol fraction (396.68㎎/g) and 80% ethanolic extract (239.54㎎/g) has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than other fraction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cted in ethanolic extract,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The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4.77㎍/㎖). Moreover, the ethylacetate fraction significantly inhibited production of NO in LPS-stimul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without cytotoxic-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80%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of Rosa davurica Pall. leaf, especially ethyl acetate frac-tion, have the properties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suggesting leaf of Rosa davurica Pall. may be a candidate fornatural and functional materials.
        2.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잎에 대한 일반성분과 tocopherol 동족체를 분석하였으며,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보다 더 정제하기 위해 헥산,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을 및 물층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분획물을 이용하여 자외선 (UV 308, 350 nm) 차단효과와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성분의 분석 결과 수분이 67.5%로 가장 높게 나타났
        3.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잎을 시료로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물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 대하여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와 S. th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용매별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메탄을 추출물 (21.3%), 에탄올 추출물 (17.0%)
        4.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개갑처리와 GA3의 처리에 따른 발아율 향상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과실의 길이는 13cm, 폭은 0.9cm 였으며, 과실내의 종자수는 89개였다. 종자의 길이는 4.9mm, 폭은 2.87mm였으며 천립중은 7.76g이었다. 자연매장 보다는 15℃ incubator에서 층적저장한 것이 개갑율 10.5%로 높았고 또한 4℃ 저온저장후 개갑율도 46.6%로 가장 양호하였다. 2.개갑된 종자의 발아율이 비개갑된 종자에서는 보다 우세하였으며 최적 발아온도는 15℃임을 알수 있었다. 개갑된 종자에서의 GA3의 효과는 농도처리에 따라 커다란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개갑된 종자와 비개갑된 종자 모두 200ppm 이상으로 처리하면 오히려 발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GA3의 처리의 효과가 발아적온이나 개갑종류에 따라 뚜렷하지 않은 반면 비성숙된 종자의 상태(비개갑종자)와 발아 불량조건(4℃, 비개갑종자)에서는 뚜렷이 나타났다.
        5.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숙지, 녹지, 반녹지삽 및 근삽등의 삽목번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숙지, 녹지, 반녹지삽으로 삽목실험을 한 결과 숙지삽에 대한 결과는 각각의 생장 조절물질 및 상토조건에서 발근이 전혀되지 않았으며 반녹지삽, 녹지삽, 근삽의 순으로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어 생열귀 삽목시 숙지삽이나 반녹지삽을 이용하는 것보다 녹지삽을 채취하거나 근삽을 이용하여 삽목하는 것이 양호하였다. 2.녹지삽의 경우 무처리 식물체가 전혀 발근이 되지 않은 반면 rooton-F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NAA 처리시는 저농도에서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증가하였고 IAA를 처리한 경우는 고농도일수록 발근율 및 캘러스형성율이 양호하였다. IBA는 IAA, NAA보다는 저조한 결과를 나타냈었다. 3. 녹지삽에서는 vermiculite와 perlite의 혼합토양에 삽목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점토, 사토 순으로 나타났다. 녹지삽에 rooton-F를 처리하였을 때 근장에 있어서는 사토가 더 우수한 반면 근수는 점토에서 더 우수하여 점토와 사토에서 근수와 근장이 서로 상반된 차이를 보였다. 4. 반녹지삽에 rooton-F를 분의처리한 경우 녹지삽에서 결과가 좋았던 vermiculite+perlite에서는 10%정도만 유기되고 점토에서 양호한 발근효과를 나타내었다.
        6.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 및 시기별 ascorbic acid 와 β-carotene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중 ascorbic acid 함량은 잎부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일 보다는 2.7배, 줄기와 뿌리 보다는 14배 정도 더 높았다. 2. 잎 채취시기별 ascorbic acid 함량은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1.8배 더 높았으며,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1.8배 더 높은 ascorbic acid를 함유하고 있었다. 3.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중 β-carotene함량은 잎부위에서 가장 높았으며, 과일보다는 3.5배 더 높았다. 4. 잎 채취시기별 β-carotene 함량은 11월에 채취한 잎이 9월에 채취한 잎보다 더 높았으나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7.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열매를 약용 또는 건강식품으로서 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과실을 대원형(大圓形), 타원형(楕圓形) 및 소원형(小圓形)으로 분류하여 ascorbic acid와 β-carotene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scorbic acid의 함량은 대원형(大圓形)에서 건중(乾重) 100g 당(當) 911mg으로 가장 높았으며 타원형(楕圓形) 358mg, 소원형(小圓形) 344mg으로서 비교적 그 함량이 낮았다. 2. β-carotene의 함량은 타원형(楕圓形)에서 건중(乾重) 100g 당(當) 286m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원형(大圓形)도 208mg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나 소원형(小圓形)은 24mg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3. 종자(種子)의 ascorbic acid는 과육(果肉)보다 1/10 - 1/30의 수준이었으며 과육의 조추출물은 대원형(大圓形)과 소원형(小圓形)은 각각 2,600mg 및 2,700mg 이었으나 타원형(楕圓形)은 1,060mg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